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강순원-
dc.creator강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4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42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결정짓는 1970년대 한국독점자본의 교육에 대한 지배적 요구가 어떻게 발현되어 구체적인 교육정책으로 나타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연구의 분석단위로 ‘과잉교육’을 설정하였고, 이론적 분석틀로는 구조적 접근 모형인 분단노동시장 이론을 채용하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존질서를 정당화하고 재생산하는데 기여하는 학교교육은 독점자본의 교육적 요구인 값싸고 우수한 노동력을 배출하기 위해 과잉교육의 조건을 구비하게 된다. 특정 교육수준을 이수한 자들이 고용부문에 취업되지 못한 채 실업 내지 반실업의 상태에 놓이게 되는 상황을 과잉교육이라고 정의할 때, 1970년대 한국 과잉교육의 수위는 중등교육에 맞춰진다. 그것은 첫번째, 미국독점자본과 공화당정부의 비호하에 급성장한 한국독점 기업들이 수출지향적 대규모 공업화를 추진해 가는 과정에서 일반 교양기술 능력을 갖춘 노동자들의 확보의 필요성에서 중등교육의 평준화 정책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과거 입시로 인해 중학교 입학이 봉쇄당했던 노동계급 자제들이 중학교에 상당수 진학하게 되었으나, 이들은 결국 과거 국졸 내지 미취학자들이 수행했던 단순 생산직 노동에 여전히 저임금으로 할당되었던 것이다. 두번째, 1970년대 종속적 산업화는 중심국 지향적 제반 정책을 구사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미국식 무시험 진학제를 선호하도록 조건짓게 하였다. 또한 종속적 산업화는 중심국에 대한 기술적 종속으로 인해 국내의 교육훈련기관 및 연구기관들을 더욱 더 비생산적으로 되게 한다. 이렇듯 1970년대 종속적 산업화의 교육적 귀결은 중등교육양을 대거 늘려 놓았으나 교육의 전반적인 경향은 더욱 비생산적이고 낭비적으로 되어 가게 하였다. 셋째, 1970년대 특히 정치적으로 위기를 맞이한 공화당 정부는 국민통제의 방법으로 주로 일차적인 물리력을 사용했으나 그것과 병행해서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인 교육에 상당부분 의존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국가 주도의 교육정책은 당시 저임금 노동에 의해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속에서 치열한 노동운동을 전개하던 노동계급의 정치적 사회화에 초점을 맞추고 이들의 공식적 교육기회의 확대 및 준학교교육의 확대에 주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세차원이 상호 연계되어 1970년대 한국 교육의 지배적 형태는 중등교육의 확대와 고등교육의 억제정책으로 표출되었다. 그 결과 대졸자와 비대졸자 사이의 사회적 간극이 심화되었고, 그것은 전체국민의 교육열로 투사되었다. 바로 이러한 교육열은 또다시 학교교육의 확대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과잉교육의 객관적 조건을 교육내적으로 창출하게 된다. 1970년대 당시 전반적으로 대졸자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공급과 일반적인 균형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대졸자 채용시에 출신학교에 따른 고용차별이 심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상황과는 달리 1980년대 들어오면서 사회전반의 생산력이 발달되고 그에 따라 노동과정에서 사무직 노동도 육체노동처럼 점점 탈숙련화 되어 감에 따라 교육전반의 상향 효과와 병행하면서 과잉교육의 수위가 대학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그 결과 대졸자 채용시 출신학교의 사회적 위신이 반영되는 차별적인 교용관행인 대학학위의 탈표준화가 더욱 촉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educational policy in 1970’s which reflects the economic interest of the Korean monopoly capital. Thus I use the term ? ‘overeducation’ as an analytical research unit and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ories as an analytical framework. Essentially, schooling contributes to legitimizing and reproducing the capitalist order. Accordingly, the monopoly capitalist is willing to make use of the overeducated condition in order to create the cheap but high qualified labor forces. Here, I define the overeducation as the educated unemployment and underemployment. In this context, the level of Korean overeducation in 1970’s is to be focused on the secondary education. The main factors for the overeducation phenomena is 1970’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1970’s the expansion of the secondary education was demanded by Korean monopoly entrepreneurs which grew fast by the sponsorship of the American monopoly capital and the Korean political authority. Since the Korean monopoly capital made efforts toward the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it was necessary for them to recruit the mass labor force who had general skills and knowledge’s. So many of the Korean working class children could raise up their educational level up to the middle school. Nonetheless, they were allocated to the manual and low paid working jobs without realizing the status upward mobility. Second, since the Korean dependent industrialization was oriented toward making Korean social institutions and politico-economic policies similar to those of the center country,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was compelled to adapt the non-selective entrance system to the upper level of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The Korea educational as well as research institutions became more and more unproductive because of the technological dependence. In 1970’s, the dependent industrialization was possible to make the educational opportunity of middle school level in large; however the consequence was that the educational quality was unproductive and nonfunctional. Third, in 1970’s the Korean Democratic-Republic Party undertook the social control through using the repressive state apparatus as well as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 to overcome the socio-political crises it faced. Consequently, the political authority took the policy to enlarge the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with a view to promoting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working class children who had been exploited by the capitalist and the State. For this reason, the State was able to lead an educational policy to put the equalization of the middle school. In light of these three factors for the overeducation phenomena in 1970’s, it came to be concluded that the government’s educational policies in that period were the enlargement of the secondary education and the restriction of the higher education. Because of these policie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university graduates and non-graduates was more widened than ever. These undesirable phenomena affected on raising up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the people. It is quite natural that the high educational aspirations of the people became one of the main factors to create the educational condition of overeducation which eventually would make the government take the policy to enlarge the higher education.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caused by the different prestige’s of the universities did not appear distinctly, because the demand for the high educated manpower’s and their supply were balanced in 1970’s. however in 1980’s 1) the social power of production would be more developed, 2) the white collar jobs would be more deskilled, and 3) the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would be more enlarged. Therefore the extent of the overeducation in 1970’s would be much greater in level of higher education in 1980’s. the future of overeducation phenomena would cause the severe competation of different diploma prestiges of univers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I.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5 II. 과잉교육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 ------------------------------- 9 A. 개인적 접근모형; 인간자본론(Human Capital Theories) -------------- 13 1. 인간자본론의 이론적 가정 ---------------------------------------- 13 2. 과잉교육에의 이론적 시사점 -------------------------------------- 19 3. 비판과 논의 ----------------------------------------------------- 30 B. 구조적 접근모형; 분단노동시장이론 (Theories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 35 1. 분단노동시장 이론의 지적 배경 ----------------------------------- 35 2. 과잉교육에의 이론적 시사점 -------------------------------------- 41 3. 비판과 논의 ----------------------------------------------------- 52 C. 한국 과잉교육의 설명틀 ------------------------------------------- 54 III. 한국 자본주의적 학교교육제도 발전의 성격- 상대적 과잉교육의 창출구조 ------------------------------------- 63 A. 한국 근대교육 기원의 성격 ---------------------------------------- 64 B. 식민지 교육체제의 형성과정의 사회적 성격 ------------------------- 78 C. 해방 후 한국교육의 구조적 과정 ----------------------------------- 94 IV. 1970년대 상대적 과잉교육의 구조 ----------------------------------129 A. 독점자본주의 단계에서의 노동분화 기능으로서 교육차별화 -----------130 B. 종속적 산업화의 귀결로서 교육의 확대 -----------------------------162 C.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로서의 교육 - 교육복지 부문의 확대 ----------181 V. 결론 --------------------------------------------------------------193 참고문헌 -------------------------------------------------------------199 영문초록 -------------------------------------------------------------2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190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70년대 상대적 과잉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정치경제학적 일 고찰-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