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5 Download: 0

여성 암환자의 외상후성장 구조 모형 구축

Title
여성 암환자의 외상후성장 구조 모형 구축
Other Titles
The Structural Model for Posttraumatic Growth in Female Patients with Cancer
Authors
김연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 암환자들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향후 여성 암환자들의 외상후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간호 중재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외상후성장 모형(Tedeschi & Calhoun, 2004)을 기초로 성격, 우울, 사회적 지지, 주관적 심각성, 의도적 반추, 침투적 반추, 외상후성장의 총 7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충남 지역의 4개 대학병원에서 입원 및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암환자 201명 이었으며, 2012년 11월 1일부터 2013년 4월 30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과 AMOS 18.0 pro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유방암 환자가 123명, 난소암, 자궁암 및 자궁경부암 환자 가 78명이었고 평균연령은 51.92±9.63세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외상후성장은 3.33±1.07, 의도적 반추는 2.60±0.62, 침투적 반추는 2.61±0.62, 사회적 지지는 3.80±0.87로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2.19±0.51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주관적 심각성은 7.52±2.23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3. 본 연구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df 1.37, GFI 0.95, AGFI 0.91, SRMR 0.04, NFI 0.95, CFI 0.98, RMSEA 0.04으로 최종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모델 적합도가 권장지수를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4.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할수록(γ=.278, p=.006), 주관적 심각성이 높을수록(γ=.210, p=.007), 침투적 반추를 많이 할수록(γ=.435, p=.003)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요인들의 설명력은 34.1%이었다. 5. 우울의 수준이 높을수록(γ=.839, p=.009) 침투적 반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72.5%이었다. 6. 성격이 내향적일수록(γ=.144, p=.022),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할수록(γ=.335, p=.038),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할수록(γ=.408, p=.003) 외상후성장이 높았고, 이러한 요인들의 설명력은 38.5%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성격,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가 외상후성장의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도적 반추는 사회적 지지, 주관적 심각성, 침투적 반추와 외상후성장을 매개하는 주요 변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성격적 특성을 반영하여 의도적 반추를 증가시킴으로써 외상후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ersonality, depression, perceived social support, subjective severity,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based on the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female patients with cancer,using a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approach. Study participants from four hospitals in Korea,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interview using the questionnaire related to MBTI(extraversion/introversion), Zung's Depression Inventory,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Rumination Inventory and Korea version of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012 to April, 2013. The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9.0 and AMOS 18.0 program. Model fit was based on the overall goodness of fit index such as χ²/df, GFI, AGFI, SRMR, NFI, CFI and RMS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post 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intrusive rumination and perceived socialsupportwere aboveaverage, depression was moderate, subjective severity were at a high level. 2. The overall fitness of the final model was good ingeneral. The model fit indexes of the final model were χ2/df 1.37, GFI 0.95, AGFI 0.91, SRMR 0.04, NFI 0.95, CFI 0.98, RMSEA 0.04. 3. Greater perceived social support(γ=.278, p=.006), higher subjective severity(γ=.210,p=.007)and greater intrusive rumination(γ=.435,p=.003)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deliberate rumination.These predictors explain 34.1% of variance in deliberate rumination. 4. Higher depression(γ=.839,p=.009)was associated with greater intrusive rumination only. This predictor explains 72.5% of variance in intrusive rumination. 5. Personality(γ=.144,p=.02),greater perceived social support(γ=.335, p=.038) and greater deliberate rumination(γ=.408,p=.003)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posttraumatic growth. These predictors explain 38.5% of variance in posttraumatic growth. The findings suggested deliberate rumination was shown to be the mediator on posttraumatic growth. Perceived social support, subjective severity and intrusive rumin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bove all, this study suggests to enhance the patients' posttraumatic growth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by focusing on deliberate ru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of female patients with canc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