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민숙-
dc.contributor.author김미선-
dc.creator김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9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98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노벨레들에서의 폭력이라는 주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작품 안에 형상화된 폭력의 제양상과 근본적 원인에 대해 고찰하며, 폭력을 야기하는 기존의 사회 제도와 인습 등에 대한 클라이스트의 비판 의식을 규명한다. 클라이스트의 작품들은 흔히 전쟁, 전염병, 지진과 같은 광범위한 폭력상황이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안에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해 가해지는 억압과 횡포, 또는 직접적인 물리적 폭력들이 난무한다. 노벨레들에서의 폭력의 양상을 보면, 우선 신분제도의 틀 안에서 지배층에 의해 가해지는 억압과 불평등을 제도적 폭력의 예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불공정한 처형의 예들에서도 사형이라는 제도하에서 행해지는 부당한 폭력이 제시된다. 개인이나 집단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물리적 폭력은 노벨레들에서 흔히 살인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독자는 잔인한 살인장면들에서 폭력의 극단적 형태와 마주하게 된다. 남성과 비교할 때 여성은 상대적으로 쉽게 폭력에 노출되어 부권에 의한 억압과 남성에 의한 성적 폭력의 대상이 된다. 언어에 대한 클라이스트의 성찰과 회의가 반영되어 노벨레에서의 언어의 기능에 있어서도 폭력성과 조작가능성이 드러나 있으며, 또한 한편으로는 인간 상호간의 의사소통 부재로 인한 침묵과 폭력의 연결 역시 클라이스트 노벨레에서의 하나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칠리의 지진』의 마지막 부분에서 집단 린치와 살인이 벌어지는 장면은 이 노벨레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장면은 종교와 군중에 의한 이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는 부분으로서, 르네 지라르의 신화적 희생제의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클라이스트는 폭력성과 성스러움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종교의 근원적인 이중성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폭력이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나는 것에 비해 노벨레 안에서 폭력에 대한 저항은 그리 흔하지 않다. 『미하엘 콜하스』에서 귀족계급에 대한 평민의 저항이 형상화되어 있고, 『O... 후작부인』에서 후작부인이 폭력에 공개적으로 대응하며 정체성을 찾아가는 이외에는 폭력에 대한 저항을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대개 수동적이고 남성 의존적인 모습으로 그려지는 여성들은 폭력적 상황에 직면한 이후에도 역시 수동적으로 대응하여 비극적 최후를 맞이하거나, 남성에 의해 구원을 찾는다. 전체적으로 클라이스트는 폭력에 대한 저항을 형상화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폭력적 상황을 독자에게 제시한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폭력의 양상들은 근본 원인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클라이스트의 비판적 시각을 찾아볼 수 있다. 클라이스트는 노벨레들에서 신분사회의 문제, 소유에 의한 문제 등에 대해 폭넓게 다루고 있고, 신분사회 안에서 해결되지 않는 사회적, 정치적 문제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한다. 또한 가톨릭 교회의 세속성과 이중성에 의해 야기되는 폭력적 상황들을 통해 종교의 모순과 부패에 대해 비판을 가한다. 클라이스트의 노벨레들에서는 사랑보다 권위를 앞세우며 세속적 욕구를 추구하는 왜곡된 종교인들의 모습을 도처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것은 기독교 자체에 대한 공격이 아니라 폭력을 야기하는, 제도화된 형식으로서의 종교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클라이스트의 노벨레에서는 사회 체제와 종교 뿐 아니라 가정 역시 왜곡되고 비정상적인 공간으로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가부장적 부권으로 가족들 위에 군림하고 억압을 행사하는 아버지의 모습, 비정상적인 가족관계 등이 폭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기존의 가치관 안에서 남성이 여성에 대해 누리는 우위와 억압관계가 폭력적인 모습으로 서술되면서 남성의 폭력성이 비판적인 시각으로 서술된다. 남성의 폭력성은 인간의 이중성, 내면의 폭력적인 마성에 대한 클라이스트의 성찰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소위 칸트위기 이후로 클라이스트를 지배하는, 인간의 인식능력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또한 작품에서의 폭력과 연결된다. 인간의 편견과 인식의 오류, 혹은 신의 뜻에 대한 해석의 오류 등이 폭력적 상황으로 이어져 폭력의 또 하나의 근원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클라이스트의 노벨레들에서 이처럼 다양한 원인들에 의한 폭력적 상황들이 전개되는 시간적, 공간적 배경은 당시의 프로이센과는 거리가 있다. 그러나 그 안에서 펼쳐지는 사회들에는 프랑스 혁명 이후 혼란과 변화를 겪고 있던 프로이센의 사회상이 반영되어 있다. 클라이스트는 기존의 제도와 인습, 가치관 등에 의해 야기되는 폭력적 상황들을 다각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현실 사회와 제도의 모순에 대해 비판하고 또한 이를 통해 새로운 질서에 대한 촉구를 제시하고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 In den meisten Werken von Kleist herrschen Gewaltphaenomene. Am drastischsten stellt sich Gewalt dabei in Epidemien, Naturkatastrophen, in Krieg und Revolution dar, aber Gewalt erscheint darueberhinaus in allen Beziehungen und auf allen Ebenen. Trotz der Wichtigkeit des Gewaltmotivs in den Novellen Kleists zeigt ein Ueberblick ueber die Forschungslage wenig einschlaegige Untersuchungen, es ist also notwendig, diese Luecke durch Forschungen zum Gewaltmotiv zu schlieβen.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Phaenomenologie der Gewalt in den Novellen Kleists zu untersuchen und dadurch die Kritik des Autors an den grundlegenden Ursachen der Gewalt zu offenbaren. Der Terminus Gewalt in dieser Arbeit umfa t folgendes: Zwang, koerperlicher und seelischer Druck, unrechtmaeβiges Vorgehen oder ruecksichtslos angewandte physische Kraft. Im zweiten Kapitel werden dann die Phaenomene der Gewalt untersucht. Die einzelne Subjekte sind unter bestimmten lebensweltlichen oder individuellen Daseinsbedingungen dem Leidensdruck ausgesetzt. Die aeuβere Erscheinungsweisen von Gewalt entsprechen in der Mehrzahl der Faelle durchaus den herkoemmlichen Vorstellungen von einer rohen, die Menschen verletzenden oder gar toetenden aeuβeren Krafteinwirkung. Aber heutzutage besteht laengst Klarheit darueber, daβ man es nicht nur mit dieser physischen Gewalt zu tun hat, sondern daβ institutionelle oder sprachliche Gewalt ebenso zerstoerend wirken. Kleists Modernitaet erweist sich dann auch vor allem darin, daβ er Sprache und Gewalt miteinander verknuepft bzw. Gewalt als Folge von Sprachlosigkeit darstellt. Der Lynchmord in 『Das Erdbeben in Chili』, der von der Masse begangen wird, nimmt eine Sonderstellung in der Novelle ein. Die Szene, auf die wir mit Ren Girard als rituales Opfer interpretieren koennen, macht uns die enge Verbindung des Heiligen in der Religion mit der Gewalt sichtbar. Im dritten Kapitel wenden wir uns unter diesen Aspekten Reaktionen der Protagonisten aeuβerliche Gewalt zu. Michael Kohlhaas wird als souveraene, selbstbewuβte Persoenlichkeit geschildert, und er ist bereit, zunaechst juristisch, spaeter mit Gewalt um sein Recht zu kaempfen. Von dieser Figur abgesehen findet sich bei Kleist selten ein Protagonist, der gegen Gewalt kaempft. Auβerdem sind die meisten Protagonistinnen von Maennern abhaengig und reagieren passivaeauf die vaeterliche oder maennliche Gewalt. Aber es gibt auch eine aktive Frauengestalt wie die Marquise von O..., die ihre Selbstaendigkeit und neue Identitaet erreicht. Im vierten Kapitel werden verschiedene grundlegende Ursachen von Gewalt und Kleists Kritik daran untersucht. Zuerst die Kritik an den gesellschaftlichen und institutionellen Strukturen, die Gewalt verursachen; Kleist uebt vor allem an den alten gesellschaftlichen Maechten und Zwangsverhaeltnissen in der Klassengesellschaft Kritik. In den Novellen Kleists wird die ungeloeste soziale und politische Problematik des Staendestaats beschrieben. In 『Das Bettelweib von Locarno』 z. B. ist der Staat des feudalistischen Mittelalters, und damit das noch feudalistisch organisierte Preuβen direkter Gegenstand der Kritik. Zweitens die Kirchenkritik; Kleist verabscheut die institutionalisierte Form der katholischen Kirche als eine Erscheinung pervertierter diesseitiger Machtausuebung zutiefst. Das Kloster stellt sich bei Kleist nicht als ein heiliger Ort dar, sondern als ein Ort, wo sich die Begierden und Intrigen verbreiten. Auβerdem denunziert Kleist mit kritischen Blicken sowohl die autoritaere Vaterschaft und deren Druck und Gewalt in der Familie als auch maennliche Gewalttaetigkeit allgemein. Kritisch und mi trauisch betrachtet Kleist auch das Erkenntnis- und Urteilsvermoegen des Menschen, dabei geht es oft um die Frage, ob es den Willen Gottes gibt, und ob die Menschen diesen interpretieren koennen. In den widerspruechlichen Strukturen gewalttaetiger Menschen und Gesellschaften in den Novellen Kleists wird die reale Gesellschaft des zeitgenoessischen Preuβen nach der Franzoesischen Revolution widergespiegelt. Durch das Gewaltmotiv offenbart Kleist die Widersprueche und Gewalttaetigkeit der herkoemmlichen gesellschaftlichen Institutionen wie Staat, Kirche und Familie. Dahinter laeβt sich Kleists Erwartung einer neuen, besseren Ordnung der Welt herausles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I. 서 론 ------------------------------------------------------------- 1 1. 시대적 배경 ------------------------------------------------------ 1 2. 클라이스트 노벨레 연구상황 --------------------------------------- 2 3. 연구 대상과 목표 ------------------------------------------------- 8 II. 폭력의 양상 ------------------------------------------------------ 12 1. 제도적 폭력 ------------------------------------------------------ 12 1.1. 지배계급의 폭력 ----------------------------------------------- 13 1.2. 사형(死刑) 제도 ----------------------------------------------- 18 2. 물리적 폭력 ------------------------------------------------------ 22 2.1. 살인 ---------------------------------------------------------- 22 2.2. 성적(性的) 폭력 ----------------------------------------------- 28 3. 언어의 폭력 ------------------------------------------------------ 35 3.1. 폭력과 언어 --------------------------------------------------- 35 3.2. 침묵 ---------------------------------------------------------- 42 4. 희생제의로서의 집단폭력 ------------------------------------------ 47 4.1. 자연적 폭력과 사회적 폭력의 상관관계 -------------------------- 48 4.2. 희생양과 희생제의 --------------------------------------------- 52 III. 폭력에의 대응 --------------------------------------------------- 56 1. 민중의 저항 ------------------------------------------------------ 56 1.1. 귀족계급에 대한 저항 ------------------------------------------ 56 1.2. 저항의 정당성 ------------------------------------------------- 64 2. 여성의 대응 ------------------------------------------------------ 71 2.1. 능동적 대응 --------------------------------------------------- 72 2.2. 수동적 대응 --------------------------------------------------- 80 IV. 폭력의 근원에 대한 클라이스트의 비판 ----------------------------- 86 1. 사회구조 비판 ---------------------------------------------------- 86 2. 종교 비판 --------------------------------------------------------102 3. 부권(父權) 비판 --------------------------------------------------113 3.1. 가부장적 권위와 폭력적 부성(父性) -----------------------------113 3.2. 가족관계의 해체 -----------------------------------------------119 4. 남성의 폭력성 비판 -----------------------------------------------124 5. 인식능력에 대한 회의 ---------------------------------------------138 5.1. 편견과 불신 ---------------------------------------------------138 5.2. 인식의 오류 ---------------------------------------------------144 V. 결 론 -------------------------------------------------------------152 참고문헌 -------------------------------------------------------------159 독문초록 -------------------------------------------------------------1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2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클라이스트 노벨레에서의 폭력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Gewaltmotiv und Gesellschaftskritik in den Novellen Heinrich von Kleist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독어독문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독어독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