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女性의 産後風 경험에 관한 硏究

Title
女性의 産後風 경험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women's sanhoopoong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경혜
Abstract
산후풍(産後風)은 출산 후 적절한 산후조리를 하지못한 여성들이 경험하는 독특한 현상이다. 이것은 객관적인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개별적인 경험이면서 출산 여성들만이 겪을 수 있는 경험이기도 해 여성들에게만 나타나는 사건이며 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옛부터 지금까지 민간(民間)에 구전(口傳)으로 내려올 뿐 특별한 병리적인 소견이나 객관적으로 나타난 증상이 없어 여성의 평생 건강과 삶의 질에 많은 영향을 미쳐 왔음에도 불구하고, 산후풍은 질병으로 분류되지 못하고 그에 대한 치료방법이 없어 여성들은 스스로 민간요법에 의지하여 고통을 감내하며 살아가고 있다. 산후풍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서는 여성의 삶이 출산 후의 신체, 정신, 사회적 변화와 함께 나타나는 현상으로서의 산후풍을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의 개별적이고 독특한 산후풍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출산 후 산후풍을 경험한 여성으로 본 연구 목적에 동의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여성 중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면담한 결과 1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00년 2월부터 10월까지 산후풍 경험을 한 여성의 소개로 만나게 된 참여자의 집이나 병실에서 면 대 면 심층면담(in-depth face to face interviews)으로 수집하였다. 진행된 면담 횟수는 연구 참여자별로 1∼2회였고, 1회 면담에 소요된 시간은 1시간에서 2시간이었다. 참여자의 허락하에 녹음했으며 녹음내용은 즉시 컴퓨터로 문자화한 후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과정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van Kaam(1987)이 제시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도교수 1인과 간호학교수 1인, 동료 박사과정생 3인의 조언을 받아 분석하였다. 여성의 산후풍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허해진 몸으로 찬기운이 파고듬 2. 뼈 속까지 시리고 애림 3. 평생의 삶을 옭아매는 나만의 괴로움 4. 백방의 치료에도 낫지 않음 5. 그때를 돌아보며 두고두고 후회하고 원망함 6. 자구책으로 참고 견딤 7. 내 몸의 소중함을 깨달음 위의 7가지 주제를 종합(Synthesis)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적 정의(Structural definitions)를 진술하였다. 산후풍을 경험한 여성들은 출산후 허해진 몸으로 찬기운이 파고드는 체험을 하는데 이는 예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특별한 느낌으로 뼈속 깊이까지 시리고 애리고 아프고 쑤시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여성의 평생의 삶을 옭아맨다. 병을 고치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며 애써보지만 결국 낫지 못하고 그때를 돌아보며 두고두고 후회하고 남을 원망하면서 자구책으로 참고 견디며 살아가며 이제서야 내 몸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깨닫는다. 이상과 같은 산후풍 경험의 의미는 산후풍이 여성의 출산과 관련됨으로서 여성의 생식건강이 여성의 삶의 질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성이 처한 사회, 경제, 문화적 환경과 여성으로서의 자아인식, 가치 등이 함축되어 나타나는 개별적이고도 독특한 경험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 동안 연구에서 밝혀진 바가 없으며 본 연구를 통해 산후풍을 경험하고 있는 여성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여성건강 간호학의 새로운 지식이며, 이 지식이 출산여성 간호에 적용되고 검정(official approval)됨으로서 간호학의 지식체로 발전할 것이다. 그리하여 임상에서 실무간호를 통해, 민족 과학적(ethnoscience)인 연구를 통해, 교육을 통해 여성 건강 간호학의 발전에 공헌할 것이다. ; Sanhoopoong are the experiences unique to women who don t take proper steps to recuperate themselves after delievery. These experiences are something only women who gave birth to a child can have as well as very individual ones that are difficult to express with words, so they can be said as one of women s peculiar affairs and problems.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owever, specialized pathological opinions or objective symptoms of them have rarely been known except a few oral instructions or folk remedies in spite of their exerting great influences on women s health and the quality of their life. Without proper pathological classification of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and medical treatments against them, women are forced to depend on folk remedies or just endure them. To help women in painful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anhoopoong as a phenomenon accompanied by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changes of women after childbirth from women s standpoint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men s experiencing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an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0 women who had an experience of having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agreed with the aim of this study, and were in reach of communication and interviewed until proper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October, 2000 through in-depth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in their houses or at the sickbed. Interview was carried out once or twice on the participants and the time took one or two hours by them. Talks were recorded by permission of the participants, written down by the computer ,and analyzed. In analyzing data, a phenomenological method presented by van Kaam (1987) was used. To heighten the degree of reliability, advices were taken from one academic adviser, one professor of nursing studies department, and three students in the doctorate course with a experience of conducting a qualitative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such 7 themes as follows were extracted: 1. Penetration of coldness into the weakened body 2. Freezing and aching to the bone 3. Suffering peculiar to women that suppresses the whole life 4. Incurability in spite of all treatments 5. Everlasting regret and resentment 6. Patience and endurance through poor self-help remedies 7. Recognition of the preciousness of my own body These 7 themes were synthesized to describe some structural definitions as follows: Women who have experienced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feel certain coldness penetrating into their weakened body, which gives an extraordinary complicated feeling of freezing and aching to the bone that suppresses their whole life. They make all efforts to relieve the disease, but those efforts are so useless that they continuously regret or blame others, put up with or endure it through poor self-help remedies, and begin to acutely feel the preciousness of their own body. The meaning of the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like this implies that the disease itself id directly connected with the delievery of woman and that the health of woman s generative organs determines the quality of woman s life. Therefore the sanhoopoong after childbirth itself is a very individual and unique experience of woman suggestive of her social and economical position and the personal recognition of her own. This fact has never been founded out in precedent studies but finally understood through this study. This finding, as a totally new knowledge in the nursing studies of women s health, will be applied to the nursing of delievered women, officially approved, and developed into a paradigm of nursing studies in the future. And through nursing practices in the clinic, ethnoscientific studies and educational programs,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udies of women s heal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