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0 Download: 0

고려 우왕대(1374년-88년) 정치세력의 연구

Title
고려 우왕대(1374년-88년) 정치세력의 연구
Authors
강지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恭愍王이 23년 9월 宦者 崔萬生 등에 의하여 殺害당한 뒤 후계 구도를 둘러싸고 각 정파간의 대립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등 한동안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결국 이 문제는 이 인임 일파의 발빠른 움직임에 의해 禑王이 즉위함으로써 일단락 되었다. 이후 정국은 이 인임이 모든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형세가 전개되었다. 우왕 즉위 초 이인임의 전면적인 부상은 권력 관계에도 커다란 변화를 초래하였다. 辛旽의 등장으로 한동안 정권에서 소외되었던 世族과 武裝勢力들이 정치 일선에 복귀하여 새 권력 구조의 상층부를 점하는 등 정계가 개편되었다. 이같은 정치 개편은 우왕 원년 이인임이 주도하는 대외정책의 전환을 계기로 공민왕 16년 成均館 重營을 전후하여 성장하였던 新興士大夫 세력의 집단적인 반발을 가져왔다. 우왕 즉위 초 이같은 신흥 사대부 세력의 반발은 이인임의 안정적인 집권 기반 창출에 크게 방해가 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이들 신흥 사대부들의 대부분이 유배되었다. 실권을 장악한 이인임은 향후 지속적인 권력 기반의 창출을 위하여 人事行政을 주관하는 등 국정 전반에 걸쳐 강력한 영항력을 행사하였다. 이인임 중심의 독단적인 인사 행정은 많은 폐단을 유발시켰고 아울러 정치권력의 배분 문제를 둘러싸고 권력 집단 내부의 상호 정쟁과 갈등을 유발하였다. 우왕 3년 池奫일파의 제거, 우왕 5년 楊伯淵 일파, 우왕의 유모 長氏 일파의 제거, 우왕 6년 睦仁吉, 慶復興 등의 숙청은 이인임 정권 기반 강화 과정에서 권력 집단간의 알력이 극심하였음을 보여주는 사건들이다. 공민왕 사후 정국의 혼란을 수습하고 이인임의 적극적인 노력에 의하여 나이 10살의 우왕이 즉위할 수 있었음은 우왕 즉위 후 정국의 방향을 가늠하게 한다. 이처럼 우왕 재위 초반 이 인임과 우왕과의 관계는 상호 권력을 배태케 해주는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긴밀히 연결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관계의 지속은 우왕의 입장에서 본다면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었다. 이는 이 인임의 권력 독점이 이어지면서 왕권의 취약성을 두드러지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왕의 치세가 본격화됨에 따라 우왕에게 부과된 정치적 과제는 바로 이인임과의 절대적인 관계를 어느 정도 단절해 가면서 왕권을 점진적으로 회복해 가는 것이었다. 이 점과 관련하여 우왕이 재위 초반 나름대로 정치력을 발휘하여 정국 수습의 의지를 보이고 있음은 우리의 관심을 요한다. 아울러 우왕이 환관과 외척들의 기용에 힘쓰고 있다던가, 師傳인 洪仲宣을 인사 행정에 참여케 함으로써 자신의 왕권을 뒷받침해 줄 배후 세력의 형성에 관심을 기울였음은 미약한 왕권을 신장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와 같은 우왕의 왕권 신장 노력에 대하여 이인임의 권력 독주에 불만을 가진 宰樞 관료들은 그에 동조하는 입장을 견지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우왕 3년 池奫 일파의 숙청 과정과 우왕 5년 楊伯淵 洪仲宣의 숙청 과정에서 일부 모습이 드러난다. 바로 그러한 점에서 이들 숙청 사건은 정국 주도를 위한 상호 권력 다툼의 일환이기도 하지만 이들 사건의 이면에는 바로 우왕의 정국 주도 의지가 맞물려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우왕 5년 유모 장씨 일파의 숙청은 이와 같은 우왕의 정치적 노력에 좌절을 가져오게 하였고 그 결과 우왕 재위 후반에 이르면 嬖幸勢力의 진출이라는 파행적인 정치형태를 결과하였다. 임견미는 공민왕대 왕의 측근에서 활동하게 되면서 정계에 등장하여 잦은 군사 활동을 통해 성장하였다. 우왕대 이인임과 밀착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권력의 핵심에 위치하였던 그는 우왕 5년과 6년 이인임 반대 세력의 대규모 숙청이 계기가 되어 독자적인 토대를 확고히 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우왕 8년 집권에 성공하였다. 실권을 장악한 임견미는 이인임 집권에 참여하였던 일부 무장 세력을 도태시키고 廉興邦, 都吉數 등과 견고한 族的 기반을 형성하여 자신들의 세력을 독점 부식시킴으로써 권력 기반을 다져갔다. 임견미가 실권을 장악하면서 소수 權臣들에 의한 권력 집중이 장기화되었고 이는 결국 우왕의 정치력 부재와 긴밀히 연결되면서 정국의 분열이 가중되었다. 우왕 후반 嬖幸勢力의 정치적 진출이 두드러진다. 이들 폐행세력을 구성하고 있는 존재들로서는 宦官, 內僚, 衛士,  人, 外戚등이 찾아진다. 이들은 왕권에 기생하면서 권력을 행사하였고 우왕의 총애를 배경으로 불법을 자행하는 등 그로 인한 폐단이 두드러지면서 우왕대 정치문란을 가중케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崔瑩은 恭愍王代부터 禑王代에 이르는 시기에 군사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두드러진 활동을 펼쳐 나갔던 高麗末의 대표적인 武將이다. 최영은 공민왕대 잦은 내우외환마다 참여하여 혁혁한 武功을 세움으로써 점차 중앙 정계에서 그 정치적 비중을 높여 나갔다. 우왕대 이인임의 집권으로 정치적 변화를 맞이한 최영은 世族과 무장 세력이 권력의 상층부에 위치하는 정국의 흐름에 따라 이인임과 더불어 권력을 행사하면서 중앙 정계에서 그 위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최영은 우왕대 전반 이인임의 무력적 기반으로서 역할하여 우왕 3년 지윤의 숙청 과정과 우왕 5년의 楊伯淵 사건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권력 기반을 신장시켜 나갔다. 그러나 우왕대 최고 군 실권자로서 그의 비중의 강화는 이인임의 정국 주도 과정에서 일정한 견제를 불러 일으켰고 그 결과 협조와 견제가 이인임 집권기 동안 반복되었다. 한편 우왕 8년 이후 임견미의 권력 장악은 최영의 정치활동에 변화를 주었다. 즉 임견미 당여의 정국 주도가 본격화되면서 최영은 임견미 집권기에 권력의 행사에서 어느 정도 배제되었다. 이는 임견미 집권기의 불법적인 행태와 연결되면서 최영의 불만을 누적시켰고 그리하여 우왕 14년 정월 李成桂의 협조하에 우왕의 지지를 받아 林堅味·廉興邦 黨與를 대거 숙청함으로써 집권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우왕대 잦은 외환에서 여러 차례 전공을 세우면서 신흥 무장으로서 정치적 위치를 높여 가고 있었던 李成桂는 우왕 14년 최영의 임견미 당여 숙청에 적극 협력한 것을 계기로 중앙 정계에 세력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아직 중앙 정치권력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만큼 확실한 토대를 구축하지 못하였고 더욱이 정권을 장악한 최영으로부터 점차 견제 당하게 되면서 최영과 정국 주도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되었다. 이처럼 정국이 불안정하던 중 明나라가 鐵嶺衛 설치를 통보하게 되고 이에 최영은 우왕과 함께 요동 정벌을 추진하여 정국을 전시체제로 몰아 감으로써 이성계를 제거하고 정국의 안정을 꾀하려고 하였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을 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을 느끼게 된 이성계는 여러 장수들의 동조를 책동하여 군권을 장악한 후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최영을 제거하고 정치권력을 장악하였다. 李崇仁은 공민왕부터 공양왕대에 걸쳐 고려말 격변기에 활동하였다. 공민왕 11년 과거에 급제하여 정계에 입문한 그는 성균관 講官으로 활동하는 등 자신의 학문적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공민왕대 성장을 계속하였다. 이승인은 文筆의 재능을 가지고 우왕대 정계에서 꾸준한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는 어떤 형태로든 임견미 집권에 그가 타협적인 자세를 유지했기 때문에 정치적 위치의 신장이 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숭인은 위화도 회군 이후 流配와 정계 복귀가 반복되면서 정치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회군의 성공으로 신흥 무장 이성계가 정치권력의 중심에 확고한 자리를 점하게 되면서 이후 정국 주도권을 둘러싸고 정치 세력 사이에 치열한 각축이 잇따르게 되었는데 李穡과 정치적 입장을 함께 하였던 이숭인의 경우 이성계 세력의 대표적인 공격 대상이 됨으로써 정치적으로 굴곡을 경험하였다. 윤소종은 麗末鮮初에 걸쳐 활동하였다. 공민왕 14년 登科하여 정계에 입문한 그는 동왕 16년 성균관 중건을 계기로 이색을 정점으로 하는 신흥 사대부들과 밀접하게 교류하면서 새로운 정치 세력의 일원으로 성장하였다. 공민왕 22년 諫官으로서 時事를 논하다가 탄핵 당하여 관직에서 축출됨으로써 정치적 시련을 겪었던 그는 우왕대 한동안 야인 생활을 하는 등 관직 생활이 순탄하지 못하였다. 이 시기 그의 정치활동에서 주목되어지는 부분은 우왕대 정치 현실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새로운 변혁을 모색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위화도 회군으로 정계의 중심에 등장한 신흥 무장 이성계에게 적극 偏黨함으로써 이후 그와 더불어 고려말 모순된 현실을 바로잡아 조선의 건국이라고 하는 새로운 사회질서를 구축하는 데 적극적으로 역할하게 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우왕대 정치 세력의 추이를 통해 조선 건국의 선행 단계인 이 시기 정치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즉 이 시기는 원 간섭기 이래 심화된 대내외적인 모순 구조를 극복하려 하였던 공민왕이 죽고, 이어 나이 어린 禑王의 치세라고 하는 현실을 배경으로 李仁任, 林堅味 등 權臣들에 의한 정국 독주가 이어지면서 정치 현실의 혼란이 가중되었다. 더욱이 이들이 고려말 현실 모순을 바로 잡으려는 시도는커녕 우왕의 방탕을 조장하면서 권력 유지에 급급함으로써 우왕대 정치현실이 파국으로 치닫고 있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정치 질서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사회 체제 건설의 필요성이 요구되었고 그 결과 조선 왕조의 건국이라고 하는 변동으로 귀결되었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 of gaining power of the political leaders in the Koryo Dynasty(高麗), such as Lee In-Im(李仁任), Im Gyeon-Mi(林堅味), Choi Young(崔瑩), Lee Sung-Kae(李成桂), Lee Sung-In(李崇仁), Yoon-So-Jong(尹紹宗). As King Kongmin(恭愍王) was murdered suddenly of September, 23(the King s year), King Woo(禑王) ascended to the throne with the assistance of Lee In-Im, and this developed the situation of Lee s dominating political power. Early in his reign, right after the King s enthronement, Lee s complete appearance gave rise to a change in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the aid of Sin Don(辛旽), the influential families and armed forces who had been cut off from political power for a fairly long time, came back into the political front and occupied the upper part of the political structure. Holding real power, Lee In-Im had great influence over all state of affairs such as personne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lasting foothold of power. The peremptory management of personnel chiefly by Lee In-Im, brought about much corruption and in addition invoked political conflict and discord about the distribution of political power even within the power group. The expulsion of the new literati class(士大夫) in the first year of the King, the removal of the Yang Bak-Yeon(楊伯淵) party and the party of the King s wet nurse(乳母), Chang(張氏), in the fifth year, and the purging of Mok In-Gil(睦仁吉) and Kyeong Bok-Heung(慶復興) were the events showing that there was severe discord among power groups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Lee s power base. After King Kong-Min s death, the fact that the 10 year old King Woo could ascend to the throne through Lee s aggressive efforts, can make us guess how the political situation would develop after the King s enthronement. Thu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Woo s reign the relationship between Lee In-Im and the king was closely connected, so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iginating their powers. But the continuation of this relationship, view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King, was never desirable. Therefore, as the King s reign was in a full scale, the political problem imposed on the King was to gradually recover his regal power, cutting off the absolute relationship with Lee In-Im to some extent. And the king showed his will to try to settle the political situation through the exhibition of his political power in early years of his reign, and letting Hong Jung-Sun(洪仲宣), the King s tutor(師傳), take part in the personnel changes in order to build up the background power to sustain his regal powe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n effort to enhance his royal authority. In addition, the bureaucrats who were dissatisfied with Lee s walkover held on to the king s viewpoint. This can be partly seen in the expulsion of Ji yoon(池奫) in the third year, and Yang Baek-yeon in the fifth year, and in the removal of the Hong Jung-Sun party. In this respect, these purging events were part of the struggle for power on both sides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political situation, but the king s willingness to gain leadership was seen in the background of these events. However, the purge of the king s wet nurse made him lose heart in his political effort and accordingly in the latter part of his reign resulted in the unfavorabl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i.e. the advancement of the men close to the king(嬖幸勢力). Im Gyeon-Mi(林堅味), in the reign of King Kong Min, appeared on the political stage through his activities mear the king and increased his power through frequent military activities. In the reign of King Woo, keeping his close relationship with Lee In-Im, Im Gyeon-Mi was able to stand in the center of power and took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a firm base of his own, taking as a turning point the large scale purge of the party against Lee in the fifth and sixth year of King Woo, and, as a result, he succeeded in rising to real power in the eighth year. Holding real power, Im Gyeon-Mi dismissed some of military commanders who had followed Lee In-Im, and formed a firm clannish base in alliance with Yeom Heung-Bang(廉興邦) and Do Gil-Boo(都吉敷) and consolidated their position in the political society with their exclusive power. As Im Gyeon-Mi came into real power, the centralization of power by a minority of influential vassals had been extended over a long period, which accelerated the disintegration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close connection with King Woo s incompetence in leadership. In the latter part of King Woo s reign the political advancement of the men close to the king, which seemed to have consisted of eunuches(宦官), guards(衛士), and maternal relations(外戚), was remarkable. They exercised their privileges secured by being parasitic to the king s power, and corruption accumulated which caused increased political disorder. Choi Young(崔瑩) was a representative general at the end of the Korea Dynasty between the King Kong Min period and the King Woo period, who accomplished much militarily and politically. In the period of the King Kong Min he achieved glorious military exploits in the frequent troubles from within and without and gradually raised his political importance in the central political arena. In the reign of King Woo Choi Young, who experienced political changes because of Lee s rising power, ow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at both influential familes and generals formed the upper part of power. Choi Young played a part as a military base of Lee In-Im in the first half of King Woo s reign so that he participated initiatively in the purge of Ji Yoon(池奫) in the 3rd year of the King Woo, and Yang Baek-Yeon(楊伯淵) established his political base. However, Choi s consolidation of the position as a real supreme power caused Lee In-Im to restrain from taking the lead in the political situation while Lee In-Im was taking power. On the other hand, Im Gyeon-Mi s security of power changed Choi Young s political activities to some extent, so that Choi Young was somewhat excluded from the activation of power during Im s influential period. This aroused Choi s accumulated dissatisfaction in relation with illegal behaviors in the same period, and consequently he got chances to take power by purging on a large scale the Im Gyeon-Mi and Yeom Heung-Bang parties with the aid of Lee-Sung-Kae(李成桂) and the support of King Woo. In King Woo s reign Lee Sung-Kae accomplished many military achievements in the frequent outside troubles, so that he raised his political position as a new military commander, and due to his active aid of purging Im s party, he founded his power base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However, there was still discord between Lee Sung-Kae and Choi Young. In those times Lee Sung-Kae took political power through the withdrawal of troops from Wiwhado(威化島回軍) and the removal of Choi, inciting many generals to follow him and seizing power. Lee Sung-In(李崇仁)was active in politics in the reign of King Kong Min, and especially he had a special literary talent. He kept a compromising attitude about Im s power, so that he could enhance his political status. After the withdrawal from Wiwhado he had a hard time because of the feud between the political powers including Lee Sung-Kae and Lee Sung-In who was a representative target of Lee Sung-Kae s attack. Yoon So-Jong(尹紹宗), who took an active part i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eginning of the Lee Dynasty, tried new changes through the accurate recognition of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 So he had widened his active political activities with agreement with Lee Sung-Kae since the withdrawal from Wiwhad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