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김현자-
dc.creator김현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33-
dc.description.abstract1920年代는 韓國 現代詩史上 詩의 本質에 대한 意識의 移行과 이미지의 變遷過程이라는 點에서 매우 중요한 意味를 지니는 時期이다. 흔히 新文學의 起點을 1910年代 六堂 崔 南善의 新詩에서 잡고 있기는 하지만 近代詩 以前의 詩歌와의 關係에서 根本的인 이미지(poetic image)의 變遷을 겪게 되는 시기는 1920年代부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 時期에 登場한 많은 詩人들 중에서도 金 素月과 韓 龍雲은 가장 중요한 位置를 차지하고 있는 바, 이들 두 詩人은 그들의 詩의 精神的 바탕을 이루고 있는 世界와 自我에 대한 認識, 想像力의 構造, 그리고 事物에 대한 感覺과 詩的 形象化의 方法 등에서 많은 共通點과 差異点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當代뿐 아니라 現代에 이르기까지 普遍的인 情緖와 共感의 要素를 維持함으로써 現代詩의 한 標準이 되고 있는 이들 두 詩人의 作品에 關한 그동안의 旣存硏究들은 이러한 根源을 밝히는 作業으로서, 民族的× 宗敎的 혹은 時代的인 特殊한 外的 狀況과 結付된 條件들을 檢討하여 그들의 文學史的 價値를 究明하고자 하는 노력을 계속하여 왔다. 그러나 本論文은 金 素月과 韓 龍雲의 詩가 지니는 原初的이며 包括的인 原型性의 힘과 그 時的 卓越性을 두드러지게 밝혀주는 새로운 方法論으로서 意識現象學( the conscio-Phenomenology) 적 方法을 援用하였다. 이미지의 現象學에 基底를 둔 批評方法이란 文學作品의 分析에 있어서 한 作家의 力動的인 想像力을 추적하여 그의 意識의 志向性이 무엇인가를 밝히며 그러한 意識의 深層으로부터 讀者의 心魂을 사로잡는 具體的인 美的 感動의 체계를 밝히는 것을 意味한다. 또한 本 論文은 文學作品을 서로 모순되는 二重的 의미의 緊張으로 보아 그 異質的인 두 질서를 統一시키는 原理를 美學的으로 探索하고자 하였다. 具體的으로 本 論文의 第Ⅰ章에서는 本 硏究의 理論的 土臺가 되는 意識批評의 理論을 提示하고 方法論으로서의 범위를 考察한 다음 旣存硏究의 問題點을 檢討하였다. 第Ⅱ章에서는 먼저 金 素月 詩의 全體的인 構造를 集約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가는길」을 分析하여 槪括的으로 金 素月이 가지고 있는 意識의 志向點을 究明하였다. 「가는길」이 보여주는 意識의 志向性에 根據를 두면서 그의 諸作品을 分析한 結果 다음의 몇 가지 特性을 抽出할 수 있었다. 첫째로 그의 詩는 運動性에 있어 ‘흐름’과 ‘멈춤’이라는 相反된 이미지를 통하여 辨證法 (synthesistic imagination)的인 變容過程을 밟고 있다. 그것은 물-눈물-눈(雪)의 이미지로 表現되고 있기도 하며 또한 바람-돌의 二項對立的 이미지, 새-길의 二項對立的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로 그의 詩는 空間構造에서 山과 집, 바다라는 空間의 對立을 통하여 이미지의 變化와 轉移를 보여주며, 가장자리 · 끝·벌판 등의 空間의 孤立化 現象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로 그의 詩는 空間構造에서 빛과 時間性의 관계를 통하여 向暗性, 陰陽의 變化에 따른 時間構造的 特性, 瞬間的인 詩的 美學 등을 뛰어나게 形象化하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결국 金 素月의 想像力의 變容은 消滅과 不歸意識으로 歸着됨을 알 수 있었다. 第Ⅲ章에서는 먼저 韓 龍雲 詩의 全體的인 構造를 集約한다고 생각되는「알ㅅ수업서요」를 분석하여 槪括的으로 韓 龍雲의 詩가 가지고 있는 意識의 志向點을 究明하였다. 「알ㅅ수업서요」가 보여주는 意識의 志向性에 根據를 두면서 그의 諸作品을 分析한 結果 다음의 몇 가지 특성을 유출할 수 있었다. 첫째로 그의 詩에서는 生成의 단계에 나타나는 宇宙的 秩序로서의 神·人間界, 動·植物界, 無機物的 世界에 대한 生命의 意識이 발견되며 이것들이 서로 이미지의 對應構造를 이루고 있다. 둘째로 그의 詩에서는 斷絶의 단계에 나타나는 事物의 解體와 連續, 離別과 만남, 죽음과 삶의 이미지가 斷絶과 連續의 二重構造로 드러나며 이러한 循環은 有機的으로 詩 속에서 組織化되고 있다. 셋째로 그의 詩에서는 再生의 단계에 나타나는 詩人의 志向性을 볼 수 있다. 이러한 志向性을 빛의 凝結作用에 대한 意識을 통해 分析한다면, 보석의 이미지로 나타난 눈물의 凝結性, 등불의 이미지로 나타난 불과 빛의 이미지, 향기의 意志로 나타난 식물의 氣體化를 통하여 超越的인 透明性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分析을 통하여 결국 韓 龍雲의 想像力의 變容은 不滅과 永遠回歸意識으로 歸着됨을 結論的으로 알 수 있었다. 第四章에서는 이상과 같은 두 詩人의 想像力의 構造를 體系化하여 그것이 普遍的인 原型과 어떻게 關係되는가를 밝히기 위하여 두 詩人사이에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는 이미지의 差異點을 比較·分析하였다. 이상의 諸分析을 통해 볼 때 이들 두 詩人은 文學的 體驗 속에서 이루어지는 意識의 企圖, 事物과 對象을 感知하는 樣式, 想像力의 構造와 詩的 形象化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相移點을 드러내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相移點과 作品의 內的 連繫性을 밝혀주는 作業은 韓國 現代詩史에서 중요한 位置를 차지하는 두 詩人의 이미지의 究明이라는 점에서 뿐 아니라, 韓國 現代詩의 全般에까지 연장되는 原型的 인 詩的 認識의 諸樣相을 明確히 밝힌다는 점에서 價値를 지니리라 믿는다. ; We may be sure that i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1920’ which shows us the process of vicissitudes in poetic imagery. Often enough,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modern poems of Yoo Dang(Choi Nam-sun)has marked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literature in Korea. Yet I think it is the 1920’ which underwent the essential changes in poetic imagery differentiating from the pre-modernistic poetry. Among many creative poets of that period, Kim So-weol and Han Yong-woon deserve our attention as the most outstanding ones. They show us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ve attitudes toward the World and the structure of poetic imagination, the outlook of life, and the methodology of creation. All the while many studies have been emphasizely made on them both as the standards of contemporary poetry, maintaining the universal emotion and empathic elements from their time on to this decade. Examining the extrinsic conditions, such as their national, religious,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they have been continually trying to explore their significances within the area of literary history. But in this thesis another methodology as a desirable approach to them is applied in order to reveal their true nature of universal archetype and their prominent creative power. It is, precisely, the conscio-phenomenological study which tracks down a writer’s imaginative dynamics and explicates the inner nature of their aspirations in the analysis if literary works. And by means of imagery phenomenology, it starts out from the deep roots of writer’s consciousness to reveal the concrete system of aesthetic sense which preoccupies the reader’s whole mind. Furthermore, regarding the literary work as a conflicting entity of incompatible dual meaning, this essay tries to indicate the principles of harmonious elements between the two different orders. In detail, in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the ideas of conscio-phenomenologiacal criticism are proposed to mark the critical foundation of this study. And after examining the scope of the methodology, the problems of existing studies are asked. And in chapter Ⅱ, Kim So-weol’s poem called ‘Ka-neun-gil’ is analyzed to indicate comprehensively where his aspirations point to. It is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work of So-weal and to be the intensive examplary one showing us the general structure of his poetry. It is preceded by the analysis of his major poems in order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as follows. First, Kim So-weol’s poetic dynamics of contradictory transforming process. They are expressed as watertear-snow imagery, or as counterparting imageries like windstone imagery and bird-road imagery. Second, the spade structure of his poetry shows the changing and transforming process with conflicting spaces like mountains, house, and sea and the alienating phenomenon with spaces like brink and end. Third, the time structure of his poetry developes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light and time sequence and represents time-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omentary poetic aesthetics by means of the inclination toward the darkness or the fluctuations of shadow. Thus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imaginative transformation of Kim So-weol results in the sense of extinction and mortality. Then in chapter Ⅲ, Han Yong-woon’s poem call ‘Al-su-up-suh-yo’ is analyzed to indicate comprehensively where Han’s aspirations point to. The poem is considered to be a condensation of his major poems which reaches to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n Han’s poetry the keen awareness of universal order in creative stage is expressed as corresponding structures of god-human world, animal-plant world, and inorganic world. Second, in his poetry the imageries of extinctive stage, such as breakdown and continuance of things, parting and meeting, death and life, are expressed as the dual structure of extinction and continuation. And its circular system is organically interwoven in his poems. Third, in his poetry the poet’s aspirations of rebirth stage are found and explicated by analyzing his perception of light congelation process. And his surpassing clarity of mind is expressed by means of precious stone image which means the congelation of tear, lamplight image which means the volition of fire and light, and fragrance image which means the vaporization of plants. Then it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transformation of Han Yong-woon’s imagination results in the sense of immortality and Eternal Return. Thus in chapter Ⅳ, the two poets imaginative structures are systemized to reveal the connection with the archetypal power represented in their works. For that purpose the distinctive differences of imagery between them a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in short, Kim So-weol and Han Yong-woon prove some differentiae in their ways of grasping things, the usage of poetic diction, and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etc. And this research work of entailing their differences is a work of evaluating the two eminent poets outstanding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not only by their individual imageries but by the aspects of archetypal poetic sense which flows in continuity from past througt to the present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 5 C. 硏究의 範圍 ------------------------------------------------------ 8 Ⅱ. 金 素月 詩의 構造와 想像力의 變容 -------------------------------- 11 A. 「가는길」의 分析과 想像力의 出發點 ------------------------------ 11 B. 흐름과 멈춤의 辨證法 --------------------------------------------- 17 1. 물-눈물-눈(雪)의 美學 ----------------------------------------- 17 2. 바람과 돌의 二項對立 -------------------------------------------- 36 3. 새와 길의 二項對立 ---------------------------------------------- 48 C. 水平的 空間構造 -------------------------------------------------- 66 1. 山과 집, 바다의 對應構造 ---------------------------------------- 66 2. 空間의 孤立化現象 ----------------------------------------------- 78 D. 直觀的 時間構造 -------------------------------------------------- 84 1. 向暗性과 時間의 非實體化 ---------------------------------------- 84 2. 無彩色과 陰影의 變化 -------------------------------------------- 89 3. 詩的 瞬間과 時間의 垂直化 --------------------------------------- 98 E. 消滅과 不歸意識 --------------------------------------------------106 Ⅲ. 韓 龍雲 詩의 對應的 構造와 變容 ----------------------------------116 A. 「알ㅅ수업서요」의 分析과 想像力의 出發點 ------------------------117 B. 生命의 認識과 이미지의 對應構造 ----------------------------------125 1. 神·人間界 -------------------------------------------------------127 2. 動物·植物界 -----------------------------------------------------133 3. 無機物의 世界 ---------------------------------------------------148 C. 斷絶과 連續의 二重構造 -------------------------------------------154 1. 事物의 解體와 連續 ----------------------------------------------154 2. 離別과 만남의 逆說 ----------------------------------------------167 3. 죽음과 삶의 循環 ------------------------------------------------181 D. 草原的 透明性과 빛의 凝結作用 ------------------------------------188 1. 눈물의 鑛物化-〈보석〉의 이미지 ---------------------------------189 2. 불과 빛의 意志-〈등불〉의 이미지 --------------------------------194 3. 植物의 氣體化-〈향기〉의 이미지 ---------------------------------204 E. 不滅과 永遠回歸의 美學 -------------------------------------------210 Ⅳ. 金 素月과 韓 龍雲 詩의 이미지의 比較 -----------------------------213 Ⅴ. 結論 -------------------------------------------------------------218 參考文獻 -------------------------------------------------------------221 英文抄錄 -------------------------------------------------------------2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612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金素月, 韓龍雲 詩에 나타난 想像力의 變刑構造-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