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최소자-
dc.creator최소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1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131-
dc.description.abstractAfter the 16th century, cultural contact between East and West saw new developments as compared with that of previous ages. It was to be called the period of ‘the Coming of the Europeans’ for about three centuries. European countries at that time had expanded their relations with many Asian regions in the field of politics, economics, military and cultures. The purpose of European people’s coming to Asia during the period was not always to subjugate the Asian countries. On the contrary,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ese, the European countries maintained relations with China in the form of a tributary system, with Catholic missionaries introducing Western culture including religion and other learning, to the Chinese and bringing China’s Mode-Chinoisirie-to France, Germany and England. During the period of the Ming and the Ch’i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the way the Chinese and Europeans viewed and understood each other had great significant not only for cultural contact between East and West but also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Chinese in 19th century. This treaties attempts to concentrate on the level of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the European countries by the Chinese and the reactions of the Chinese to the introduction of Hsi-hsuch(西學) In Chapter Ⅱ, this paper examines the Chinese apperception of Europe as reflected in the records of the Chinese Government. Section A of the chapter looks at when the term Hsi-yang(西洋,-West)came to be used in the records of Chinese Governments up to the time of the Ming Dynasty and whether Europe was what was referred to or not. The term Hsi-yang first appeared in Chinese during the Ming Dynasty and after Cheng Ho’s maritime expedition the word came into general use. In 15th and 16th centuries the word denoted areas including the South West coast of China and South East Asia to the Arabian Gulf. It meant the Western part of Borneo according to sources of the 17th century. It came to denote Europe from the Ch’ing Dynasty, but some confusion remained. The list of Western nations in Chinese source materials includes Ta-Ch’in(大秦, Roman Empire)and Fu-lin(拂름, Byzantine Empire)before 16th century. After that period Fo-lang-chi(佛郞機, Portugal), Ho-lan(和蘭, Holland), I-ta-li-a(意大里亞, Italy)were named. The descriptions were inaccurate and confused. They were not recorded from actual direct knowledge and some of the records and habe been reprinted and distorted. Ⅱ-B studies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European countries in Ch’ing Shih-lu(淸實錄). Of cours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important actual relations had to be established between Chinese and European countries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increased a good deal though inaccuracy of geographic knowledge was still to be found. The Ch’ing Court always stood by its own traditional Chinese political order(中華體制)in its relations with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in trade re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eed of Chinese, the Tien-Chao regulations(天朝定制)were disregarded. On the cultural side, Catholic missions were officially permitted by the Chinese government in compansation for the missionaries’ devoted service to the Ch’ing Court, though this fact was not recorded in the Ch’ing Shih-lu. Such a fact shows that all the important events were not recorded , but recorded only when the Chinese felt the need. The period led the Chinese into circumstances in which they could not avoid making humiliating agreements with European countries. Ⅲ analyses the social status and native origins of about 340 persons related with Hsi-hsueh selected from as many materials as were available. It also studies, in the case of Christians, their motives for accepting Christianity. And the gentry’s role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Han-i-hsi-hsueh-shu and their attitudes toward Hsi-hsueh, i.e. whether they were pro or con. This study reveals that those who accepted both religion and science mostly accepted Catholicism out of their interest in science, and those who accepted science only were almost all to work in the field of astronomy and the calendar. There were also many people who accepted only religion. Those who rejected it were mostly Buddist monks, Neo-Confucianists and people who working on the calendar. Those who accepted Hsi-hsueh positively emphasized the Confucian view of M.Ricci’s Tien-Chu Shih-i(天主實義), the relationship between Chtholicism and Confucianism, and anti-Buddism; and it can be seen that they retained an attitude of pu-ju-i-fu(補儒易佛). Those who regarded Hsi-hsueh negatively did not entirely understand Catholicism as is typical of that period. Their anti-Christian movement was based simply on opposition to the differences between Catholic though and Chinese traditional though, not no an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Catholicism itself, as was the case with the anti-Catholic movement in Europe. The main reasons for the anti-Christian movement were that devotion to the Christian God(天主)conflicted with Neo-Confucian morality and that the Catholic Heaven and Hell went against Chinese religious doctrine. Catholicism also opposed the Buddists’ understanding of the after-life and the seculiar basis of Confucian moral philosophy. Chapter Ⅳ studies the effects of China on the West and the West’s reactions. Section A gives an ordered presentation of how much has been accomplished in the study of the acceptance of Hsi-hsueh up to the present and what subjects should be covered in the future. There have been great differences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acceptance of Hsi-hsueh as regards time, quality and quantity. The acceptance of Hsi-hsueh in China was possible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disorder at this period. Jesuit missionaries obtained good results with putting over Ricci’s style and astronomy, and the Roman calendar and Western mathematics were able to take root in China because of their utility. Religious movements, however, caused the Chinese gentry to object to the Jesuit’s proselytizing and an anti-Catholic movement came forth from Confucianist and Buddist circles. Also a Rites controversy occurred among Dominicans, Franciscans, and Augustinians. This resulted in adverse comparisons of the activities of the Christians and caused them many problems. On the other hand, in Korea, Hsi-hsueh was imported directly around the early of 17th century and attracted much interest from the gentry. In 18th century, Hsi-hsueh aroused attention for its science among scholars who were out of power including Li Ik(李瀷). Especially, scholars of neo-Confucianism criticized Catholicism severely and Korea, unlike China, refused to accept mere utilitarian practicality. The Catholic movement as a religion came here on its own without aid from China. Ⅳ-B studies the Han-i-hsi-hseh-shu(漢譯西學書), which brought the most successful results among the Jesuit mission’s works in China. In doing this thesis, I found that of the about 410 Han-i-hsi-hsueh-shu, some of which are no longer extant, most consisted of missionary writings and translations of works on Catholicism and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astronomy, the Roman calendar, mathematics, geography, artillery, the philosophy of Aristotle etc.). Some of the Chinese writers insisted that the only true religion was Catholicism. The publishing of the Han-i-hsi-hsueh-shu peaked from the early part of the 17th century to the end of Ming Dynasty. At this time, the number of books on Catholicism was similar to that of those on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the change from the Ming to the Ch’ing, books on Catholicism prevailed over the others of the 410 Han-i-hsi-hsueh-shu, about five-eights were on Catholicism, one-quarter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one-eight on other subjects. It was in the 17th century that many of the Chinese gentry participated in Han-i-hsi-hsueh-shu writing prefaces and epilogues. They also added notes, made revisions and embellished the texts. These Han-i-hsi-hsueh-shu played a role in proselytizing the gentry to Catholicism and served as a medium for establishing Western science in China and for expanding the range of Hsi-hsueh. Meanwhile, the anti-Catholic movement and activity against the Western calendar increased. In Korea, Li Sheu-kwang(李수光)and Liu Mong-in(柳夢寅)had already become interested in Han-i-hsi-hsueh-shu by the early part of the 17th century, but interest in the new science being imported from China arose among a group of Sil-hak(實學)scholars in the 18th century. About 60 of these books were known to exist in Kore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re is some question as to whether some of them were written by Koreans or not, though more of them were produced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almost all were included in Li Chih-tsao’s Tien-hsueh-chao-ham(天學初函). One who read most of the Han-i-hsi-hsueh-shu was Li Ik, who was a great scholar of Sil-hak. Even though he did not accept Catholicism as his religion, the books on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made him change his Chinese-centered thinking(中華觀). He recognized that a culture other than the Chinese, viz. the Western, also was civilized, and this broadened his consciousness. The deepest meaning of the Han-i-hsi-hsueh-shu, however, was reflected through the persons who accepted Catholicism as their religion because they promoted the religious movement using the Han-i-hsi-hsueh-shu as their medium. It is in these works, the Han-i-hsi-hsueh-shu, that the faith of those Koreans who were converted to Catholicism through reading only a first in the world history was grounded. ; 16世紀에 東西交流는 前時代에 比하여 새로운 樣相을 띠고 전개되었다. 以後 約3世紀間을 흔히 대항해의 時期라고 한다. 이 시기의 西洋은 政治, 經濟, 軍事, 文化面에서 아시아의 여러 지역과 交涉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유럽국가들의 아시아진출이 반드시 그들의 壓力에 아시아국가들이 굴복한 것은 아니다. 特히 中國의 경우는 逆으로 고답적인 위치에서 西方 국가들과 朝貢이라는 特殊한 형식을 통한 對外關係를 유지하였고 西洋宣敎師들에 의하여 西洋文化(宗敎, 學術 等)가 소개되었으며, 또 中國文化가 西方에 전해져서 佛蘭西, 獨逸, 英國에 소위 “中國風”을 유행시켰다. 이러한 明淸時代에 中國이 어떤 모습의 西洋을 이해하고, 西洋이 어떤 모습의 中國을 이해하였는가 하는 것은 그 시대의 東西文化交流라는 면에서만 의의를 갖는 것이 아니고 19世紀의 中國의 對外關係의 變化를 이해하는 단서 즉 近代的인 국제관계를 맺게 되었다고 하지만 실은 반식민지화의 과정을 밟게 되는 것으로도 매우 중요한 것이고, 또 주변국가와의 관계비교라는 의미에서도 그 歷史的 의의는 매우 깊은 것이다. 그래서 本稿에서는 東洋이 西歐資本主義에 의하여 식민지로 전락하기 以前의 明淸時代를 대상으로 西洋文化의 中國流入이라는 측면에서 西洋文化 자체에 대한 것이나, 傳授者의 입장에서 얼마나 發展시켰느냐 하는 문제보다는, 中國의 입장에서 西洋을 어떻게 이해하였느냐, 또 西學의 受容이 受容者의 입장에서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어떤 문제들이 야기되었는가 하는 관점에서 本稿를 정리해 보았다. 크게 나누어 Ⅱ에서 中國側 史料에서 現在의 유럽 즉 西洋의 國家들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검토하였고 Ⅲ,Ⅳ에서 西洋 宣敎師들에 의하여 유입된 西學이 中國에 어떻게 受容되었고 中國人의 反應은 어떠하였는가를 서술하였다. 먼저 Ⅱ-A에서는 그 범위를 明代까지로 설정하여 “西洋”이라는 의미가 中國에서는 明初에 쓰이고 있었지만 鄭和의 南海遠征 때에 一般化되었고 15, 16世紀에는 南洋群島 아리비아灣을 포함하고 있으나 17世紀초의 資料에서는 Borneo의 西方을 뜻하고 있음을 밝혔다. 16世紀 이전에 西洋國家로 기술되고 있는 것이 大秦, 拂름뿐이며 그 이후에는 佛郞機 和蘭 意大里亞 等인데 이러한 국가들을 기술한 官撰的인 기록은 混沌된 부정확한 면이 많고 特히 前時代的인 기록은 現實的인 이해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기 보다는 平面的인 자체기록이 대부분이었고 時代的인 특수성이 결여된 轉載 變形이 많았다. 반면 16世紀 以後에 대한 기록은 現實的인 관계의 서술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지리적인 기본지식의 부족으로 많은 단점을 內包하고 있었다. Ⅱ-B에서는 「淸實錄」을 대상으로 淸朝前期의 西洋에 대한 인식과 現實的인 관계는 어떻게 서술하였나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勿論 前時代에 比하여 그 이해나 인식은 好轉되었지만 지리적인 지식의 부정확함은 여전하였고, 政治, 經濟, 文化面에서도 전통적인 華夷觀의 그늘 아래 對西洋關係를 처리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히 交易關係에서는 天朝定制 天朝體制가 그들의 필요에 따라 變化되는 융통성 있는 면도 볼 수 있었고 文化的인 面에서 宣敎師들이 淸朝廷을 위한 헌신적인 奉仕의 대가로 天主敎公許를 인정하였지만 實錄에서는 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은 바로 청조의 官撰기록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자료로서 취사선택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例이기도 하다. 여하튼 Ⅱ-A,B를 통해 이러한 소극적인 관심, 몰이해, 불필요성에 의한 안일한 현실유지적인 태도는 19世紀의 中國이 西歐列强과 굴욕적인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였다. Ⅲ에서는 그간 간행된 史料 硏究成果를 토대로 발췌한 西學關係의 資料들에서 漢人士大夫들을 西學을 찬성하였거나 反對한 人士 약 340여명을 뽑아 그들을 대상으로 出身地域 社會的 지위를 분석하였고 奉敎者들의 경우에는 天主敎 受容동기 漢譯西學書에서의 漢人士大夫의 역할, 西學에 대한 의식을 贊反의 입장에서 검토하였다. 이 論考에 기록된 漢人士大夫의 數는 筆者가 可能한 자료들에서 임의선택한 것이며, 姓名 이외에 알 수 없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學問과 宗敎를 다 受容한 人物中에는 學問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宗敎로 확대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學問만 受容한 人物中에는 天文 歷法관계의 일에 종사한 사람이 대부분이었고 宗敎만 受容한 士大夫들도 상당수였다. 그리고 배척한 人士中에는 佛僧과 儒敎系人士, 回回歷관계의 종사자들이 대부분이었다. 또 이들의 西學意識은 肯定的으로 받아들인 人士들의 경우에는 Ricci의 「天主實義」에 나타난 유교관, 의식, 天學과 유학과의 관계,闢佛的인 견해를 강조하면서 補儒易佛의 태도에 머물렀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그들은 Ricci의 주장을 모방하거나 답습하는데 머물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反面 否定的인 인사들의 경우는 그들의 破邪論이 전혀 카도릭의 사상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佛敎와 儒敎의 야합을 통해 전개된 것임이 이 시기의 西學인식의 特徵이었다. Ⅳ에서는 주로 耶소會 宣敎師들에 의하여 도입되는 西學이 中國人에게 어떤 反應을 일으키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受容者의 입장에서 검토한 것이다. 그러나 西學受容이라는 바로 이 문제는 朝鮮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이므로 A,B에서 朝鮮의 문제를 의식하였다. Ⅳ-A는 지금까지의 西學受容에 대한 연구가 어디까지 도달하였고 앞으로 展開해야 될 과제는 과연 어떤 문제들인가 하는 관점에서 그간의 硏究成果들을 토대로 재정리한 것이다. 西學의 受容문제를 그 質이나 量, 시대의 차이로 中國과 朝鮮을 같은 위치에 놓고 비교할 수는 없지만 朝鮮의 문제는 그 나름대로 學問의 범위확대라든지, 自生的인 天主敎의 形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것이다. 中國에서의 西學受容은 政治的, 社會的 혼란기라는 現實 때문에 더욱 가능하였고, 耶소會 宣敎師들이 士大夫에의 접근을 의식한 적응주의적 방법을 썼기에 성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天文 歷法, 數學 等은 그 實用性 때문에 中國社會에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그러나 宗敎는 그들 耶소會의 포섭대상이 漢人士大夫였기에 儒敎·佛敎系 人士들과 분쟁을 일으키게 되었고, 他傳敎團에 의한 典禮문제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사실 宣敎師들의 노력과 活動에 비하여 中國에서 얼마나 성과를 거두었다고 볼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 反面 朝鮮에서는 西學이 中國에서 직수입되어 이미 17世紀 初에 식자들의 관심이 보이고 있지만 18世紀에 이르러 李瀷을 위시한 南人系 在野人士의 學問的인 관심에서 그 폭이 넓어지고 學問으로의 朝鮮社會에의 정착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宗敎的인 면에서는 朱子學系 人士들에 의하여 혹평의 대상이 되었고 學問的으로도 中國과 같은 實用性을 지니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미 中國에서는 天主敎의 宗敎活動이 衰退一路에 있었으므로 충분한 활력을 공급받지 못하였던 것이다. Ⅳ-B는 耶소會의 中國傳敎方法의 여러가지 중 가장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漢譯西學書”에 대한 硏究이다. 漢譯西學書는 엄밀하게 말하면 明淸時代 西學關係漢文書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왜냐하면 西學(天主敎, 西洋學問, 技術)에 대한 西洋인宣敎師의 著述, 譯述을 비록하여 西洋人의 口授 中國人의 筆記도 있고 中國人의 護敎書, 贈詩, 上疏, 其他 短文 等 많은 내용을 포함하는 一連의 책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西洋宣敎師들의 著述 譯述이 대분분이고 西洋의 宗敎, 學問 等을 다룬 것이기에 筆者는 漢譯西學書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이 관계저술들을 부르기로 하겠다. 이 책들은 現存하는 경우도 있고 소실된 경우도 있기에 정확하게 말하기는 어렵지만 실자가 조사한 바로는 約410여종이었다. 또 筆者가 조사 작성한「中國關係西洋人名錄」(16世紀말-20世紀)에 의하여 이 明淸時期에 활동한 宣敎師는 約 350名인에 그중 80여명이 漢譯西學書에 관계되었던 人物들이었다. 西洋人 著述者中 대부분은 耶소會 宣敎師들이었지만 아닌 경우도 몇 사람 눈에 띠는데 Franciscan의 A.Caballero같은 人物의 저술을 徐 宗澤의「明淸間耶소會士譯著提要」에서 耶소會士의 저술로 쓴 것을 보면 이와 같은 耶소會의 宣敎師 저술로 왜곡된 것은 사실은 더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耶소會士 모두 漢譯西學書의 일에 관여된 것도 아니었다. 이러한 漢譯西學書의 출간은 M.Ricci의 活動以後 明末까지를 피크로 볼 수 있는데 이시기에는 傳敎를 위한 書籍과 天文 歷法 科學 等의 책이 半半이었다. 그러나 明淸交替以後는 주로 傳敎를 위한 책 즉, 禮式, 日課, 儀禮 等에 대한 것이 中心이며, 宣敎師들의 저술인 漢譯西學書는 萬曆年間前後의 종합적인 성격에 비하여 傳敎類 또는 學問 科學類로 나누어서 볼 수 있었다. 또 漢人著述者들은 주로 基督敎가 眞敎임을 주장하는 眞敎변호류를 내놓았는데 後期에 비하여 주로 明末에는 徐光啓, 楊廷筠, 朱宗元, 韓霖 等 名士級人士의 저술이 많았다. 漢譯西學書에 漢人士大夫들은 序 小引 引 跋文을 썼고 筆記 訂 校 閱 潤 等에 관여하였지만 그 이상의 개입도 예측된다. 그리고 明末의 漢譯西學書등은 직접 宗敎전파를 위한 매개체로 이용되었고, 나아가 서방의 學問을 도입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여 學術內容의 확대도 가져왔고 思想界에 과학정신을 불어 넣었다. 反面 反基督敎, 反西洋歷法運動이라는 逆의 움직임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西學受容이 漢譯西學書를 통하여 이루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朝鮮에서는 「天主實義」에 대한 論及이 李수光, 柳夢寅에 의하여 나타났으나 本格的인 學問上의 영향은 18世紀의 實學者들에게서 나타난다. 유입과정이나 그 소개된 종류의 전모를 소상하게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現在까지 約60여종이 알려져 있다. 그 60여종은 17世紀 前期「天學初函」에 포함된 것들이 많고 일부는 18世紀의 저술도 포함하고 있다. 當時 가장 많은 漢譯西學書를 정독한 人物은 李瀷인데 그는 天主敎는 긍정하지 않았으나 西洋의 天文 歷法 等 과학은 어느 정도 수긍하고 있다. 가장 많은 관심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역시「天主實義」인데, 科學, 學問에 대한 책들은 李瀷을 비롯한 實學者들에게 새로운 세계를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의식의 확대를 가져왔다. 그리고 18世紀 後半 宗敎活動者들은 이 漢譯西學書들을 매개로 새로운 宗敎運動의 단서를 마련하였고 朝鮮人 信者를 위한 著述을 마련하기도 하여 漢譯西學書의 朝鮮에서의 역할 및 그 역사적 의의를 한층 높혔다. 以上의 西學受容에 대한 硏究에서 “西洋”이라는 말의 의미라 유럽을 의미하게 되는 것은 19世紀 以後라는 것, 中國側의 소위 官撰的인 史料도 정확한 시대적인 특징이 없이 적당히 轉載 變容되었다는 것, 그 內容 역시 매우 소홀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문제는 現實的인 關係를 맺는 大航海의 時代 이후에는 다소는 나아졌으나 비슷한 양상을 띠게 되었고 淸代 官撰的인 編年體의 대표적인 實錄에서도 그 유사성이 나타났다. 그래서 資料의 취사선택이 편협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中華的인 입장에서 처리해 나갔다. 또 勿論 淸初라는 제한된 시기지만 西學關係中國人(부록A참조)을 340여명을 뽑아서 그들을 대상으로 贊反의 의식을 볼 수 있었던 것은 中國이 西學을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었고, 그 變容은 어떤 것이며, 中國社會에 어떤 變化를 가져올 수 있었느냐, 하는 점을 추적할 수 있는 매우 중대한 문제이다. 이 문제는 더 나아가 朱子學系, 佛敎系와는 상반되는 반응을 일으키지만 東林系(그 반등은 Ⅲ 참조)陽明學 考證學과는 어떤 연관을 지을 수 있을지, 胡適은 西學이 考證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하고 있는데 考證學의 性格이나 時代的인 背景에서 이 문제는 전혀 부정할 수 없으며 앞으로의 硏究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에 따라 在來思想에 어떤 變化를 주게 되었는지 좀더 부연될 것이다. 또 이 시기의 西學受容은 19世紀의 카도릭이나 新敎와는 그 時代背景이나 活動, 性格, 미칠영향이 비교됨으로써 이 時期의 時代的인 특성이 좀더 뚜렷해질 것이다. 아울러 西學受容의 결과 地理的인 지식의 확대, 他文化圈의 인식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 이루어졌다면 傳統的인 對外觀에 어떤 變化가 이루어졌는지 검토되어야 될 것이다. 이 地理的 지식, 인식은 肯定的으로 보기에는 매우 어려운데 特히 19世紀 「海國圖志」「瀛環志略」에서도 유사한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漢譯西學書”에 대한 문제는 現在까지 그 문제만을 취급하여 硏究대상으로 삼은 論考가 없었다. 그러나 中國에 이 부류의 책을 통하여 미친 영향이나 朝鮮에서 新學問으로 또 天主敎의 발생을 宣敎師의 活動없이 추진시켰다는 것은 그 歷史的 의미가 매우 큰 것이다. 그래서 410여종(筆者가 발췌가능 했던)을 대상으로 그 자체에 대한 特性이나 時代的인 문제 그리고 中國人과 韓國人士大夫에게 미친 영향을 검토해 본 것이다. 西學受容이라는 문제에서 朝鮮의 경우 特히 宗敎로서 天主敎의 發生 초기 活動에서 筆者가 이해하기에는 中國傳敎를 실시했던 여러 파 중 耶소會 傳敎的인 性格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인식하게 되었다. 주로 上層의 士大夫계급을 통한 方法, 漢譯西學書를 매개로 하였다는 点, 一般庶民보다는 現實政治의 참여자는 아니지만 在野의 지식인, 王室人士가 대상이 되었다는 점에서 였다. 아울러 西學受容의 시대적인 추이, 變化는 어떠하였는가 하는 문제는 다음 기회에 後論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Ⅱ. 中國側 史料에서 본 "西洋" ---------------------------------------- 9 A. 明代까지의 "西洋"에 대한 理解 및 認識 ---------------------------- 9 B. 淸朝前期의 對西洋觀∼淸實錄을 中心으로 --------------------------- 35 Ⅲ. 中國人의 西學意識 ------------------------------------------------ 81 A. 明末淸初 漢人士大夫의 西學意識 ----------------------------------- 81 Ⅳ. 中國과 韓國의 西學受容 -------------------------------------------139 A. 西學受容에 대한 問題∼ 中國과 韓國의 比較試論 --------------------139 B. 17, 18世紀 漢譯西學書에 대한 硏究∼ 中國과 韓國의 士大夫에게 미친 영향 -------------------------------193 Ⅴ. 結論 -------------------------------------------------------------261 參考文獻 -------------------------------------------------------------269 附錄 -----------------------------------------------------------------285 A. 明淸年間 西學關係 中國 人名錄 ------------------------------------287 B. 中國關係 西洋人名錄(16世紀末∼20世紀)및 西洋人名의 漢字表記 ----312 論文抄錄 -------------------------------------------------------------5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676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明淸時代 西學受容에 관한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