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7 Download: 0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yudy of the influences of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the early youth on their psychosocial maladaptation
Authors
김혜영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Docto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그 유형과 정도에 있어 매우 다양하다. 특히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은 성인기의 우울증, 알콜중독, 반사회성 등의 만성적 문제를 예측할 수 있는 예견인자라는 점에서 소홀히 여겨질 수 없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청소년 문제는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문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중·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청소년의 특정 문제행동 즉, 비행, 우울 등에 초점을 두고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부적응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Barber(1994)는 청소년의 자율성을 억제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우울, 불안 등의 내재화 문제와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행동적 규제의 결핍은 비행,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함으로써 문제유형별로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요인이 다르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Lamborn(1991)은 부모-자녀관계에서 청소년의 높은 자율성의 정도가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증상과 관련이 높다고 주장하였으므로, 이는 Barber의 연구결과와 다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사고의 문제 등- 의 어떤 측면에 부모양육행동 요인이 보다 더 영향력을 미치는가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요인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부모양육행동의 순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이미 문제 청소년으로 판정된 보호관찰 청소년을 일반 청소년과 비교분석하므로써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가장 영향력있는 부모양육행동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내 일반 청소년 611명(초등학생 317명, 중학생 294명)과 보호관찰 청소년(서울, 인천, 대구)을 154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행동 척도, 심리사회적 부적응 척도(K-YSR), 친구 관계척도, 개인적 성격특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oneway ANOVA, t-test, 단계적 다변량 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 초기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분석 첫째, 학년 구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주의집중 문제가 중학생이 초등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그 밖의 문제유형에 있어서 통계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신체화 증상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외현화 문제, 비행 문제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제 수준이 낮은 집단이 중·상 집단 보다 초기 청소년의 총 문제, 위축, 우울/불안, 내재화 문제, 주의 집중문제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행, 공격성, 외현화 문제는 경제수준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버지의 직종별로는 주의집중 문제에서만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주의집중 문제의 정도는 단순기술직이 중간관리자, 고위직/전문직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중졸 이하인 집단이 고졸인 집단보다 문제 정도가 높고, 대졸이상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어머니의 학력은 총 문제, 내재화 문제, 위축, 우울/불안, 외현화 문제, 비행, 공격성 문제 등에서 중졸이하인 집단이 고졸인 집단 보다 높았고, 대졸이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양육행동의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의 정도는 자녀가 초등학생인 경우 중학생 보다 높게,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지각하였다. 또한 외동인 자녀보다 맏이, 둘째, 막내인 자녀가 부모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더 높게, 경제 수준별로 상류집단의 청소년이 중류, 하류집단의 청소년 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 직종이 고위직/전문직인 집단의 자녀가 단순기술직 보다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높게, 고위직/전문직, 자영업, 중간관리자 집단의 자녀가 단순기술직 집단의 자녀보다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을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학력이 중졸이하인 집단의 청소년은 고졸, 대졸이상 집단의 청소년 보다 친밀감 및 합리성을 낮게 지각하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어머니, 아버지의 통제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경제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통제는 하류 집단의 자녀가 상류집단의 자녀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 직종별로 단순기술직인 집단의 청소년이 자영업, 중간 관리자, 고위직/전문직인 집단의 청소년 보다 어머니 통제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어머니의 학력이 중졸이하인 집단의 자녀가 고졸과 대졸이상인 집단의 자녀보다 어머니 통제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어머니, 아버지의 과잉보호는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부모의 과잉보호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어머니 방임은 중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더 높았으며, 형제순위에 따라 둘째인 집단과 막내인 집단이 맏이 보다 어머니 방임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아버지의 직종이 자영업인 집단의 자녀가 고위직/전문직 자녀보다 부모 방임의 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2. 일반 초기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요인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행동요인이 어떠한 통계적 차이가 있나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 보다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는 아버지 보다 애정, 수용 및 경청,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이과 이성적 설득을 통한 훈육을 하는 정도가 높으며 동시에 자율성을 억제하는 지타친 간섭과 보호의 정도도 높았다. 그러나 체벌, 무조건적 복종 등의 강압적, 심리적 통제와 방임은 아버지, 어머니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경우 총 문제행동에서 통제가 가장 영향력있는 변인이었고 다음으로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방임은 통계적인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는 변인이었다.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은 내재화 문제에 가장 큰 영향력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통제, 과잉보호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방임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외현화 문제에서는 친밀감 및 합리성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고 다음으로 통제, 방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잉보호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기청소년의 총 문제,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기타 문제에서 동일하게 친밀감 및 합리성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통제가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버지의 과잉보호와 방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행동의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결과 내재화 문제의 경우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 어머니의 과잉보호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의 경우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아버지의 통제와 친밀감 및 합리성, 어머니의 친밀감 및 합리성이 유의미한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총 문제행동의 경우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후 아버지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 어머니 과잉보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국, 아버지, 어머니의 애정 및 수용, 언어적 설득에 의한 훈육, 일상생활의 관심 등을 낮게 지각할수록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정도는 높아지며, 아버지의 지나친 체벌, 비일관적 훈육, 무조건적 복종, 죄의식유발등의 심리 통제, 어머니의 지나친 간섭과 자율성을 억압을 높게 지각할수록 심리사회적 부적응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행동요인 첫째, 어머니의 경우 총 문제행동, 내재화 문제 및 신체적 증상, 우울/불안, 사회적 미성숙 등에서 통제가 유의미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와 방임은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어머니 양육행동요인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 및 비행,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행동 요인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재화 문제 및 신체적 증상, 비행 문제 등에 아버지의 통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밀감 및 합리성, 과잉보호와 방임은 통계적인 영향력이 없는 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부모양육행동의 순수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구관계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결과 내재화 문제의 경우 어머니, 아버지의 통제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외현화 문제는 아버지의 통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총 문제행동의 경우 친구관게와 개인적 성격특성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통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4.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의 비교 일반 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의 두드러진 차이점은 후자의 경우 부모의 통제 즉 심한 체벌, 비일관적 훈육, 무분별한 분노표현과 같은 강압적 통제와 청소년의 언어적 표현의 억압, 느낌과 생각의 무시, 죄의식 유발등의 심리적 통제만이 심리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다. 이는 일반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보호적 행동, 강압적 통제와 심리적 통제, 애정, 수용, 합리적 지도 등 다양한 요소들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상이하다. 5. 사회사업실천에 시사하는 의미 첫째, 본 연구대상자인 일반청소년과 보호관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표준점수를 비교해 보면, 외현화 문제는 63T점 이상 비율이 보호관찰 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대략 두 배 정도 높았지만, 총 문제 및 내재화 문제, 기타 문제 등은 비율상 별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일반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정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시사하므로써 학교사회사업 활성화에 대한 절대적 필요성을 지지하고 있다. 둘째, 부모의 학력이 대졸이상인 집단은 고졸보다 거의 모든 문제유형에서 초기 청소년의 문제 평균점수가 더 높고 부모의 과잉보호가 대졸 이상에서 가장 높았다. 이는 부모 학력이 높다고 해서 바람직한 자녀교육을 행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아버지 직업종류가 고위직/전문직인 경우 단순기술직에 버금가게 신체적 증상을 비롯한 내재화 문제에서 평균점수가 높았다. 이는 청소년 문제가 아버지 직업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연구결과와 상이하므로 주목할 만하다. 셋째, 일반 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친밀감 및 합리성은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게, 통제와 과잉보호는 남학생이 더 높게 지각하였다. 더욱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현화 문제, 비행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비추어 볼 때 남자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게의 부정적 측면이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부모관리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녀를 효과적으로 양육하고 자녀와의 상호작용패턴을 바꿀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양육행동척도의 하위개념 즉, 수용 및 경청기술,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과 모니터링, 합리적인 의사소통법을 활용한 사회복지 실천의 임상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현대사회에서 자녀양육 기능은 거의 전적으로 어머니에 의해 수행되고 있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아버지 보다 빈번하다는 이유로 아버지의 양육행동의 자녀에 대한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시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아버지 양육행동의 친밀감 및 합리성과 통제가 어머니 양육행동보다 초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더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것이 매우 주목된다. 이는 초기 청소년의 내재화, 외현화, 기타 문제행동을 사정하고 개입할 대 아버지 양육행동요인은 중요한 변인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내재화 문제에는 어머니의 과잉보호 즉, 자율성을 억제하고 자녀의 연령에 적절하지 않는 보호적 행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외현화 문제는 어머니의 무관심과 방관적 태도 즉, 지나치게 자율성을 허용하는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부모의 자율성 허용정도가 문제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여섯째, 부모 각각의 양육행동요인이 초기청소년 내재화 문제와 외현화 문제에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기능연구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가족내 개인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밝힐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일곱째,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비교에 의하면,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부모의 지나친 체벌, 비일관적이고 무분별한 분노표현, 언어적 표현의 억압, 죄의식유발, 인격적 공격 등의 강압적, 심리적 통제가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모든 유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자녀를 인격체로 인정하기 보다 부모의 소유물로 간주하는 태도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초기 청소년의 심리 사회적 부적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권위주의적 자녀 양육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치관 교육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 Psychosocial maladaptation of early youth shows very much diverse types and degrees. Especially, early youth s psychosocial maladaptation can not be overlooked since it s a predictive sign for such chronic adulthood problems as depression, alcoholism and anti-social behavior. Previous studies imply that juvenile problems are closely connected with improper parenting behaviors. Many studies so far, however, mostly deal with somewhat middle or late period of youth, thus, studies of the early youth s behavior problems are a very few. Also only specific behavior problems of youth such as delinquency and depression have been exclusively focused on, requiring investigations of the general psyhosocial maladaptation symptoms.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the early youth affect their psychosocial maladaptation. To test a net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s its influence upon youth's maladaptation was investigated excluding main effects of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s. And most effective parenting behavior that affects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was sought by analytically comparing juvenile delinquents under probation with normal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611 normal children in Seoul(317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94 middle school students) and 154 children under probation. To test the hypotheses,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K-YSR, Index of Peer Relation(IPR) and Personality Scal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with one-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alysis of norma early youth by demographic variable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attention problem than elementary schoolers. But in other areas, there was not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somatic complaints, girl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boys, while boys showed higher degrees of externalizing and delinquent behaviors. The low income level group them high & midd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in total behavior problems,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 internalizing problems and attention problems, while there was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delinquency, aggressiveness and externalizing problems. As for the attention problem children of labor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those of managers, officials and professionals. Children of fathers with education below middle school also showed higher degrees than groups whose fathers having academic careers above high school or university. Children whose mother's education is below middle scho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in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withdrawal, anxiety and depression,externalizing problems,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than those having mothers with high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y demographic variables, it wa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ers than middle schoolers and girl students than boys ha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of their parents' intimacy/rationality. Also children with siblings perceived their parents' intimacy/rationality more strongly than the single child, so did children of high income family while those of middle or low income family did not. Boys perceives parents' control more strongly than girl students, and children of low income family perceived mother's control more strongly than those of middle or high income family Children whose fathers were labor workers perceived their mother's control more strongly than children whose father were self-sustaining businessman, a manager, an official or a professional. As for parents' over protectiveness, boy students perceived it more strongly than girl students. As for mother's neglect,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than elementary schoolers, so did the group of the second or last child while the first one did not. Children whose fathers were either self-sustaining businessman perceived their parents' neglect more strongly than children whose fathers were either an official or a professionals. 2. Parents' fostering behavior factors affecting early youth s psychosocial maladaptation First, as a result of seeing whether there is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ehavioral factors of mother's parenting and father's parenting, it was revealed that mot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than fathers in such areas as intimacy/rationality and overprotection. Second, in the case of the mother, the most effective variable wa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then intimacy/rationality and overprotection in that order, while neglect was the least statistically effective variable. Mother's intimacy/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internalizing problems and then control and overprotectiveness in that order while neglect was a rather insignificant variable. To externalizing problems, intimacy /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and then control and neglect in that order, while overprotectivenes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behavioral elements in father's parenting on the early youth's psychosocial maladaptation, it was revealed that intimacy/ rationality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behaviors, externalizing problems, and other problem. A control was the next. Third, as a result of ex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s to examine a net influence of parenting, it was revealed that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the early youth's internalizing problems were father's intimacy/rationality, control, and mother's overprotection. In case of externalizing behavior, father's control and intimacy/rationality and mother's intimacy/rationality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s. To total behavior problems, father s intimacy/rationality, father's control and mother's overprotection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3. Parenting behavior factors affecting psychosocial maladaptation of early youth under probation. First, in case of the mothers, control was a signification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ternalizing behavior or somatic complaints, anxiety and depression and social problems. But mother's parenting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r delinquency and aggressiveness of the youth under probat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control affected significantly the internalizing behaviors or somatic complaints and delinquency of the youth. But intimacy/rationality, overprotection and neglect were revealed to be statistically less effective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cluding peer relationship and personal character to examine net influence of parenting behavior, it was revealed that only mother's control was a significantly effective variable to total behavior problems. In case of internalizing behaviors, mother's control and father's control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m, while only father's control affected externalizing behaviors significan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