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자-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creator김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4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7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400-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인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은 개발에만 집중되고, 실행 중인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은 실천될 때 그 의미가 있는 것이므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을 살피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특히 7차 교육과정이 새로 도입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경우, 무엇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왜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 자체, 교과서, 교사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정하고, 문헌 연구, 설문조사, 인터뷰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요인에서는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학년별 내용'에서 '수준별 학습활동의 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준을 나누는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고, 교수ㆍ학습에 대한 수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수준별 교수ㆍ학습의 방법과 평가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결국 7차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는 교수ㆍ학습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동일시될 만큼, 교사와 학습자가 전적으로 의존하는 교재이다. 따라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가에 따라 교육과정의 실행 정도가 좌우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국어과 교과서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은 대단원의 학습목표에 따라 <보충ㆍ심화>라는 새로운 체제로 실현되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체제는 형식으로서의 틀만 갖추었을 뿐 내용의 질적 기대에 미치지 못해, 교육과정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특히 교육과정에서 근거를 찾아볼 수 없다는 이유로 '심화'학습 대상자와 '보충'학습 대상자를 구분하는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다. 교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로 교과서에 의존하지 않고 교육과정에 의거한 수업을 실시하여 교육과정을 보다 충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요인이다. 그러나 교사들은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높을 뿐 그 깊이가 얕아, 교과서나 교실 현장의 상황 및 관행화 된 절차에 따르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학생들의 수준을 나누는 어려움 때문에 '자기점검'과 '보충ㆍ심화'를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였다.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현 가능하고 구체성 있으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충실히 반영하는 교과서를 개발하며,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교사에게 충분히 제공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자체가 나머지 실행 요인들과 의사소통 가능하도록 명확히 기술되어야 한다.;This study is aimed for grasp at aspect of implementing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that feature of the 7th Korea language curriculum, diagnosing problems and presenting some alternatives. In the meantime, the concern with a curriculum has been concentrated on developing it, and little concern has been given to the curriculum which is being implemented. But since a curriculum is significant when it is carried out, examining the aspects that it is implemented is meaningful work.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confirming what has been changed how and why changes did not occur. For this study, first of all, the directly factor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re decided upon the curriculum itself, textbooks, teachers, and analyzed through study of literature, survey, interview. The factor of a curriculum showed 'case of differentiated activity' at 'contents by grade' in the 7th Korea language curriculum. But neither provides an exact criterion for each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nor does it contain any specific illustration of how to teach and learn differentially or how to assess the learning differentiall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7th Korea language differentiated curriculum doesn't satisfy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good curriculum. textbooks is teaching materials as dependent as identify curriculum with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ow textbooks reflecting the curriculum is under the control on the extent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differentiation curriculum at the Korea language textbooks came to pass a new organization called <advance and supplement>, by the objective of unite. But this new organization only have form, have poor quality of matter, do not reflect fully curriculum. Especially, by reason of curriculum has no foundation, criterion of discriminating between the student for advanced learning and the student for supplemental learning are not precise. A teacher can implement a curriculum more faithfully by implementing the classes based on it without relying on textbooks as the subject of implementing a curriculum. But, nearly all teachers tended to only conceptual understand of the differentiation curriculum, deeply so shallow, are distorted educational structures such as the trend of centering on entering a school of higher grade, aristocratic educational administration. Especially because of difficulties in classify into level, 'self-checkup' and 'supplementㆍadvance' didn't implement well. Implementing a curriculum faithful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needs developing a feasible, concrete curriculum which is easily understood to teachers, developing textbooks reflecting a curriculum faithfully, providing teachers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educating teachers for improving their expertness. For solving these problems, curriculum itself must be described clearly for a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factors of implementing and developers of the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선행 연구 검토 =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 5 Ⅱ.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 10 A.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 10 1. 수준별 교육과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 10 2. 국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 14 B.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 21 1. 교과서의 '자기점검' = 24 2. 교과서의 '보충·심화' = 33 Ⅲ. 중학교 국어과 교사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 46 A.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본 교사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 48 1. 교사의 인식과 태도 = 48 2. 교사의 수업 운영 = 53 B. 인터뷰의 방법으로 본 교사의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 65 1. 교사의 인식과 태도 = 66 2. 교사의 수업 운영 = 71 Ⅳ. 중학교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제언 = 78 A. 수준별 교육과정 실행 모형으로부터의 제언 = 78 B. 부분적 수준별 교육과정 = 85 Ⅴ. 결론 = 90 참고문헌 = 93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57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 실행, 제 7차 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심화·보충형 교육과정, 충실도, 실행 모형, '보충·심화', '자기점검',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differentiated curriculum, advanced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fidelity, implementation model, 'supplement-advance', 'self-checkup'-
dc.title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행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의 '자기점검'과 '보충·심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on the 7th Korea language curriculum : Centered on the 'self-checkup' and 'supplement·advance' in middle school textbooks-
dc.creator.othernameKim, Ji-Sun-
dc.format.pageii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