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자-
dc.contributor.author신미영-
dc.creator신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0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39-
dc.description.abstract컴퓨터는 기존의 의사소통과는 다른 의사소통 방식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글쓰기의 기능은 워드를 이용한 문서 작성 정도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글을 쓰는 공간이 종이에서 컴퓨터로 이동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인터넷이라는 공간을 이용해 실시간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고 다양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능까지 더해지면서 이것은 글쓰기의 혁명이라고까지 불리게 되었다. 또한 동시에 이러한 시대 변화에 맞추어 글을 쓰는 능력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필요하다. 이러한 새로운 작문 흐름에 따라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에 컴퓨터를 활용한 글쓰기 내용을 신설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이 배우는 컴퓨터를 통한 쓰기 교육 내용은 펜 작문을 할 경우 필요한 자료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집하고 선정하거나, 작문의 장소를 종이에서 컴퓨터로 단순히 이동하는 활동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은 그 특성에 따라 다른 교육이 필요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를 활용한 작문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 작문과 일반적인 펜 작문을 수집하여 유의미한 관련성을 밝혀 이를 통해 작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본 연구를 고찰하기 위한 전제로 펜 작문과 컴퓨터 작문의 특성과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토대로 Ⅲ장에서는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에 관하여 학생들이 평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는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설문 조사를 기초로 하여 실제로 학생들의 작문에서 이러한 실태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실현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다양하게 나타난 작문 양상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뚜렷한 특성이 드러나는 학생들의 글을 유형별로 분류한 후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유형 분류는 크게 두 작문 모두에서 인터넷 작문의 특성이 드러나는 ‘인터넷 작문 유형’과 펜 작문의 특성이 드러나는 ‘펜 작문 유형’을 제 1유형으로, 각 매체에 따른 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을 제 2유형으로, 상황과 글의 종류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유형을 제 3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들을 심층적으로 면담하여 글에 드러나는 현상의 원인과 그 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글의 수준이 가장 높은 유형과 낮은 유형, 독자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유형과 그렇지 않은 유형, 바람직한 유형과 바람직하지 않은 유형 등을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사례 연구에 대한 결과 분석을 통해 본 연구자는 작문의 교육적 방안을 제안할 수 있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보완하고 강화시켜 앞으로의 작문 교육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물론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은 매체의 특성상 나타날 수 있는 각각 다른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평가의 기준도 적합하게 달라지고 이에 따른 교육의 방법도 변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는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작문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의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학생들의 글을 분석하고 유형화하여 앞으로의 작문 교수ㆍ학습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A computer brought a new method of communication unlike the existing communication. A writing function that a computer could perform was to write out documents only several years ago. However, it is not a simple shift of space on which people write from paper to a computer. As real-time mutual communication is available and functions to use various data are added using the Internet, it is called the revolution of writing. Besid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power of writing becomes very important and a plan is needed to use this effectively. According to this new trend of writing, in the seventh curriculum, contents of writing using a computer were introduced in Korean education. However, educational contents of writing using a computer students are learning actually are no more than activities to collect or select necessary data through searching on the Internet in pen-based writing, or activity to change space for writing from paper to a computer. Thus, this study began with the assumption, "Internet-based writing and pen-based writing need different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this study purpos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by clarifying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Internet-based writing and general pen-based writing, which students used most out of writing using a computer.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courses of pen-based writing and computer-based writing were arranged as a premise for considering this study. Based on this theory, in Chapter Ⅲ, actual conditions how students recognized and performed Internet-based writing and pen-based writing were investigated. Founded on the result of this questionnaire survey,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how these actual conditions were realized in students' writing. In Chapter Ⅳ, to clarify reasons why various aspects happened in writing which were indicated in Chapter Ⅲ, students' writing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depending on types. Th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yp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 type of Internet-based writing" where characteristics of Internet-based writing was indicated in both writings and "a type of pen-based writing" where characteristics of paper-based writing was indicated in both writings were classified into the first type, a type which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each medium was divided into the second type, and a type which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ituations and kinds of writings was classified into the third type. The students selected as the subject of interview were interviewed deeply and reasons and characteristics of symptoms revealed in writings were analyzed closely. Through this analysis, types were divided into types of the best writings and the worst writings, types of writing appealing readers' interest and the reverse, and types of desirable writings and undesirable writings. A type-based case stud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rough which this researcher could propose a plan for writing education. It was judged that supplementing and enforcing types of the most desirable writing could be helpful in coming writing education. Of course, Internet-based writing and pen-based writing have respectively different positive factors and negative ones. Likewise, each writing demanded different ability, so it was claimed that standards of assessing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demands had to be changed and methods of teaching these had to be shift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is study did not present a teachingㆍlearning model for writing through this case study and did not discuss how to apply the model. However, this study laid its meanings on the point that this study analyzed and classified students' writings, and presented a direction for teachingㆍlearning of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선행 연구 = 2 C. 연구 대상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 6 Α. 펜 작문 = 6 Β. 컴퓨터 작문 = 7 1. 워드프로세서 작문 = 8 2. 인터넷 작문 = 10 Ⅲ.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실태 및 양상 = 13 A.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실태 = 13 1. 인터넷 작문 이용 실태 = 13 2.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인식 비교 = 16 3.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과정 비교 = 23 4.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통신언어 사용 비교 = 27 B.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양상 = 30 1.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공통점 = 31 2.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차이점 = 35 a. 인터넷 작문 양상 = 35 b. 펜 작문의 양상 = 42 Ⅳ. 유형별 사례 연구 및 결과 분석 = 46 A. 유형별 심층 인터뷰 = 46 1. 제 1유형 -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차이가 없는 경우 = 47 a. 인터넷 작문 유형 = 48 b. 펜 작문 유형 = 62 2. 제 2유형 - 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차이가 있는 경우 = 74 3. 제 3유형 - 전략에 따라 다른 경우 = 89 B. 결과 분석 및 제언 = 100 1. 각 유형별 결과 분석 = 101 a. 제 1유형 결과 분석 = 101 b. 제 2유형 결과 분석 = 104 c. 제 3유형 결과 분석 = 105 2. 작문 교육을 위한 제언 = 107 Ⅴ. 결론 = 114 참고문헌 = 118 부록 = 122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662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인터넷 작문과 펜 작문의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Internet-based writing and pen-based writing : Focusing on the second grade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Shin, Mi-Young-
dc.format.pageix, 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