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7 Download: 0

불어와 한국어의 지시한정사 대조 연구

Title
불어와 한국어의 지시한정사 대조 연구
Other Titles
Etude contrastive des demonstratifs adjectifs entre en francais et en coreen : contraste de leurs sens au niveau du systeme et correspondance entre eux dans la traduction
Authors
변선화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Nous avons essaye d analyser les systemes d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s dans la perspective semantico-pragmatique et de degager les caracteristiques propres de chaque systeme, en comparant le demonstratif adjectif francais CE avec les demonstratifs coreens i, keu, cheo et en examinant la correspondance dans la traduction entre le francais et le coreen. Le demonstratif francais CE peut referer non seulement a un objet existant dans la situation d enonciation extra-linguistique mais aussi a un element linguistique dans le contexte anterieur. Mais cette meme reference est aussi faite par l article defini LE. Eclairer les proprietes et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propres de CE qui sont differentes de celles de LE, est tres important dans l etude de CE. Dans les travaux sur CE, on admet en commun que les differences entre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 et celles de LE proviennent de l opposition entre leurs moyens de donnation du referent. En nous appuyant sur ce que ces etudes ont dit sur les moyens de donnation du referent de CE et LE, on en vient a conclure que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peut etre aussi bien, selon le contexte, deictique qu anaphorique ; il n est donc pas facile de differencier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de celle de LE. Comme pour CE, d apres les etudes sur i, keu, cheo, il est difficile d arriver a distinguer leurs proprietes et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lles du determinant φ. Dans ces eudes, on admet generalement que keu, contrairement a i et cheo, possede a la fois les proprietes du demonstratif et celles de l article defini, et que keu n assume donc pas seulement le role du demonstratif mais aussi celui de l article defini. En depit du fait qu on ait du mal a degager les proprietes et les fonctions referentielles de CE ou de i, keu, cheo, respectivement differentes de celles de LE ou du determinant Φ, dans la mesure ou il y a generalement une correspondance entre CE et i, keu, cheo quand on traduit des exemples francais, en coreen, ou la complementarite existe entre CE et LE, et que l operation de traduction est obligee d etre accompagnee d une analyse semantico-pragmatique sur les phenomenes linguistiques de la langue de depart et de la langue d arrivee, nous en sommes arrives a comparer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avec celles de i, keu, cheo. Notre etude est partie du fait que CE et i, keu, cheo fassent partie de la meme categorie : celle des deictiques. Ce fait implique que ces determinants sont des symboles indexicaux qui construisent necessairement leurs referents par rapport a la situation d enonciation. Dans cette optique, nous avons pu supposer que CE et i, keu, cheo qui sont classes dans la categorie des demonstratifs, ont l indexicalite, et que LE et le determinant Φ a la definitude. Cette hypothese sur les proprietes semantico-referentielles de CE et i, keu, cheo s est verifiee par l identification de la distribution entre ces determinants et la difference de distribution entre CE ou i, keu, cheo et LE ou le determinant Φ, dans les phenomenes linguistiques suivants : la thematisation, la reclassification, l anaphore associative, le domaine d usage, etc. En degageant les proprietes semantiques communes de CE et de i, keu, cheo, nous avons pu eclairer les particularites e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CE qui sont distinctes de celles de LE et differencier les proprietes e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 keu de celles du determinant Φ. Ensuite, nous avons cherche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en comparant les carateristiques semantico-referentielles individuelles de i, keu, cheo avec celles de la forme ce N-ci/la , ajoutee des localisateurs -ci/la qui sont en general consideres comme donnant a la forme ce N la distinction entre i, keu, cheo, et en examinant les emplois respectifs de CE et ceux de i, keu, cheo. En comparant les similitudes et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nous avons pu eclairer les particularites du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t celles du systeme coreen. L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s ont en commun l indexicalite et la deicticite, mais il y a des differences manifestes de constitution entre les system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oreen : pour commencer, le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st constitue d une seul forme CE alors qu en coreen, il se compose de trois formes i, keu, cheo ; ces trois formes en coreen accomplissent la fonction referentielle deictique qui est assumee par une seule forme en francais. C est la raison pour laquelle il y a une difference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et les emplois des demonstratifs francais et ceux des demonstratifs coreens. D autre part, le systeme demonstratif coreen est lococentrique parce que le pivot du cadre spatial de la communication y est l aire de l interlocution qui integre l aire du locutaire et celle de l allocutaire. Le systeme demonstratif francais, en revanche, est egocentrique , car le cadre se constitue en fonction de l attitude du locuteur. Enfin, pour separer les sous-espaces du cadre spatial de la communication, la notion de distance physique, en coreen, joue un role de critere, tandis qu en francais, elle n a pas de grande importance. N etant pas satisfaits de comparer CE et i, keu, cheo au niveau du systeme, nous avons mis en contraste leurs effets de sens en examinant la correspondance entre ces determinants dans la traduction. Nous avons confirme encore une fois les similitudes et les differences entre les proprietes semantiques de CE et celles de i, keu, cheo, en analysant les aspects correspondants entre eux dans la traduction en coreen des romans francais et la traduction en francais des romans coreens. En outre, dans la mesure ou nous avons etudie la relation de correspondance dans la traduction, entre CE et i, keu, cheo, en deux types d emplois, emplois generaux et emplois litteraires, nous en sommes arrives a expliquer les effets stylistiques de ces determinants dans la litterature (par exemple, l hypotypose, la nomination relevant du locuteur, le marquage du rapport de l objet a l experience du locuteur, etc) en rapport aux proprietes semantiques systematiques, et a analyser les differences entre les effets stylistiques de CE et ceux de i, keu, cheo. ; 본 논문은, 불어 지시한정사 CE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이, 그, 저의 의미 특성들을 비교·분석하고 불한 번역과 한불 번역에서 이 한정사들 간의 대응 양상이 어떠한지를 검토함으로써, 불어 지시한정사 체계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 각각을 의미·화용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이 체계들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불어의 지시한정사 CE는 언어외적인 발화행위 상황 내에 실제로 존재하는 대상을 지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행 맥락 내의 언어 요소를 조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시는 정관사 LE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따라서, LE와 구별되는 CE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기능을 밝히는 작업이 CE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CE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은 LE와 CE의 상이한 지시 기능이 이 한정사들이 지시대상을 부여하는 방식상의 차이에서 기인한다는 견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나, 이 논의들에 규명되어 있는 CE와 LE의 지시대상 부여 방식에 의하면 CE의 지시 기능이 직시적인 동시에 조응적이라는 결론에 이르므로 CE의 지시 기능을 LE의 그것과 구분하기 어렵다. CE에 관한 연구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문제점이 한국어 지시한정사에 관한 연구에서도 제기된다. 이, 그, 저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 의해서는 이 지시한정사들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제로한정사의 그것들과 구별하기 어렵다. 이 논의들에 따르면, 한국어에는 정관사 범주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시한정사 이, 그, 저 중 그가 정관사의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행하며 그가 이나 저와는 달리 직시적인 지시 기능뿐만 아니라 조응적인 지시 기능도 행한다. 또한, CE와 LE가 상반된 분포를 보이는 용례들을 한국어로 번역할 경우, 일반적으로 CE가 이, 그, 저 중의 하나에 대응된다는 점과 번역 과정에서 원어와 역어의 언어현상에 대한 의미·화용론적 분석이 행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CE와 그것의 번역 대응어로 간주되는 이, 그, 저의 의미 특성을 대조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CE와 이, 그, 저가 지시한정사로서 직시소의 범주에 속하므로 이 한정사들이 지표성이라는 의미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리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몇 가지 유형의 용례들 즉, 주제화, 재분류, 연상조응, 선행문 내에 등위로 도입된 두 가지 명사구 중 하나의 조응, 특정 사용 영역 등에서의 CE와 이, 그, 저의 가용여부를 살펴봄으로써, CE와 이, 그, 저가 LE나 제로한정사와는 달리 지표성과 직시성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CE와 이, 그, 저의 공통적 의미 특성을 찾아내는 작업을 통해서, LE와 대립되는 CE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규명하고, 제로한정사와 구분되는 그의 고유한 의미 특성과 지시 기능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그, 저 간의 구별을 Ce N 에 부여한다고 간주되는 -ci/l 가 결합된 Ce + N + -ci/l 의 의미 특성과 이, 그, 저 각각의 개별적 의미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인칭 지시, 장소 지시, 시간 지시, 상태나 동작 지시 등에서의 CE와 이, 그, 저의 용법들을 대조함으로써,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공통 특성 이외에 CE와 이, 그, 저가 가지고 있는 의미 특성들 간의 차이를 찾아내었다. 이처럼 CE와 이, 그, 저의 의미 특성들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불어의 지시한정사 체계와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가 가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적할 수 있었다. 불어와 한국어의 지시한정사들은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공통된 의미 특성을 갖고 있으나, 두 언어의 지시한정사 체계들은 구성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불어의 경우에는 지시한정사 체계가 CE라는 하나의 형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한국어의 경우에는 이, 그, 저라는 세 개의 형태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불어에서 하나의 형태가 담당하는 직시적 지시기능을 한국어에서는 세 가지 형태가 수행하므로 두 언어의 지시한정사들 간에는 의미 특성이나 용법상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한국어의 지시한정사 체계는 의사소통의 공간적 틀이 화자의 영역과 청자의 영역을 포괄하는 대화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발화중심적 성격을 띠는 데 비해, 불어의 지시한정사 체계에서는 이 틀이 발화자의 태도에 의거하여 구성되므로 자아중심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의사소통의 공간적 틀의 하위 공간들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한국어 지시한정사 체계에서는 물리적 거리 라는 개념이 일종의 기준으로 작용하는 반면, 불어의 경우에는 이 개념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 본 논문은 CE와 이, 그, 저를 체계상에서 대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이 지시한정사들이 번역에서 보이는 대응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CE와 이, 그, 저의 구체적 의미 효과까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불문 소설의 한국어 번역과 국문 소설의 불어 번역에서 CE와 이, 그, 저 간의 대응관계를 이 한정사들이 문학적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와 일반적 용법으로 사용된 경우로 나누어 연구함으로써 문학 작품 속에서 이 지시한정사들이 유발하는 문체 효과들(생생한 묘사, 발화자 소관의 명명, 대상이 발화자의 경험과 관련됨을 표지, 다음성의 표지)을 앞에서 밝힌 지표성과 직시성이라는 체계상의 의미 특성과 관련지어 일관되게 설명할 수 있었으며 CE와 이, 그, 저의 의미 효과상의 차이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 현상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번역에 의거한 대조 연구가 훌륭한 하나의 연구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동시에, 역으로 번역에서 원어의 변별적 의미를 찾아내고 그것을 역어로 재현하는데 있어서 체계상의 의미뿐만 아니라 의미 효과(문학 번역의 경우, 문체 효과)와 발화자의 의도까지를 고려해야 함을 즉 의미론적 층위뿐만 아니라 화용론적 층위까지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