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睦台林 文學 硏究

Title
睦台林 文學 硏究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
Authors
정선희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睦台林), the writer of Jong Ok Jeon(鍾玉傳) and Chun Hyang Shin Seol(春香新說)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on the whole and trie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literary meaning of his works. Through this study, we believe that proper explanation and evaluation on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 that used to be mentioned in fragments can be expected. Furthermore, we can understand the literary tendency and consciousness of yangban(兩班) in provinces (so-called Hyang-Chon-Sa-Jok(鄕村士族)) in the early of nineteenth century. Mok Tae Lim was a member of a meager family living in Kyung-Nam(慶南) Sa-Cheon(泗川), and he seldom found his way into the central government. He did not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科擧), and since he lived in destitution, he used to serve a county governor of a government office dealing with office administrations or memorials. However, it seems that he was not a petty official. He seemed to have some influence on the people in his area. In addition, he associated with scholars, teachers in Buddhist faith, and the people from middle class. Especially, through his interpretor friend, he indirectly contacted the advanced products of Chung(淸) dynasty in China promoting and satisfying curiosity for the new place. He wrote two novels mentioned above and a collection of works called Un Wa Jip(雲窩集) including eleven pieces of Boo(賦) and a travel sketch called Suh Yoo Rok(西遊錄). Before analyzing his novels, we examin the Moo and the travel sketch in order to know the general tendency and consciousness of his literature. People used to study Boo in the nineteenth century just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hence it used to be very simple and fixed. Different from it, Mok Tae Lim used daily and humorous materials and scaled them up to prose describing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realistically. He also changed Pal Kyung poetry(八景詩) quite popularly composed during the days of the late Koryeo and the early Chosun into a means of a full-length poetry for the scenery of our country. Moreover, he was interested in selecting different geographical features, manners and customs and tales, hence he put them on record wherever he traveled. For example, Suh Yoo Rok was a travel sketch just like a report in which all things were recorded in detail which he had experienced. The author s consciousness expressed in both genre is that he was isolated from the society and power, and it led him to be critical on the wrong condition of the world and the society. However, he believed that the heaven supervised all things, and we should follow it. Since the heaven circulates good and evil and eminence, he expected that he would rise sometime, and he sought consolation in Buddhism. He wrote novel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he wanted to convey what he heard to the next generation in detail. Second, he hoped to give a lesson to people. He made his position clear that he wanted to make a story if it could give a lesson even though the story was groundless. The materials of novels were all the stories what he heard or seen, and his novels were mainly read by the learned men in the provinces and the middle class near a government office. When he created novels, he developed the events considering facts and rationality based on logic because he was sensitive about the criticism on vacantness of novels. Characters were generally described without vulgarity and jeering. Especially a heroine was a kisaeng(妓生) who was elegant and could state her ideas in logical order. Other characters were described very roughly compared to those in other novels of the same stock. The whole atmosphere of the words were very lyric, and inserted poem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giving the lyric atmosphere. It expressed the maximized feeling, the inner world, and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t also supplemented the story by summarizing it and explaining the events. In addition, he showed off his knowledge and strengthened his logic by using insertion such as letters for memorial service, decisions, pleadings and long logical conversation. Moreover, by using various ancient history, he increased the graceful atmosphere meeting curry favor with the literate stratum. Through his novels, the writer tried to break the rigid way of thinking concealing the true character packed with Confucian ethics or courtesy. The best material to show his intention was a love between a man and a woman. On the other hand, he showed his willingness to make an ideal society filled with true politics. He hoped for the society where just rule was distributed to out-of-the-way place, hang-around high-ranked government officials were banished, reward and punishment were fair. In short, he showed his unrealized dreams and he wished the things to be improved.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 we have discussed showed characteristics to be followed. First, he pointed to unreleased way of thinking departed from a model or stiffness. However, he did not get rid of the existing things. Rather, he changed them in appearance. The materials of his novels were well-known stories among writers, but he showed that he was not subsided by yangban priority revealing his critical awareness for those days. Second, he wrote a closely adhered literature to daily life, and he had a tendency to take a serious view of small phenomena and feelings. Especially, in the form of Boo, he realistically described daily things or observation on cities where he himself experienced, and he criticized the condition of the world closely related to life. In travel sketches, he recorded the stories of neglected people or ordinary people, and even small anecdotes. In the sense that he expressed spontaneous feelings in improvised poetry, we know that he was in pursuit of realistic and concrete literature.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field of novels. He showed much more positive and matured awareness of novels than those in the previous generation. We can evaluate his novels as modernistic novels in a sense that they did not show ideal and heroic characters which were typical in Korean novels. Instead, they dealt with ordinary people those days. In addition, he satirized yangban even though he himself was a yangban, and he wrote a novel about a love story between a kisaeng and a man neglecting his social status. However, by using the form of expressions which the literate stratum preferred, he connected consciousness and literature of upper class to those of lower class. Especially, Chun Hyang Shin Seol was meaningful as a pansori(판소리) of yangban in a sense that it was the second-adapted Chun Hyang Jeon(春香傳) by yangban. Next, he showed the Hyang-Chon-Sa-Jok literature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demonstratively. Through him, we become to recognize that there were people who wrote novels showing the modernistic signs among Hyang-Chon-Sa-Jok in and near Han-yang.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he showed isolation from the world and adhered to Buddhism was similar to the situation of Suhul(庶孼). In addition, his tendency to criticize social conditions and daily things and to use literary expressions pointing to the upper class was similar to Yeohang(閭巷) poets and radical Hyang-Chon-Sa-Jok who used critical words on the realities of life. Finally, we conclude the literature of Mok Tae Lim as follows: we can guess the literary tendency and consciousness of numerous unnamed writers assumed as meager writers in Chosun dynasty. Besides, if we put the other novel writers in the eighteenth and the nineteenth century together, we can make a precise paper mold of novel writer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 본고는 조선후기 한문소설 <鍾玉傳>과 <春香新說>의 작가로 알려진 睦台林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다루어 그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그동안 단편적으로만 언급되어오던 목태림의 문학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가치평가가 이루어지고, 아울러 19세기초 鄕村士族層 小說作家의 문학과 의식성향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목태림은 慶南 泗川에 世居하면서 중앙정계에는 진출한 적이 거의 없던 한미한 가문의 일원이었다.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였고 경제적으로도 궁핍했던 탓에 지방관아의 군수를 모시고 사무행정이나 송사에 관련된 일을 맡아한 적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관직은 분명치 않으나 아전보다는 鄕任에 가까운 듯하며, 그 지역 내에서는 어느 정도 유지급이었던 것으로 보아, 지방관아에 밀착된 향촌 사족층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인근의 선비들과 스님, 중인계층과 교유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譯官 친구를 통해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간접적으로 접하면서 새로운 곳에 대한 호기심을 키우기도 하고 충족시키기도 하였다. 저술로는 앞에 말한 소설 두 작품과 『雲窩集』이라는 문집이 있는데, 문집에는 열 한 편의 賦와 기행문 <西遊錄>이 수록되어 있다. 소설을 분석하기에 앞서 그의 문학의 전반적인 경향과 의식세계에 대해 알기 위해 賦와 紀行文을 검토하였다. 賦라는 장르가 19세기에는 단지 과거공부를 위해 지어져 극히 단순하고 정형화된 형식을 보였던 것과는 다르게, 일상적·해학적인 소재를 끌어들이거나 산문성을 확대하였으며, 도읍지를 여행하면서 본 도시적 문물들을 寫實的으로 묘사하였고, 고려말 조선전기에 많이 지어지던 八景詩를 변용하여 우리나라의 실제 경관을 詩化하고 장편화하는 방편으로 삼기도 하였다. 또 여행을 할 때에는 지방마다 다른 지형과 풍속, 설화들을 채록하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서유록>은 자신이 보고 듣고 체험한 모든 것을 상세히 기록하는 보고문학적 성격의 기행문이 되었다. 이 두 장르에서 표출된 작가의 의식으로는 사회와 권력에서 소외되었다는 의식이 가장 컸으며 이는 잘못된 인간세태나 사회를 비판하는 성향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모든 것은 하늘이 주관하므로 인간은 이를 따라야 하는데 그 하늘은 禍福과 窮達을 순환시키기 때문에 자신도 언젠가는 榮達하게 되리라는 기대를 가지면서 위안을 삼았고, 불교를 통해서 마음의 안식처를 구하였다. 그가 소설을 지은 까닭은, 첫째, 자신이 들은 이야기를 후대에 자세하고 정밀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둘째, 사람들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서였다. 이야기가 虛誕하지만 조금이라도 鑑戒가 된다면 소설로 짓겠다고 하였다. 소설의 소재는 모두 예전에 듣거나 본 이야기들이었으나, 그의 가치관에 의거하여 줄거리 전개와 구성방법, 인물 성격들을 바꾸어 그만의 독특한 소설로 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소설을 창작할 때에는 사실과 논리에 입각한 합리성을 고려하여 사건을 전개하였다. 이는 소설이 荒誕함 때문에 가장 많은 비난을 받는 점을 의식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그 예로 <춘향신설>에서 춘향의 재판과정과 이도령의 어사제수과정이 사실적이라는 점, <종옥전>에서 종옥이 귀신이 된 것으로 믿게 하는 과정이 논리적으로 설명된다는 점 등을 들었다. 인물형상은 대체로 비속성과 골계미가 제거된 모습이었는데, 특히 여주인공은 기생이면서도 우아하고 자신의 의견을 조리있게 말할 줄 아는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었으며, 주변인물들은 同系의 다른 소설들에 비해 매우 소략하게 처리되어 있었다. 작품 전체적인 분위기는 매우 서정적이었는데 이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이 삽입시였다. 극대화된 감정과 내면심리, 인물의 성격을 표현해 주었으며, 앞의 敍事를 정리하거나 사건을 설명해줌으로써 줄거리를 보완하였다. 이외에 祭文과 判決文, 原情 같은 삽입문과 議論的인 對話를 활용함으로써 작가의 논리를 보강하고 지식을 과시하였으며, 다양한 고사를 활용함으로써 典雅한 분위기를 고조시켜 식자층의 취향에 맞추었다. 소설에서 작가가 나타내려고 한 바는, 본성을 숨기고 도학이나 禮로써 감추려고 하던 경직된 사고방식을 깨어야 한다는 것이었으며 이를 가장 잘 드러내 주는 소재로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었다고 보았다. 한편으로는, 참된 정치가 이루어지는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지가 표출되었다고 보았다. 궁벽한 시골에도 善政이 골고루 미치고 貪汚하는 벼슬아치들은 고위직에 있더라도 반드시 축출되며 상벌이 공평하기를 바라기도 하여, 작자가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꿈과 개선되기를 바라던 바가 피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핀 목태림의 문학은 첫째, 규범이나 경직성으로부터 일탈하여 자유로운 사고를 지향하면서도 기존의 것들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않고 이를 변용한 점이 특징적이었다. 그의 두 소설은 민간에 회자되던 이야기를 소재로 삼은 것으로 당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들어 있어서 작가가 양반의식에 함몰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반계층에서 보일 반발이나 거부감을 완화시키고 자신의 소설을 정통 한문학과 같은 반열에 놓고자 형식이나 표현의 면에서는 식자층의 취향에 맞춘 것으로 파악했다. 둘째, 생활에 밀착된 문학을 하였고 미시적인 현상이나 감정들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賦라는 양식으로 일상적인 일이나 실제로 체험한 도시견문을 寫實的으로 묘사하고 생활에 밀접한 세태비판을 하였으며, 기행문에서는 소외된 인물이나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와 작은 일화까지 기록하고 순간순간 느끼는 감정들도 즉흥적인 시로 표현한 점에서 事實的이고 具體的인 문학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목태림의 문학은 우선 소설사적인 의의가 컸다. 前代에 비해 좀더 긍정적이고 성숙해진 소설인식을 보여주었으며, 국문소설들에서 보이던 관념적이고 영웅적인 인물형상에서 벗어나 당대의 현실 속에서 살고 있는 평범한 인간을 대상으로 했다는 면에서 근대적인 의미의 소설에 한층 가까와진 모습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양반으로서 양반을 풍자하거나 신분을 뛰어넘어 기생과의 사랑을 이룬다는 내용을 소설화하면서 식자층이 선호하는 표현양식을 사용함으로써 상하층의 의식과 문학을 접맥시켰다는 의의가 있으며, 특히 <춘향신설>은 양반층의 춘향전 개작의 두 번째 작품이라는 점에서 양반층의 판소리 수용사적 의의가 컸다. 다음으로는 19세기 전반기의 향촌사족 문학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었다. 그를 통해서 우리는 19세기 전반의 향촌사족 중에도 近畿지방 문인들에게서 보여지는 근대적인 글쓰기 징후들을 보이거나 소설을 창작한 사람도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편, 세상에 대한 소외의식이 있었다는 점이나 이것이 불교에 대한 경사로 흘렀다는 면은 서얼들과 닮은 점이었고, 인간 세태나 생활에 밀착된 비판을 하거나 상층지향적인 문학표현기법을 사용한다는 면에서는 중인이나 현실비판가사의 작자층인 급진적 향촌사족층과 비슷한 점이었다. 또한 그의 작품이라고 추정되는 <蛙蛇獄案>이 당대의 향촌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살인사건에 대한 재판과정을 묘사한 우화소설로서 향촌사회가 힘의 논리에 지배받는다는 점과 삭막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 등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한다면 그는 지금까지 향촌 사족층일 것이라고 추측만 되어오던 우화소설의 작자층을 대변할 만한 인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상의 목태림 문학에 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寒微한 문인이었을 것이라고만 추정되던 조선시대의 수많은 匿名의 소설 작가들의 문학경향과 의식성향을 좀더 자세히 짐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아울러 19세기 전반기의 향촌 사족들의 삶과 문학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