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확실성과 부의 관계 분석

Title
외환위기 이후 소득불확실성과 부의 관계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Interrelation between Income Uncertainty and Wealth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 based on data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uthors
최은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은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1999-2003)를 이용하여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경우에도 소득불확실성에 기인한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 가계에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한다면 소득불확실성이 높은 가구일수록 미래의 큰 소득 감소에 대비하여 완충 부를 많이 보유하려고 하므로 불확실성과 부는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소득불확실성의 측정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예비적 저축등가 프리미엄(REPP)과 로그소득분산(VARLY)을 소득불확실성의 대리변수로 삼았다. 이어 소득불확실성과 부의 관계를 추정하는데 Carroll(1992)이 제시한 목표부의 개념을 도입하여 추정모형을 선형화하였다. 실제로 관찰할 수 없는 변수인 항상소득과 5개의 소득 관찰치 만으로 소득불확실성 변수를 추정했기 때문에 심각한 측정오차 문제에 직면하게 되므로 도구변수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때 완충재고 행위를 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가구주 연령이 50세 이하인 표본으로 제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소득불확실성의 그룹별 추정치가 대체적으로 안정된 직업과 전망 있는 산업, 높은 교육수준일수록 낮은 결과를 보여 일반적인 인식에 근접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소득불확실성과 부의 관계를 추정한 결과, 소득불확실성의 계수 추정치는 양의 부호를 보임으로써 소득불확실성과 부는 정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확실성에 대한 계수 추정치는 0.06-0.26의 분포로 소득불확실성에 대한 부의 반응 정도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통계변수의 경우, 결혼여부와 자녀수의 계수 추정치는 유의하게 양의 값을 가지며, 성별 변수는 총자산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양의 반응을 보였다. 이는 한국 가계의 경우 결혼하여 가정을 꾸리게 되면 예비적 저축이 훨씬 커지고 자녀수는 대체로 부의 축적을 늘리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소득불확실성에 대한 부의 탄력성은 크지 않으나, 외환위기 이후 한국 가계는 소득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부의 축적을 늘리는 예비적 저축 행태를 보인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의 분석결과를 보강하기 위해 건강상태 및 가계의 경제여건별 그룹으로 나누어 예비적 저축 동기를 추정한 결과, 예비적 저축 동기가 강할 것이라고 판단되는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소득불확실성에 대비하여 부를 더 많이 축적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의 한계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미래연구를 위한 여러 가지 제언을 하였다.;This research analyzes whether a precautionary saving motive exists derived by income uncertainty after foreign exchange crisis of Korea in 1997 based on data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1999-2003). Assuming the precautionary saving motive exists, households with a higher income uncertainty would tend to introduce greater buffering wealth to their household economy, with an expectation of a sharp decrease of income in future. This would also mean that the amount of wealth is proportioned to the income uncertainty. In order to measure the income uncertainty, this research utilizes the Equivalent Precautionary Premium (REPP) and the Variance of the Log of Income (VARLY) as proxy variables. As to estim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income uncertainty and amount of wealth, the target wealth concept by Carroll (1992) is introduced which enabled the interrelation to linearize a presumptive model. Because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household both uncertainty and permanent income are unquestionably measured with considerable errors, they must be instrumented as to obtain consistent coefficient estimates. Our instrument set contains dummies for the occupation, education, and industry of the head of household in 2003. The occupation and education variables are interacted with the age and age-squared terms in order to allow for different lifetime profile of income and uncertainty for different groups. In order to obtain a sample in which theory suggests consumers might conform to the model, we initially limit our sample to households in which the head is no older than 50 during the sample period.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findings. Householders with secure job positions in promising industries and higher education backgrounds have the lower income uncertainty in general.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income uncertainty and the amount of wealth reveals that those two income uncertainty variables which are LREPP and LVARLY influence positively on financial assets, total assets and net assets. However, statistically only total assets and net assets are significant. It is also argued that the estimated income uncertainty coefficient ranges from 0.06 to 0.26 which claims that extent in reaction of wealth to the income uncertainty is not that large. In case of demographic variables, factors such as marital status or the number of children carry out a positive input and a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Korean households tend to dramatically increase their precautionary savings after the official marriage registry and have more children effected with certainty to accumulate wealth. In conclusion, the elasticity of wealth towards the income uncertainty is small, howev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which brought greater income uncertainty definitely motivated the Korean households to extend precautionary savings.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restrictions of the topic and mak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experimen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