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6 Download: 0

여성 쓰개(蔽面)에 관한 연구

Title
여성 쓰개(蔽面)에 관한 연구
Authors
홍나영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
Abstract
本 論文은 女性의 蔽面用 쓰개에 관하여 아시아 各 地域의 社會的 背景과 아울러 쓰개의 起源과 發展, 쓰개의 類型과 着用動機에 대해 검토하는 한편 한국복식에 나타난 쓰개의 意味와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여성 폐면용 쓰개가 갖고 있는 복식사적인 의미와 동양복식에서의 한국복식의 위치를 糾明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폐면용 쓰개는 서남아시아에서 신체보호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하였을 것으로 보이나 이미 기원전 1200년경 남자의 所有物로의 女性을 표시하기 위하여 착용된 것이 문헌으로 확인된다. 이슬람敎 발생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쓰개착용의 慣習은 이슬람교의 전파와 함께 각 지역으로 전해져 오늘날까지 착용되고 있다. 中央아시아 지역의 과거의 쓰개에 관해서는 알 수 없으나 현제 民俗服에 남아 있는 다양한 쓰개로 보아 이슬람교와 함께 전래된 쓰개가 그 지역의 生活文化에 적응하여 오늘날까지 殘存하게 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지역 역시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農耕民이나 遊牧民보다는 都市人, 庶民層 보다는 上流層에의해 蔽面用 쓰개가 더욱 애용됨을 볼 수 있다. 中國에는 폐면용 쓰개가 옛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西域의 영향으로 쓰개가 수입되어 隨·唐시대에는 冪리, 유帽가 크게 유행하였다. 장거리 여행이나 乘馬時 먼지나 바람을 막기 위해 착용하였다. 또한 중국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新婦의 상징으로 이 폐면용 쓰개가 사용되기도 하였다. 韓國에서는 이 쓰개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확실치 않으나 統一新羅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高麗시대에는 이것이 유행하였지만 이에 上下尊卑의 구별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서민층이 사용하기에는 사치스러운 쓰개였다. 그러나 朝鮮시대로 들어오면서 儒敎의 영향이 생활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침에 따라 內外의 意味를 갖게 되었고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 日本에서는 被衣와 市女笠이 平安時代 이후 사용되었고 被衣는 도시 여인들 사이에서 외출시, 市女笠에는 무시노다레기누를 드리워 장거리 여행에서 신체를 害蟲, 寒氣,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였다. 폐면용 쓰개 착용에 대한 금령으로 도시에서는 쓰개가 사라졌지만 農民服에서는 아직까지도 여전히 覆面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쓰개에는 面紗褓型, 너울笠型, 衣服型이 있다. 이런 쓰개는 노동을 하지 않는 계층, 즉 도시 여인이나 상류층 여인에 의해 자신의 權威를 과시하기 위하여, 그리고 한 남자에게 소속되어 있는 여인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착용하였고 儀式에 있어서는 神이나 惡鬼로부터 올 지 모르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착용되었다. 이밖에도 신체를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또는 美的인 效果를 위해 착용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의 여성 폐면용 쓰개는 초기에는 상류층에 의해 주로 착용되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 남녀의 內外가 심해지자 서민층에까지 확대되었으며 너울외에도 面紗, 장옷, 쓰개치마, 薦衣, 氈帽, 遮額, 삿갓이 쓰개로 착용되었다. 또한 喪禮에는 蓋頭란 명칭의 너울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여성의 폐면용 쓰개는 서남아시아에서 발생하여 全 아시아로 확장된 것이며 다만 기후가 적합치 않은 아열대, 열대지역과 육체노동을 해야 하는 계층에서는 착용할 수 없었다. 이렇게 전파된 쓰개는 각 지역의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동기에서 다양한 형으로 발전되어 착용되었다. 한편 이러한 쓰개를 지속시킨 것은 그 사회의 여성관, 도덕관 및 쓰개에 대한 복식관념으로 폐면의 관습이 엄한 지역은 대부분 엄격한 生活道德이나 종교로 男女의 격리가 심하고 여성이 지위가 낮아 남자의 예속물로 여기는 사회였다. 이러한 사회 구성원의 의식이 여성의 페면용 쓰개를 유지하여 온 것이며 여성지위가 향상된 오늘날에는 이슬람 문화권과 수녀, 신부의 베일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한편 한국복식의 폐면용 쓰개는 서아시아의 捲衣型과는 달리 北方騎馬民族系統의 특색을 보여 한국의복의 계통과 일치하고 있다. ; This thesis about the veil of women, examining its social background in every part of Asia, with its origin and development, various types and different motivations, while searching for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in Korean costume. It is a way of defining what is the meaning of women’s veils in the light of the costume history and where stands the Korean costume in Oriental costume. Veils seem to be originated from Near East to meet the need of protecting human bodies. It is ascertained by the records in the literature that veils were worn about B.C. 1200 already to differentiate females as a possession of males. Started before the Mohammedan Era, the habbit of wearing veils spread far and wide along with the propagation of Mohammedanism and they are still in existence in these areas. Although veils of Central Asia in the past remain unknown, various forms of veils in folk costume today show us that the veils introduced with Mohammedanism have been acclimatized themselves to the cultural surrounding of the area and have been subsisted till now. Similar to other area and have been subsisted till now. Similar to other regions, veils of this area, too, are more favored by the unbanites than by the agricultural people or nomads and by the upper class than by the lower class. In china, veils were not worn until they imported by the influence of Xiyi(西夷), i.e., Western foreign countries, and Mili(冪리)and Weimao(유帽)became widely in fashion during the period of Sui(隨)and Tang(唐). They were used to screen off the dust and drafts on a long journey or horeseback. And in China, as in other regions, veils were used as a symbol of a bride as well. It is not known from when people began wearing veils in Korea, but it might well go back to Silla dynasty. In Koryo dynasty, veils became popular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social standing, high and low, respectable and vulgar, whereas from economic reasons they seemed luxurious for lower class women. But since the beginning of Yi dynasty, people’s life and culture being affected seriously by Confucianism, the veil also got the meaning of the avoidance of the opposite sex and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veils came into practice. In Japan, Gazeki(被衣)and Izimegassa(市女笠)had been used since the Heiyan period, and as for Izimegassa, draped with Mushinodareginu(蟲垂たれきぬ), it was worn on a long travel to protect the body from insects, cold weather, and dust. With a ban, veils of the time disappeared in cities, but some traces of them can yet be seem today in peasant’s costume. The types of veils were of chardor, hat-with-veil, and cloak. There were for the woman of high standing or urban society to show off her prestige and to indicate get status of belonging to a man. On ceremonial occasions, veils had a function of shunning the possible danger of evil spirits or demigods. Besides, they were used for the effect of physical protection or aesthetic purpose. The veil of women, in its early period, was generally for the upper class, but since the middle of Yi dynasty, as the social rule of sexes kept their distance from each other strict, veils were disseminated farther to lower class women, and in addition to the veil of “Nerwul(너울)”, “Myunsa(면사)”, “Changot(장옷)”, “Ssegaechima(쓰개치마)”,”Cherne(처네)”, “Jeonmo(전모)”, “Garilma(가릴마)”, and “Satgat(삿갓)” were also used for veils. And for funeral formalities the veil named “Gaedu(개두)” was worn. Thus, the veil for women had its origin in Near East, and then was expanded throughout Asia except for the climatically inappropriate regions of subtropics and tropics and for the labor class. Thus transmitted, veils have developed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different motives and needs of the circumstances in every region. Meanwhile, as it were the society’s view on woman, its moral standards and idea of costume for veils that supported veils in the area where the custom of covering faces was kept strict, it was the society whose rigid morals or religion made woman and man separate and where the status of women was so low that females were regarded as the servility to males. This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has subserved the custom of wearing veils for women, but now with the increase of women’s position veils exist only in Islamic countries and just for nuns and priests. And the veils in Korean costume, different from the drapery of Near Eas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rn area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trend of other Korean costu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