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4 Download: 0

최근 10년간 한국 과학교육 분야 논문의 내용 분석

Title
최근 10년간 한국 과학교육 분야 논문의 내용 분석
Other Titles
A Content Analysis of Reaserch Papers in Korean's science education(From 1995 to 2004)
Authors
최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란
Abstract
Although researches and developments should be actively performed in order that science education may be improved, such activities have not been sufficiently carried out as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is very short. For this reason, it may be significant to analyze the treatises carried on scientific journals, to analyze the actual state of science education and its trend and to deduc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uch scopes. In such a case, it makes it possible to research the scopes of Korea’s science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e. Thus, the treatises carried on scientific journals were analyzed as to scope, target, pattern and subject and were compared between the early treatises and the latter ones on purpose to estimate the progress of researches and prospect. Research scopes and targets were classified after readjus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Park Seung-jae et al. (1991), and research patterns were classified by using the system developed by Smith et al. (1998) and research subjec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system developed by Tsai and Meichun (2005).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mmon science and biology respectively accounted for 26.0 and 25.1 percent of the research scopes. Next, physics, chemicals, earth science and others accounted for 14.8, 14.7, 12.6 and 5.8 percent respectively. Biological scopes remarkably increased for latter 5 years rather than the early period. On the other hand, physical scopes somewhat decreased. Secondly, middle-school student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46.3%) of research targets, and teacher (8.9%), primary-school student (8.4%), textbook (7.6%) and university student (3.9%) were sequenced. Recently, the treatises on middle school student have remarkably increased as well as the researches centering on primary school student and teacher are increasing. Thirdly, empirical research articles accounted for 83.4 percent of research patterns, and theoretical papers, position paper (opinion-centered researches) and review (trend-centered researches)account for 13.2, 2.8 and 0.5 percent respectively. Comparing the early period with the latter period, the patterns of treatises did not show conspicuous changes. Fourthly, students’ conception and conceptual change accounted for 25.7 percent of research subjects. Next, teaching-learning method accounted for 21.8 percent and educational goal, policy, curriculum and assessment accounted for 19.4 percent. In addition, teacher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classroom context and learners’ characteristic accounted for 7.1, 6.8 and 5.3 percent respectively and these scopes should be studied more actively. Recently, teaching-learning method has remarkably increased and the research on informal learning tends upward. Conversely, educational technology, classroom context and learners’ characteristic tend downward. In conclusion, it was known that the patterns and subjects were laid stress upon some specific scopes. Kore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rather than quantitative one, the same as foreign countries. Likewise, it is considered that various subjects and scopes should be equally studied so that the concern and interest in science may be raised.;과학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과학교육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수행되어야 하지만 과학교육에 관한 연구는 그 역사가 매우 짧아서 연구의 양이 많은 편은 아니다. 이에 따라 과학교육 분야의 학회지에 출간된 논문들의 체계적인 이해와 분석을 통해 과학교육 연구의 경향과 실태를 파악하고 앞으로 이 영역 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연구가 어느 영역에서 어느 정도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대해 모색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분야의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이를 전반과 후반의 발표 논문을 비교함으로써 과학교육 연구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박승재 등(1991)이 개발한 분류 체계를 참고로 하여 연구 분야와 연구 대상을 분류하였고, Smith 등(1998)이 개발한 분류 체계를 사용하여 연구 유형을 분류하였고, Tsai와 Meichun(2005)이 사용한 분류 체계를 토대로 연구 주제를 분류하여 각각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논문을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공통과학 교육 분야와 물리 교육 분야가 각각 26.0%와 25.1%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생물 교육이 14.8%, 화학 교육이 14.7%, 지구과학 교육이 12.6%, 기타가 5.8%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반 5년간 생물 교육 분야의 논문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물리 교육 분야의 논문은 감소하였다. 둘째, 연구 논문을 대상별로 분석한 결과 중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논문이 46.3%로 단연 우위를 차지하였고 교사 대상의 연구논문이 8.9%,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논문이 8.4%,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논문이 3.9%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초등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연구 논문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실험적 연구가 83.4%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론적 연구가 13.2%, 견해 연구가 2.8%, 경향 연구가 0.5%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후반을 비교한 결과, 발표 논문의 연구 유형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 논문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학생의 개념과 개념변화 연구가 25.7%, 교수-학습 방법 연구가 21.8%, 교육 목표 · 정책 · 과정 · 평가의 연구가 19.4%로 이루어졌다. 그 외에 교사 교육, 교육 공학, 학습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 등의 연구는 각각 7.1%, 6.8%, 5.3%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에 가장 많이 증가한 주제는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였고 교사교육, 학교 밖 교육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반해 교육 공학, 학습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의 연구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연구의 유형과 주제의 특정 부문에 편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의 연구는 외국과 같이 양적 연구보다 구조화된 질적 연구를 적용할 필요가 있고,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