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학문적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에 관한 연구

Title
학문적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ta-lingual Expressions in the Oral Presentations by Korean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은 메타언어표현을 대상으로 구두발표에서의 한국어 모어화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메타언어표현의 사용양상을 살피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두발표에서의 메타언어표현은 화자가 무엇을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의도를 명확히 제시해줌으로써 청자에게 발표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한국어 모어화자 수준과 유사한 수준의 담화 능력을 목표로 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구두발표 상에서 어떤 메타언어표현을 어떤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어떤 점이 모어화자에 비해 부족한지에 대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향후 구두발표의 교수요목을 작성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최근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며 점점 활성화되고 있는데 반해, 그 연구의 수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학문목적의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구두발표에 관한 연구 자료가 없으며, 대학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구두발표에 대한 표현, 형식, 구성에 대한 어려움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배경으로 메타언어표현의 개념 정리와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되는 메타언어표현의 분석 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과 연구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구두발표에서 나타나는 메타언어표현의 사용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메타언어표현의 분석 유형을 총 11가지로 분류하였다.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분석틀은 발표의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한 주제 도입하기, 내용 점검하기, 설명 내용 지정하기, 순차적 나열 설명하기, 부연 설명하기, 특정 내용 부각하기, 학습 내용 환기하기, 화제 전환하기, 발표 마무리하기 기능의 9가지와, 상호작용과 관련된 장치로서 청자 이해 돕기와 수정하기 기능 2가지로 나누었다. Ⅳ장에서는 한국어 모어화자와 외국인 유학생의 구두 발표 시 사용되는 메타언어표현의 전체적인 사용빈도를 살펴보고, 메타언어표현의 각 기능별 사용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집단의 메타언어표현의 사용에서 드러난 특징을 정리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모어화자가 유학생보다 더 많은 수의 메타언어표현의 사용하였다. 둘째, 메타언어표현의 각 기능별 사용 빈도에서 모어화자는 설명 내용 지정하기>화제 전환하기>부연 설명하기> 청자 이해 돕기 기능 순으로 사용한 반면, 유학생은 순차적 나열 설명하기>내용 점검하기>화제 전환하기>부연 설명하기 순으로 높게 사용되었다. 셋째, 유학생은 모어화자가 보다 많이 사용한 것은 순차적 나열 설명하기와 내용 점검하기 기능으로 다른 기능에 비해 이 두 기능을 많이 사용하였고, 잘 사용하지 못한 것은 설명 내용 지정하기, 학습 내용 환기하기 그리고 청자 이해 돕기 기능으로 나타났다. 넷째, 모어화자가 유학생보다 다양한 메타언어표현을 사용하였다. 모어화자가 유학생보다 더 다양한 표현을 골고루 사용하는 반면, 유학생은 한정된 어휘와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다섯 째, 한국어 모어화자가 외국인 유학생보다 보다 상대방을 배려한 구어체의 메타언어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발제지의 문어체 표현에서 구어체 표현으로 바꿔, 듣는 이가 편안한 마음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유학생은 원고를 그대로 읽는 문어체 표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여전히 문어체 표현을 사용하고 있어, 문어체 말투에서 구어체 말투로 이행할 때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을 짚어보았다.;The object of this study is meta-lingual expressions that have never been dea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ta-lingual expressions in the oral presentations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Meta-lingual expressions in the oral presentations show clearly what a speaker is going to say, and help listeners understand the contents of presentations more easily. Therefore, this study that analyzes what meta-lingual expressions foreign students, trying to get the same ability of discourse as Korean native speakers’, use as what function in oral presentations, will be basic material on making the syllabus about teaching of oral presentations, and can also indicat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field.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re explained. Besides, previous studies are also examined. Many people get mor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study for academic purposes than before, but the study about this is not good enough. Especially, the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oral presentations that are needed in education course for academic purposes have not existed, and then, foreign learn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expression, pattern, and formation in the oral presentation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solution of these problems. In Chapter Ⅱ, the concept and function of meta-lingual expression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re explained. In addition, the analysis form of meta-lingual expressions is also examined. In Chapter Ⅲ, the object and procedure of this study are explained in detail.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he using pattern in meta-lingual expressions, the analysis form of meta-lingual expressions is classified into 11 types. To be concrete, the analysis 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unctions; introducing the main theme for smoothing the presentation, checking the contents, specifying the following contents, explaining sequential lists, paraphrasing, emphasizing specific contents, drawing attention to studying contents, turning topics, concluding the presentation, and the function of helping listeners understand and modifying as a device of interaction. In Chapter Ⅳ, there will be checked total frequency in use of meta-lingual expressions wh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foreign students have the oral presentation. Besides, the using patterns on each function of meta-lingual expressions a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in use of meta-lingual expres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re often meta-lingual expressions than foreign students. Second, in using frequency of meta-lingual expressions for each function,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st frequently the function of specifying the following contents. The second is the function of turning topics. The third is paraphrasing. The fourth is helping listeners understand. On the other hand, foreign students used most often the function of explaining sequential lists. The next is checking the contents. The third is turning topics. The next function is paraphrasing. Third, foreign students more often used in the function of explaining sequential lists and checking the contents. But, in the function of drawing attention to studying contents and helping listeners understand, they did less. Fourth,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re various meta-lingual expressions than foreign students. On the other hand, foreign students were using limited vocabulary and expressions repeatedly. Finally, Korean native speakers were using more colloquial meta-lingual expressions. That is to say, Korean native speakers changed written expressions in their resume into spoken expressions, and then that helped listeners hear more comfortably. But, foreign students were using more written expressions. This says that they have trouble with changing written expressions into spoken expressions. In Chapter Ⅴ, fro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solution in Korean education fiel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propo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