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영희-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reator김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6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6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648-
dc.description.abstractThese days, with the overall social depression following the IMF crisis, job loss is on the rise a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what job loss means to the middle-aged men. In this study, the quantitative approach was ruled out, in which job loss is seen as a crisis or stress, and instead, the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selected to investigate the true nature of job loss experience. Five married men in the 40-50 age bracket who lost their jobs took part in this study as subjects, which was carried out with the method of sustaining and in-depth interview, from January to October, 1999. The interview was recorded, the etymology of the words and idiomatic expressions were pursued, and especially, the literary works and hermeneutical literature were consulted to bring forth the essential theme. The substantial themes of job loss of middle-aged men were "realities of job loss unavoidable", "reflection upon the walk of life", "digression from the routine life", "narrowing radius of life", "burden as head of a family weighing down", "love of family more solidified after the suffering", "pursuit of a new life after getting over frustration", "discovery of meaning of life in the restricted realities", which showed up as dynamic and compound dimensions. Middle-aged men, when undergoing job loss, feels actually the unexpected pain and express their soaring fury and anger to the world. However, while they regret that they have lived without preparing for the future completely, they could take pride in living their own satisfactory life, which helps them defeat the grief of job loss. Digressing from the institutionalized life after job loss, they, at first, could enjoy the transient sense of emancipation, caused by the easy feeling of being freed from the tight-scheduled business and the oppressive feeling. As the time goes, however, they cannot but find the life loose and themselves lazy and scattered. Now they come to worry about the others eyes and realize that the radius of life is getting narrower and narrower, through the restriction of money and the confined personal relations. Even the slowly-emerging changes of body, e. g., insomnia brought about by the growing uneasiness about the future, make them aware of their own nervousness. At once feeling sorry for the fact that they cannot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head of a family and distressed about the loss of authority, middle-aged men unemployed become aware of the burden that they have to restore their destroyed position. The job loss of middle-aged men is not a matter of themselves. When head of a family got unemployed, the entire family goes through the sorrow together, which is, at times, followed by conflict and trouble between family members and even by the breaking of family, if the matters are not solved properly. However, while the family members experience the pain and share it with each other, they could reconfirm the love of family and enjoy the strong ties made stronger during the hard times. During the unemployment, genuine understanding and support from the family can be a power to overcome the sorrow and a prop of life. Even if they plunge into the job front, middle-aged men cannot help realizing that it is very hard to find a new job or to design a new business, which makes them wandering and frustrated and, what is worse, find themselves wretched and miserable, with a feeling that their position, constructed through their lives, and pride are falling down in a moment. But the fact that they have family and the future to live enables them to thirst after the hope and dream of a new life and to find the meaning to live their own life, even in the restricted realities. The meanings found through the experience of job loss in the middle age are in not graded and one-way but circulating and mixed dimensions. Middle-aged men do not go through the various meanings of job loss experience one by one, but they face the meanings which circulate and repeat and combine themselves in their dynamic and complex dimension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 middle-aged men, when experiencing job loss, go through the restricted and hard times, finding their own meanings even during wandering and frustration to seek after hope and dream for a new life.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from the fact that it come up with a new intuition with which the unemployed middle-aged men can be understood more deeply and more generally. ; 본 연구는 전반적인 사회적 불황 속에 실직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시점에서 실직이 중년남성에게 갖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실직을 하나의 위기나 스트레스로 바로보는 일반적인 양적 접근에서 벗어나 실직한 중년남성의 입장에서 실직경험의 심층적인 본질과 의미를 발견해 내는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밴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실직한 지 1개월 내지 6개월이 된 40-50대의 기혼남성으로 총 5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1999년 1월부터 1999년 10월까지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실직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실직한 중년남성과의 면담내용을 녹음하여 본질적 주제를 이끌어 내었으며, 이 때 어원과 관용어구의 추적, 문학작품,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여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에 대한 통찰력과 이해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의 본질적인 주제는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실직의 현실」, 「돌아보는 삶의 발자취」, 「제도화된 삶에서의 이탈」, 「좁아지는 삶의 반경」, 「깊어만 가는 앞날에 대한 불확실함」, 「짓눌려 오는 가장으로서의 무게」, 「아픔을 딛고 응집되는 가족애」, 「좌절을 넘어선 새로운 삶의 추구」, 「제한적인 현실 속에서의 의미발견」이었으며, 이러한 의미들은 서로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났다. 중년남성들은 갑작스럽게 실직을 경험하면서 예상치 못했던 실직의 아픔을 실감하고 세상을 향해 솟구치는 분노와 화를 표현한다. 또한 지나온 삶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자신이 좀더 미래를 대비하지 못하고 살아온 데 대한 회한을 갖기도 하고 자신이 나름대로 열심히 살아왔음에 자부심을 얻기도 하는데, 이러한 자부심은 실직의 아픔을 극복해 나가는 하나의 힘이 된다. 실직 이후 제도화된 삶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초기에는 꽉 짜인 업무와 중압감에서 벗어나 홀가분함으로 일시적이나마 해방감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생활이 느슨해지고 그 안에서 나태하고 흐트러지는 자신을 발견한다. 주위의 시선을 의식하며 위축되고 조여오는 금전적 제약과 한정지워지는 대인관계 속에서 삶의 반경이 좁아짐을 실감한다. 깊어만 가는 앞날에 대한 불확실함으로 수면불안 등 서서히 나타나는 몸의 변화 속에서 자신의 불안을 감지한다. 실직으로 인해 가장으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는 미안감과 가장으로서의 권위상실에 대한 위기감을 느끼고 무너져 가는 자신의 위치를 바로 세우고자 노력하면서 짓눌려오는 가장으로서의 무게를 느낀다. 중년남성의 실직은 이미 그 자신만의 아픔이 아니다. 가장의 실직으로 가족이 함께 아픔을 겪게 되고 이러한 아픔은 가족간의 갈등과 불화로 이어지며,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지 못하여 때로 가족이 깨어지기도 하지만 그러한 아픔을 겪는 가운데 다시금 가족애를 확인하고 어려운 시간들을 통해 더욱 굳건해지는 가족간의 유대감을 경험한다. 실직의 어려운 기간을 통하여 가족의 진정한 이해와 지지는 실직 당사자에게 실직의 아픔을 이겨내는 극복의 힘이자 삶의 버팀목이 되는 것이다. 막상 취업전선에 뛰어들게 되면서 중년의 나이로 새로운 직업을 구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구상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 않음을 실감하면서 방황하고 좌절하게 되고 자신이 그 동안 쌓아왔던 위치와 자부심이 무너져 감을 느끼며 초라해진 자기존재를 확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중년남성들은 가족이 있기에, 그리고 내일이 있기에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꿈을 포기하지 않고 추구해 나가며 제한적인 현실 속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발견하며 살아나간다.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에서 발견되는 의미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계적이거나 일방향적이라기 보다는 순환적이고 혼합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다. 즉 참여자들은 실직경험의 여러 가지 의미들을 일방향적으로 거치기보다는 그 때 그 때의 상황에 따라 되돌아가고 반복되어지며 여러 가지 의미들이 혼합되는 상호 역동적이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은 실직을 통해 제한적이고 어려운 시간을 거치면서 방황하고 좌절하는 가운데 나름대로 의미를 발견하고 새로운 삶을 향해 희망과 꿈을 추구해 나가는 역동적인 경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험의 본질을 이해함으로써 실직한 중년남성들을 보다 총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 론 ----------------------------------------------------------- 1 Ⅱ. 방법론적 배경 --------------------------------------------------- 5 A. 현상학적 연구방법론 --------------------------------------------- 5 B. 밴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 6 Ⅲ. 중년남성의 실직경험 탐구 ---------------------------------------- 9 A. 체험의 본질에의 집중 -------------------------------------------- 9 1. 현상에 대한 지향 ----------------------------------------------- 9 2. 현상학적 질문 형성 --------------------------------------------- 10 3. 연구자의 가정과 선이해 ----------------------------------------- 10 B. 실존적 탐구 ----------------------------------------------------- 11 1.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 ----------------------- 11 2. 어원의 추적 ---------------------------------------------------- 12 3. 관용어구의 추적 ------------------------------------------------ 13 4. 문학과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 15 5. 현상학적 문헌 참조 --------------------------------------------- 71 6. 연구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수집 ---------------------------------- 79 7. 자료의 현상학적 분석과정 --------------------------------------- 84 8.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85 C. 중년남성의 실직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 87 D.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 ----------------------------------------155 Ⅳ. 결론 및 제언 ----------------------------------------------------163 A. 결론 ------------------------------------------------------------163 B. 제언 ------------------------------------------------------------166 참고문헌 ------------------------------------------------------------167 영문초록 ------------------------------------------------------------1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94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년남성의 실직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ob loss experience of middle-aged men-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