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유행선도력 및 의복관심도에 관한 연구

Title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유행선도력 및 의복관심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shion Leadership and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Sex Role Identify of Male College Students
Authors
양진화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This study intends not only to understand the clothing behaviors of males who are standing out as new consumers in the fashion industry but also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hat is of help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in the closing business for males, by examining the sex role identity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consequent fashion leadership and closing interest. The subject matter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sex role identity of male college students; Second, to explore the fashion leadership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ird, to consider the differences of each group’s fashion leadership and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of male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341 male college students in four 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for data analysis used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quartile, frequency, percentage, ANOVA, t-test, χ2-test by utilizing SPSS WIN 13.0 statistics package, and for post verification carried ou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lso it obtained Cronbach’s α value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question by line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each group according to sex role identify of each study object, it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bisexual type was the highest as 105 persons(32.0%), followed by undifferentiated type 105 persons(30.8%), female type 71 persons(20.8%), and male type 56 persons (16.4%). Furthermore, the difference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group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item. Second, as a result of dividing each group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t found that there exist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leadership group and non-fashion leadership group. In fashion leadership group, most of male college students were of bisexual type whereas in non-fashion leadership group most of them were of undifferentiated type. It also found that there existe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dual leadership and fashion retarded group, and that in fashion dual leadership most of male students were of bisexual type whereas of fashion retarded group most of them were of undifferentiated type. Third, there were many differences as for variables in clothing interest of each group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It showed that fashion leadership group attaches the greatest importance to psychological dependence of clothing while non-fashion leadership group to comfort of clothing. It also found that fashion dual leadership group, like fashion leadership group, attaches the greatest importance to psychological dependence of clothing while fashion retarded group to comfort of clothing.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variables in clothing interest among groups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it found that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among the five variables. It showed that as for the four variables other than economical aspect, bisexual type has more clothing interest than other three groups, and that undifferentiated group has the lowest clothing interest. It also found that male, female, and undifferentiated groups other than bisexual group have the highest clothing interest in aesthetic value, and that all groups have the lowest clothing interest in tast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within the divided two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it showed that among fashion leadership group, male students of bisexual type have more psychological dependence of clothing than other three groups. In non-fashion leadership group, there were positive differences in variables of clothing interest, such as aesthetic value, comfort, and control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It also found that fashion leadership group has positive differences in contro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and that in fashion retarded group, there existed no variables to show positive differences in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sex role identity. Sixth, i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interest variables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of four groups divided by sex role identity, all the four groups have positive differences in the variable of aesthetics, interests,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It also found that the clothing interest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within bisexual group and female type group of fashion dual leadership group and fashion retarded group has positive mean differentials in the variable of aesthetic value, interest, control, and psychological dependence.;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의 성역할 정체감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유행 선도력과 의복관심도를 알아봄으로써 패션산업의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부각되고 있는 남성들의 의복행동을 이해하는 동시에 남성들을 위한 의류업체의 상품전략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341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3.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산술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 t-test, χ2-test를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영역별 문항의 신뢰도검증을 위해 Cronbach’s α값을 구하였다. 자료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집단을 나눈 결과, 양성성 유형의 비율이 109명(32.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미분화 유형 105명 (30.8%), 여성성 유형 71명(20.8%), 남성성 유형 56명(16.4%)으로 나타났다. 또, 성역할 정체감 집단에 따른 인구통계적 특성의 차이는 나이 항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남자대학생을 유행 선도력에 따른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유행 선도자 집단과 비유행선도자 집단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 선도자 집단에서는 성역할 정체감 중 양성적 성향을 가진 남자대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유행선도자 집단에서는 미분화 성향을 가진 남자대학생이 가장 많이 분포 되어 있었다. 또, 유행 이중선도자와 유행 지체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행 이중선도자에는 양성적 성향을 가진 남학생이, 유행 지체자 집단에는 미분화 성향을 가진 남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행 선도력에 따른 집단별로 의복관심 변인에 있어 많은 차이를 보였다. 유행선도자 집단은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성, 흥미성, 관리성, 안락감의 순으로 의복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행 선도자 집단은 의복의 안락감을 가장 중시했으며 심미성, 경제성, 심리적 의존성, 흥미성의 순으로 의복에 관심이 있었다. 또, 유행이중선도자 집단은 유행선도자 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미성, 흥미성, 관리성, 안락감의 순으로 의복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지체자 집단은 의복의 안락감을 가장 중시했으며 관리성, 심미성, 심리적 의존성, 흥미성의 순으로 의복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집단간의 의복관심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심미성, 안락감, 흥미성, 경제성, 심리적 의존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성을 제외한 4개 변인에 대해 양성성 집단이 다른 세 개 집단에 비해 의복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분화 집단의 의복관심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양성성 집단을 제외한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 집단에서 의복의 심미성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모든 집단에서 의복의 흥미성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낮았다. 다섯째, 유행 선도력에 따라 나누어진 두 집단 내에서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의복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유행선도자 집단 중 양성성 성향을 가진 남학생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유행선도자 집단에서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의복관심 변인인 심미성, 안락감, 관리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미성, 안락감, 흥미성, 심리적 의존성 변인에서 여성성 집단과 양성성 집단이 남성성과 미분화 집단에 비해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고, 안락감 변인에서는 양성성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 미분화 집단에 비해 다른 세 집단이 의복의 관리성에 대해 관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행이중선도자 집단은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관리성과 심리적 의존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행이중선도자 집단 중 여성성과 양성성 성향을 가진 남학생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의복의 관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과 양성성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유행지체자 집단에서는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의복관심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 없었다. 여섯째, 성역할 정체감 집단에 따라 나누어진 네 집단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의복관심도 변인의 관계를 보았을 때, 네 집단 모두 심미성, 흥미성, 심리적 의존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네 집단 모두 유행선도자 집단의 의복관심 변인 평균점수가 비유행선도자 집단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행이중선도자와 유행지체자 집단에서 양성성 집단과 여성성 집단 내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의복관심도는 심미성, 흥미성, 관리성, 심리적 의존성 변인에서 집단간 평균 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성 집단과 미분화 집단 내에서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의복관심도는 심미성, 흥미성, 심리적 의존성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