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고문정-
dc.creator고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40-
dc.description.abstract서론; 이 논문의 목적은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를 이용해 polymer-based provisional material의 발열 반응을 측정하고, 종류가 다른 8가지의 임시 고정성 보철 수복용 레진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세 가지의 dimethacrylate-based materials (Protemp 2 Garant, Luxatemp, Luxatemp fluorescence) 과 다섯 가지의 monomethacrylate- based material (Snap, Alike, Unifast trad, Duralay, Jet)이 선택되었다. 중합 반응 동안의 열변화를 D.S.C Q-1000 ( TA Instrument, Wilmington, DE,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강 내의 온도와 유사하기 위해 37℃에서 10분간 등온상태를 유지하였다. Powder와 liquid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혼합하였으며, 모든 실험의 혼합시간은 30초 이내로 하였다. 시간에 따른 온도변화 곡선을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항목을 조사하였다. (1) 중합 반응 동안의 최고 온도 (2) 중합 반응 시작 후 최고 온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3) 열 용량( heat capacity). 8가지 재료 차이의 평가는 95% 신뢰수준에서 각각의 평균값을 구하고one-way ANOVA와multiple comparison Bonferroni test를 통해 실험 재료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각각의 중합 반응 동안의 최고 온도는 다음과 같다. :Duralay (41.1) >Unifast trad (40.5) ,Alike (40.5) > Jet (39.6) > Luxatemp plus (38.9), Protemp 3 Garant (38.7) , Snap (38.6), Luxatemp fluorescence (38.4). Monomethacrylate의 평균 peak temperature는 평균40.0℃ (± 0.9)이고, Dimethacrylate는 평균 38.6℃ (± 0.3)이다. 각각의 실험 재료에 따른 최고 중합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다음과 같다.: Snap (177.9) , Jet (175.1) > Duralay (157.9)> Alike (98.2) > Unifast trad (79.7) > Luxatemp plus (27.5), Protemp 3 Garant (25.7) , Luxatemp fluorescence (25.6). ). Monomethacrylate의 최고 중합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평균137.8 sec (±42.4)이고, Dimethacrylate의 최고 중합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평균 26.3 sec (± 2.8)이다. 각각의 열용량 평균은 다음과 같다.: Duralay (414.9) > Trad (40.5) , Jet (383.7) , Alike (335.9) > Snap (220.3), Luxatemp fluorescence (187.6), Protemp 3 Garant (187.5) , Luxatemp plus (176.9). Monomethacrylate의 열용량은 평균350.9 J/g (± 83.9)이고, Dimethacrylate의 열용량은 평균181.0 J/g (± 29.8)이다. 결론; D.S.C.는 임시 고정성 보철 수복 레진의 중합 반응 동안의 열변화를 관찰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이것을 이용한 열 용량의 평가는 다른 방법과 다른 특징적인 것이다. D.S.C.는 실험 재료의 중합 반응 동안 reference sample pan의 온도와 sample pan의 온도를 일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이 때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열을 측정하여 분석한다. Peak temperature는Monomethacrylate 가 Dimethacrylate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할 만큼 높다. PMMA의 중합 반응 동안의 최고 온도는 다른 종류 ( PEMA, Dimethacrylate)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크다(P <0.05). 반면, PEMA (Snap) 와Dimethacrylate사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할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P >0.05). 최고 중합 온도에 이르는 시간은 Monomethacrylate 가 Dimethacrylate보다 더 길고, PEMA (Snap)>PMMA > Dimethacrylate 순이다. 열용량은 Monomethacrylate 가 Dimethacrylate보다 더 크다. PMMA가 통계학적으로 가장 크고, PEMA (Snap) 와 Dimethacrylate 의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P >0.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CONTENTS Ⅰ. INTRODUCTION = 1 Ⅱ. MATERIAL AND METHODS = 3 Ⅲ. RESULTS = 5 Ⅲ-1. Peak temperature = 6 Ⅲ-2. Time to peak temperature = 8 Ⅲ-3. Heat capacity = 10 Ⅳ. DISCUSSION = 12 Ⅴ. CONCLUSION = 17 REFRENCES 18 Appendix 21 ABSTRACT (Korean) 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5937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In vitro Study on Exothermic Reaction of Polymer-based Provisional Crown and Fixed Partial Denture Materials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를 이용한 임시 고정성 보철 수복 레진의 발열 반응 평가-
dc.creator.othernameKo, Mun-jeung-
dc.format.page1책-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치주보철학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치주보철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