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순-
dc.contributor.author하지영-
dc.creator하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9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임숙영의「술회(述懷)」의 문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17세기 초 문단 풍경의 한 단면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술회」는 소암(疎菴) 임숙영(任叔英)이 1619년에 동악(東岳) 이안눌(李安訥)에게 증여한 716운의 장편 배율(排律)로 최근까지 최장편 한시로 알려져 왔다. 이 시는 그 분량에서 뿐 아니라 이 작품은 서술 구조나 주제 의식,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도 독특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이러한 특징이 당시의 변모하는 문단의 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예상하여 이 작품에 주목하게 되었다. 「술회」가 창작된 후의 기록을 볼 때, 이 작품은 창작되었던 소암 당대 뿐 아니라 이익(李瀷)이 살았던 18세기까지 지속적으로 문인들 사이에서 읽혀지고 평론의 대상이 되었던 것으로 추측한다. 물론 이러한 관심은 「술회」의 엄청난 분량에서 비롯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7세기에 「술회」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던 것을 보면 「술회」의 특징이 소암 개인의 기호에서만 비롯한 것이 아닌, 당시 수용층의 기호에 어느 정도 부합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본고는 「술회」를 분석하고 17세기 문단의 한 풍경을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가설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술회」는 서두부분에서 단군에서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민족사를 읊어 내려가고 있다. 또 동악의 행적을 서술하는 가운데에 지리적인 서술을 함께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전대 문학과 비교하였을 때 생경한 느낌을 주지만, 이는 당대에 고조되었던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과 그 맥을 함께 한다고 추정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술회」는 민족사를 일치일란(一治一亂)의 구조 아래에서 전개하다가 동악의 행적을 서술하고, 자신의 삶을 술회하고 있다. 그리고 끝에서 한 번 더 시대의 문제와, 동악과 소암의 삶을 논하면서 정회의 마무리하고 있다. 각각은 나름대로의 균형을 가지고 있으며 별도의 작품으로 독립해도 좋을 만큼의 분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속성 속에서 소암은 난세의식을 드러내고 은둔의 당위를 강조하면서, 이러한 자신의 현실인식과 대응을 동악에게로 확대하고 있다. 여기서 그들이 광해군 정권 하에 일정한 동류의식을 교환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 「술회」는 장편배율로 전고를 다량 사용하고 대구를 치밀하게 사용하는 등 형식미를 치밀하게 추구하였다. 그러면서도 작가의 주제의식을 잘 구현하여 내용상으로도 결함이 없고자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당시 전후칠자의 문풍의 수입으로 수사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었던 조선 문단의 문풍을 반영한다고 추정한다. 소암의 리사겸비(理辭兼備)의 문학론 역시 이러한 문풍과 궤를 함께 하고 있다. 「술회」는 서술 구성 상 술회시, 영사시, 서사시적인 면모를 함께 가지고 있다. 이 중 특히 술회시와 영사시의 문학사적 변모양상과 「술회」 사이의 접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고는 우선 17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한시가 장편화되고, 이에 서사적 구조를 내재한 술회시가 대거 등장하기 시작한 것을 주목하였다. 임란 이후 문학의 서사화가 가속화되면서 한시도 이러한 변화에 합류하였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술회」 서두부분은 당시의 장편 영사시의 흐름 속에서도 위치한다. 「술회」와 비슷한 시기에 해동악부가 대거 등장하여 고려 말 이래로 끊겼던 장편영사시의 흐름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악부와 배율이라는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지고 있기에, 둘은 상이한 면모를 많이 보이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둘 다 역사에 대한 관심을 시에서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당대 문풍의 변화 양상을 함께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처럼 「술회」는 17세기 초에 변모하는 문단의 한 풍경을 재구성하고, 우리 문학사의 한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This paper aims to take into account the phase of early 17thcentury in the literary cycle by which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Sulhoe are examined. Sulhoe, a style of Chinese verse of 716 rhymes, which was given to Dongak Lee An Nul by Soam Im Suk Young has been known as the longest Chinese poetry. This poem is unique not only in terms of the quantity, but also in terms of the structure, thematic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formalization. As a result, this paper is concern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have been influenced some phases of the transforming cultural cycle. The characteristics of Sulhoe were derived from his preference as well as capturing public taste since Sulhoe had long been a target of literary criticism and interesting reading for not only the created time but also continuously up to 18th century. It has given proof of this hypothesis, given the work via reconstruction of some shapes in the 17th century literary cycle. Sulhoe expresses history from Dangun to early Joseon in the beginning. In addition, it is peculiar to note that record of performances of Dongak was described with geographical point of view. This description that gives an unusual feeling, however, is assumed to synchronize with the concerns about historic geography. In general, Sulhoe is describing the history under the structure of peace and war , performance of Dongak and personal life respectively. Consideration of the ear with regard to the lives of Dongak and Soam comes to the end again. It can be seen that each of the parts seems to be independent on one another by which each part has sufficient quantity in favour of the balance as a whole. In this circumstance of continuity, Soam showed the consciousness of turbulent times at last and emphasized what one should do in terms of the sequestration. Moreover, his awareness of reality is expanded to Dongak, taking into account that how he should cope with. It is supposed to be exchanged their certain consciousness under the GwangHaeGun government. Besides, Sulhoe as being a long series of Chinesepoem, pursued accurately sophisticating formality, for example, using plenty of authentic precedents and antithesises while it made efforts on the flawless contents led by the expressing author's clear theme. It is presum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the literary atmosphere in which ones were interested in the rhetoric imported from Myeng/Cho dynasty. Soam's literary theory also is on the sane trajectory with this literary atmosphere. Sulhoe has the several features in terms of structure; Sul-hoe-shih(poems recalling one´s past), Youngsashih(poems celcbrating historical person), epic. It was possible able to have in common between Sulhoe and these 3 types in the literary transformation. Thispaper took an observation on the time in which Chinese poetry became a long piece in about 17thcentury in addition to start of Sulhoeshih combinedwith epic structure.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1592, as accelerative development of epic literature, Chinese poetry was also getting changed in this circumstance. Moreover, the beginning of Sulhoe could be also found in the flow of long Youngsashih at that time since Hae Dong Ak Bu which was made its appearance at the similar period had been keeping on the flow the long piece Youngsashih extinct since late Koryo. In the middle of structure, it is essential to note that features of hero epic poem were remarked. So, it seems to have shown the one feature of epic in where Sulhoe was lost feature of the Confucian hero and was embodied the epic poem. As a result, Sulhoe not only restructuredsome phases of transformational literature in the early 17th century, but also has an important pos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대상의 개관 = 1 B.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논의 방향 = 2 Ⅱ. 임숙영의 생애와 문학적 성향 = 6 A. 생애 = 6 B. 문학적 성향 = 9 Ⅲ. 「술회」의 창작배경 = 18 A. 민족사와 국토에 대한 관심 고조 = 18 B. 광해군 정권과 문인들의 동류의식 고조 = 21 C. 17세기 초 문풍의 변모 = 28 1. 명대 도서의 수입과 문예의 전문화 = 28 2. 소암의 리사겸비론(理辭兼備論) = 33 Ⅳ. 「술회」의 구성 및 전개 = 38 A. 「술회」의 구성 = 38 B. 「술회」의 내용 전개 = 40 1. 제 1단 : 민족사의 전개 = 40 2. 제 2단 : 동악의 행적 서술 = 42 3. 제 3단 : 소암의 삶 술회 = 46 4. 제 4단 : 정회의 맺음 = 48 Ⅴ. 「술회」의 특성 = 50 A. 역사와 지리에 대한 새로운 인식 및 서술 = 50 1. 과도기적 역사 인식 = 50 2. 기행의 대리 체험 = 54 B. 서술 방식의 변주와 알레고리의 전달 = 59 1. 영사(詠史) : 일치일란(一治一亂)의 역사 서술과 현실 비판 = 60 2. 서사(敍事) : 인간의 나약성 부각 = 67 3. 술회(述懷) : 은거의 당위 강조 = 70 C. 형식미의 추구 = 72 Ⅵ. 「술회」와 17세기 문학사의 전개 = 79 A. 임란 후 술회시의 변모와 「술회」 = 80 B. 장편 영사시의 흐름과 「술회」 = 87 Ⅶ. 결론 = 91 참고문헌 = 95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69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任叔英의 <述懷>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7세기 초의 문단 풍경과 관련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ulhoe>(述懷) of Im Suk Young : In relation to early 17thcentury in the literary cycle-
dc.creator.othernameHa, Ji-Young-
dc.format.pageiv,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