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국어 지식 영역의 수행평가 방안 연구

Title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국어 지식 영역의 수행평가 방안 연구
Authors
송현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제7차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탐구 활동을 강조하여 학습자가 직접 지식 생산을 경험하고, 학습한 지식을 실제의 국어 사용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최근까지 주로 사용해 온 지필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과 적성을 계발하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지식이나 정보를 적극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력 등 고등 사고 기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수행평가를 적극 권장하였다. 이러한 근간의 동향을 바탕으로 논자는 국어 지식 영역을 교수 · 학습할 때에, 다양하고 풍부한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규칙이나 원리를 깨우치도록 하며, 발견한 규칙이나 원리를 실제 생활에 적용하도록 하고, 교사는 그 과정을 면밀히 관찰 · 누적하여 평가의 준거로 삼는다면 효과적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동시에 평가까지 겸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 · 학습의 형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탐구 학습은 경험 과정을 통하여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이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 과정의 기본 방향과 부합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 스스로 규칙과 원리를 익히는 탐구 학습 모형을 도입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과 동시에 문학이나 언어 사용 영역―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또는 그 통합 영역의 평가―에 한정되어 있던 수행평가 기법을 확대 ·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의 국어 지식 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먼저 Ⅰ장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국어 지식 영역의 연구 흐름과 탐구 학습 모형의 적용 양상, 그리고 국어과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행평가의 실제 등을 문헌을 통하여 정리하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제7차 교육 과정 개정에 따른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 학습 적용을 위한 수업 모형을 구성주의에서 찾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인 구성주의의 인식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지식의 의미와 성격, 구성주의에 근거한 교수 · 학습 이론과 방법을 탐색하고, 나아가 이에 기초한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탐구 학습 모형과 수행평가에 대한 이론들을 토대로 실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국어 지식 영역에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행평가의 실제적인 모습을 나타내 보았다. 실제적 성격의 과제 수행은 학습자의 삶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들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지식을 삶에 반영하여 보다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업에 실제로 적용해 본 결과의 효용성을 학습자들의 의견을 토대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 및 한계를 밝히며 마무리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했음을 알 수 있다. 국어 지식 영역의 내용이 어렵고 교수 방법 또한 재미없다는 이유로 국어 지식 영역을 싫어하던 학습자들이 각 모둠에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동하며,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고 앞으로도 계속 국어 지식 영역의 수업이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향으로 진행되기를 희망했다는 것은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얻게 된 가장 큰 수확이었다. 둘째, 국어 지식 영역에 대한 학습자들의 탐구심과 이해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여러 자료들을 토대로 스스로 규칙과 원리를 발견하고 실제 생활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흥미와 성취감을 맛본 결과라고 여겨진다. 또한 전체적으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이 되도록 고안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일방적인 전달방식의 수업보다는 학습자들이 좀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반응을 보인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어 지식 영역 중에서 극히 일부분에 적용한 결과만을 가지고 논의를 진행했기에, 탐구 학습을 적용한 수행평가 방안의 효과 검증 및 평가 척도의 객관성 확보에 있어 부족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제7차 교육 과정의 궁극적 목표에 부합하며, 중학교 교실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되는 국어 지식 영역의 교수 · 학습 방법을 고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국어 지식 영역 교육에서 더욱 활발한 탐구 학습 모형 및 수행평가 방안이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The seventh curriculum aims at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reative Korean usage ability. It emphasizes inquiry activity to raise Korean usage ability, resulting in the learner's own experience of creating knowledge and an authentic usage of it. In addition, it recommends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an compliment the defect of paper tests. "Also it develops students' various capabilities and aptitude, and it encourages students to learn activel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meaningful to them. It has a great way of enhancing high intelligence such as creativeness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essential ground work that learners must figure out the rules and principles by themselves and apply them to real life. After applying it, the teachers must file and evaluate the process they take when they study Korean linguistics knowledge. Inquiry of learning is the way students solve the problems on their own through experience. This corresponds to the basic foundation of curriculum which emphasizes learner-centered self leading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learners solve the problems positively and effectively and to improve their Korean linguistic knowledge ability. By applying this inquiry learning model, learners can understand rules and principals by themselves. This in turn results from applying and generaliz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This method was limited to literature and language usage field-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the area-integrated evaluation. Chapter I analyzes the current studies of Korean linguistic knowledge. These studies portray the aspects of applying the learning model and the real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subject through document survey. Following the 7th curriculum from the constructivism, Chapter II found the teaching model for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aspect of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By investigating the epistemology in constructivism, the theoretical frame of this study, it explored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the knowledge and the teaching-learning theory. These ways were based on constructivism, and in turn, suggested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on the basis of it's principals. Chapter III suggested the inquiry learning model and the model for applying it to a practical class based on the theory of performance assessment. Chapter IV indicated the practical figure which results from applying the inquiry learning model to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This practical task has learners take good advantage of their own knowledge by applying it to real life scenarios. Chapter V analyzed the result of applying it practically to classes on the basis of the learner's opinion. Finally, in Chapter VI it defined the meaning and limit of this study. The result includes the following. Most of all, the learner's perception on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turned positive. Learners who had hated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because of monatenism, became more active and cooperative to solve problems belonging to their groups. Their interest wa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and they hoped that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classes would allow them to learn faster and more efficiently. Second, learner's captured the spirit of inquiry and understanding on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Their learning became higher as a result of their new capability. This is the direct result of the achievement and interest through discovering the rules and principals. Using the various resources for themselves, they can apply them to real life situations. In addition, since the model was designed to consider the learner's level and lead every learner to take part, learners reacted more active and positive than the existing one-way lecture classes. However, since this study discussed on the result of applying to the only limited field of Korean linguistic knowledge, it lacks of inspection of effect and objectivity on evaluation criterion for performance assessment applied the inquiry learning. Despite the above limi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final goal of the 7th curriculum and designs the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is helpful for middle school class improvement in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It is hoped that the inquiry learning model and performance assessment on the Korean linguistic knowledge is more concrete and authent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