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Title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Study Trend on Korean Women’s Lifelong Education
Authors
안현용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는 1990년부터 2005년에 걸쳐 국내에서 발간된 여성평생교육 학술지를 분석하여 한국 여성평생교육학의 연구 동향을 연구 목적, 연구 주제,연구 방법 별로 정리하고 그것의 연도별, 학술지별 추이를 조사함으로써, 이를 통하여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 동향의 특징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여 한국 여성평생교육학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여성평생교육회의 「한국여성평생교육」과 「한국여성사회교육」, 한국평생교육학회의 「사회교육학연구」와 「평생교육학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의「Andragogy Today」,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학연구」에 게재된 여성평생교육 관련 논문 114편을 선정하여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동향을 해석·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관련 선행 연구와 여성주의 이론 및 여성주의 교육 이론, 여성 연구에 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목적의 분석틀은 실천 지향적 연구인 1) 남성 중심의 실제 교육 조직에서 여성의 종속성·소외 규명 및 대안 모색, 2) 여성의 임파워먼트 강화 방안 모색, 3) 생명·환경·공동체 지향의 교육 과제 탐구 와, 이론 지향적 연구인 4) 교육의 이념 및 학문 영역에서 여성의 종속성·소외 규명 및 대안 모색, 5) 남성 중심 기준이 아닌 새로운 관점에서의 여성학습자의 이해, 6) 여성주의 평생교육학의 학문적 기초 모색 영역으로 세분화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분석틀은 1) 여성평생교육 학습자에 관한 이해, 2) 여성평생교육 학습자 집단 및 문화에 관한 이해, 3) 여성평생교육 담당자에 대한 이해, 4) 여성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 과정에 관한 이해, 5) 여성평생교육 기관 및 현장에 관한 이해, 6) 여성평생교육 제도 및 정책에 관한 이해, 7) 여성평생교육 국제 비교 연구, 8) 여성평생교육 개념, 특성, 이념, 역사, 철학 등 여성평생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위한 연구, 9) 여성평생교육학(學)의 학문적 기초를 위한 연구 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연구 방법의 분석틀은 1) 역사 연구, 2) 실험 연구, 3) 조사 연구, 4) 비교 연구, 5) 질적 연구, 6) 분석/기술 연구 영역으로 세분화하였다. 위의 분석 기준에 따라 한국 여성평생교육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 연구 목적에 있어서,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실천 지향적 연구가 이론 지향적 연구 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 초기에는 실제 현장으로의 응용을 목적으로 하는 실천 지향적 연구가 우세하였으나 최근의 연구에는 여성평생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그 학문적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 마련으로서의 이론 지향적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에 있어서, <여성평생교육 학습자에 관한 이해>를 다루는 논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그 뒤를 <여성평생교육 개념·특성·이념·역사·철학 및 이론적 기초 모색>, <여성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 과정에 관한 이해>, <여성평생교육 제도 및 정책에 관한 이해>, <여성평생교육 국제 비교>, <여성평생교육 학습자 집단 및 문화에 관한 이해>, <여성평생교육 기관 및 현장에 관한 이해>, <여성평생교육 담당자에 관한 이해>, <여성평생교육학(學)의 학문적 기초 탐구> 순으로 차지하고 있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 방법은 기존의 이론이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새로운 이론을 기술하는 연구 방법인 <분석/기술 연구>이며, 그 뒤를 실증적 통계 결과에 의존하는 <조사 연구>가 차지하고 있다. 한편 여성의 경험을 밝히는 여성주의 연구 방법론으로서 <질적 연구>가 대두됨에 따라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외국과의 비교를 시도하는 <비교 연구>는 낮은 비율이지만 꾸준한 사용을 보였다. 역사적 자료에 의존하는 <역사 연구>는 총 4편에 그치고 있으며, 시간적·비용적 제약이 큰 <실험 연구>는 단 1편을 기록하였다. 연도별 동향을 보면,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물은 연도별 빈도 분포에 있어서 뚜렷한 지속성을 보이지 않는다. 특히 연구 기간 초기, 그것의 분포는 매우 임의적이며 간헐적이다. 그러나 1994년 한국여성사회교육회의 학술지인「한국여성평생(사회)교육」발간,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으로 인한 여성 학습자의 부각, 2000년 '한국여성사회교육회'의 창립 10주년으로 인한 여성평생교육학의 회고와 반성 및 향후 방향 모색 작업, 그리고 2001년 여성부 출범에 의한 여성 연구 의지 확산 등 여성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일련의 의지들은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꾸준한 성장을 이끌어 오고 있다. 학술지별 동향을 보면, 한국여성평생교육회의「한국여성평생(사회)교육」은 가장 많은 양의 여성평생교육 연구물을 배출하였고, 연구 목적,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별 각 세부 영역 전반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평생교육학회의「평생(사회)교육학연구」는 연구 목적에 있어서 <여성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와 <생명·환경·공동체 지향의 교육 과제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우세하며, 연구 주제와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일부 영역에 편중됨을 보인다. 한국성인교육학회의 「Andragogy Today」는 연구 목적, 연구 주제, 연구 방법에 있어서 타 학술지에 비하여 성인여성학습자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려는 노력이 돋보이며, 여성학습자를 위한 실질적 학습 방법 마련을 위한 이론적 토대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교육학회의 「교육학연구」는 여성학습자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학술지가 아니기에 여성학습자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려는 노력보다는 전체적인 교육 구조 속에서 여성의 문제를 확인하고, 그것의 정책적 처방을 도모하는 보다 거시적 관점에 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주요 특징과 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현장 중심의 실천적 연구와 그것의 학문적 정립을 위한 이론적 연구가 동시에 진행되는 역동적인 학문 공간이다. 초기의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실제 현장과 밀착되어 그 운영과 실행에 관심을 두는 실천 중심의 목적이 강했던 반면, 최근의 연구는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현장 중심적 특성을 진단하고, 그것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탄탄한 이론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둘째,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여성학습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이끌어가는 여성주의 평생교육학으로의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다.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해를 거듭할수록 여성학습자 이해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여성평생교육이 여성주의 평생교육으로 특성화되기 위한 학문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셋째,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한국 여성평생교육의 학문적 독자성을 구축하기 위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즉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목적이 여성의 소외나 차별, 종속성 등의 성불평등성을 들추어내는 것에서부터 여성의 임파워먼트 향상 및 인류 공동체의 교육 과제 모색의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는데, 이는 여성평생교육 연구가 초기에는 성차별과 성 불평등을 주 논의 영역으로 하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차 여성의 임파워먼트 증진에 주력하는 여성평생교육학의 독자적인 학문적 영역을 구축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여성평생교육 연구에 있어서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여성 연구에 대한 의지가 중요하다. 초기의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뚜렷한 문제의식을 지닌 하나의 독자적 학문으로서 연구되기 보다는 교육학 혹은 평생 교육학의 일부 영역으로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1990년 '한국여성사회교육회'가 설립, 1994년 여성평생교육 전문 학술지인 「한국여성평생(사회)교육」발간, 1999년 평생교육법 제정으로 인한 여성학습자의 부각, 2000년 '한국여성사회교육회'의 창립 10주년으로 인한 여성평생교육학의 회고와 반성 및 향후 방향 모색 작업, 그리고 2001년 여성부 출범에 의한 여성연구의지 확산 등 여성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일련의 의지들은 여성평생교육 연구의 꾸준한 성장을 이끌어 오고 있다. 다섯째, 한국 여성평생교육학 연구는 <여성평생교육학(學)의 학문적 기초를 위한 연구>가 매우 미약하다. 여성평생교육학이 학문적 방향을 제대로 찾아가기 위한 연구에 대한 연구, 즉 메타 연구식의 연구 접근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한국 여성평생교육 연구는 이 같은 연구 주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여성평생교육이 그것의 독특한 문제의식을 지닌 특성화된 학문으로서 거듭나기 위해서는 <여성평생교육학(學)의 학문적 기초를 위한 연구>는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한다. 여섯째, 한국 여성평생교육의 발전과 그 학문적 정립을 위해서는 여성학습자와 여성평생교육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전문적인 학술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여성에 대한 다양한 주제와 심도 있는 이해를 해나가는 한국여성평생교육회의 「한국여성평생(사회)교육」과 한국성인교육학회의 「Andragogy Today」가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따라서 여성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주도해나가는 학문적 토대 마련과 여성연구의지의 확산 통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여성평생교육 전문 학술지에 대한 지원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research trends of the domestic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into the purpose of study,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method of study by analyzing the research papers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1990 and 2005, to provide the research tren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hrough examining the transitions according to each paper and the years of public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scientific establishment of Korean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selected and analyzed 114 papers related to the women’s lifelong education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Korea Journal of Women’s Social Education] from , [A Research on Social Education] and [A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from , [Andragogy Today] from , and [A Study on Education Research] from between 1990 and 2005 and based on the results, interpreted and examined the research trend of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The analytical framework used in this paper is constructed based on the basic understandings on the related preceding studies, theory of feminism, education theory of feminism, and women study.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purpose of study was subdivided into practice intentional studies including 1) examining women’s subordination and alienation in men-centered education organizations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s, 2) searching of women’s empowerment strengthening plan, and 3) researching educational tasks that aim life, environment, and cooperation, as well as theory intentional studies including 4) examining women’s subordination and alienation in educational ideology and academic area and searching for alternatives, 5) understanding women learners from new perspective rather than from men centered standard, and 6) searching for scientific foundation of feministic lifelong educatio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subject of study was subdivided into 1) understanding of women learners of lifelong education, 2) understanding of the groups and cultures of women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3) understanding the responsible person for women’s lifelong education, 4) understanding of the programs and education curriculum for activation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5)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s and actual sites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6) understanding of the systems and policies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7) comparative studying on international women’s lifelong studies, 8) researching on the concept, characteristics, ideology, history, philosophy,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9) research for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method of study was subdivided into 1) history research, 2) experimental research, 3) examination research, 4) comparative research, 5) quantitative research, and 6) analytical/technological research.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f the scientific papers from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standards. In the purpose of study, practice intentional studies were more actively conducted compared to theory intentional studies according to the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However, although practice intentional studies that pursue actual site application were dominant earlier, the recent studies show the trend of increased number of theory intentional studies that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to find the academic direction of the education. In the subject of study, the papers that deal with were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followed by , , , , , , and . In the method of study,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as that explains new theories by analyzing the existing theories or the preceding studies followed by that depends on quantitative statistical results. On the other hand, as become a predominant figure as the methodology for studying feminism that explains the women’s experiences, its use was dramatically increased. that attempts to compare the domestic result to the international results are continuously used at a low ratio. that depends on historic data was used only on four papers and that has time and cost constraints was used only on one paper. Looking at the yearly trend of the studies, the papers from the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show no clear consistency in yearly frequency distribution. Especially, the distribution is very voluntary and occasional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period. However, a series of intentions that try to activate women’s lifelong education such as publication of [Korean women’s lifelong (social) education] from in 1994,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law in 1999 brought women learners into relief, the project to recollect, reflect, and search for the future direction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as the attains its 10th anniversary in 2000, and the dispersion of increased intention to the women study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1 lead continuous growth in women’s lifelong education researches. Considering the trend according to each paper, [Korea Women’s Lifelong (Social) Education] from published the biggest amount of research paper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the researches are in progress in each fiel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tudy,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method of study. [Lifelong (Social) education study] from had the majority of paper with the purpose of and in considering the purpose of study. They were lean upon specific areas in considering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method of study. [Andragogy Today] from shows in depth understanding on adult women learners compared to the other papers in the purpose of study,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method of study and it focuses on theoretical foundation establishment to provide practical learning method for women learners. Since [A Study on Education Research] from is not the paper that deals women learners centrally, it tries to confirm the problem that women learners have in the general context of educational structure and designs political treatments in macro context rather than to understand women learners more in depth.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issues of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research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trend. First, the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are the active academic spaces that conduct practical researches focusing on actual sites as well as theoretical researches for academic establishment. While the early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more focused on practices that give more interest in its operation and practice attaching to the actual sites, the recent researches focus more on diagnosing the actual site focused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finding the direction of it by establishing firm theoretical foundation. Second, the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has been qualitatively improved transforming into feministic lifelong education study that leads to the deeper understandings on women learners. The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try to approach to understandings on women learners as time goes by and try to characterize women’s lifelong education into feministic lifelong education. Third, the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are moving to the direction that pursues academic independence of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In other word, the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are moving into the trend of improving women empowerment and study subject for the human beings’ education from simple disclosure of gender inequality such as alienation,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of women. It means that the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started as education sociology that discuss mainly about the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the early years and they are now constructing independent academic field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that focuses more on women’s empowerment improvement. Fourth, the specialized research journals those deal heavily with women learners and women’s lifelong education to develop and establish Korea women’s lifelong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Korea Women’s Lifelong (Social) Education] from and [Andragogy Today] from have significance since they understand women more in depth. Fifth, the researches of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has insufficient amount of researches for academic foundation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To find the right academic direction,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requires Meta research approach method. However, current researches on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try to conduct for Korea women’s lifelong education to be born again as the characterized study that has distinctive recognition on the problems it has. Sixth, to accomplis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it must have an intention to research women study above all things. The early researches on women’s lifelong education study were conducted as a part of the education study or lifelong education study rather than to be conducted as an independent study. However, establishment of in 1990, publication of [Korean women’s lifelong (social) education] which was the specialized paper for women’s lifelong education, and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law in 1999 brought women learners into relief, the project to recollect, reflect, and search for the future direction of women’s lifelong education as the attains its 10th anniversary in 2000, and the dispersion of increased intention to the women study as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1 lead continuous growth in women’s lifelong education research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