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상용-
dc.contributor.author이경진-
dc.creator이경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5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513-
dc.description.abstractArt museum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ignificant since they enrich people’s liv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Presently, art museums not only collect and maintain pieces of artistic work but they also provide cultural experiences with an emphasis on the historical education. Being present in an art gallery and viewing the original works of art result in a much better learning experience. At the same time, it broadens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through fieldtrips. Also, it helps develop your imagination, observational skills, enriches your mind, and heightens visual acuity. According to the cultural management assessment for 2000, 65% of art galleries and museums provide interactive programs. Its growth has been significant having only 30% in 1998 and growing to 54% in 1999. However, most of them offer only 1 to 4 lessons and have problems with professionals, planning, budget, and their facilities. Moreover, Korea’s schools do not have active on-going exchanges or a good partnership with the art galleries.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present situation to maximize the use of art museums in the school system. I also studies problems experienced in art classes and provided suggestions to give a future reference for the interactive program. In our educational system, art classe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rtistic experience, hands-on experience, and examining different kinds of art work. However, historically art classes on Korean schools only focus on the hands-on experience because teachers do not have enough available sources. The necessity of on-going interaction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it is solving the above problems. Art museums are considered as voluntary lifetime educational facility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school system. This historical trend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o develop a good interactive program between schools and art museums. The system gap is bridged in U.S. through active on-going interactions between the 2 facilities. A good relationship has been formed between the 2 facilities in U.S. where started this interaction. Historically, the U.S. government strongly encouraged schools to develop the interactive programs with the art galleries and because of that, today, art museums are considered as another educational institution. Presently, Americans students are used to the interactive programs and they talk about what they see at the art museum. Furthermore, the art museums have various programs for each grades and work hard to come up with new unique programs. In Korea, the Hyundai National art museum and other major art museums have the interactive programs. However, the programs and related exhibitions are put together not considering Korea’s educational system and it is lacking the diversity and quality. Therefore, fieldtrips to the art museums are not good enough to enhance the school program. Below, I have listed my conclusions regarding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to improve the interactive program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a guaranteed budge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gram. Secondly, we need to hire more qualified professionals who can handle a more diverse interactive program. Thirdly, we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art museums and have active on-going exchanges and a good partnership. Fourthly, there should be more effort and better networking to establish the diverse and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Fifthly,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online practical information. This report has its purpose to analyze the interactive programs that is being used to date. Because the interactive programs are not widely spread, I had some difficulty researching its effectiveness. It is my hope that this study that I have done will result in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benefits of the interactive programs and that more schools and art museums will get on board.;미술관은 미적 체험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인 동시에 대중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사회 교육 기관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미술관은 이제 예술품의 전시와 수집, 보존이라는 이전 미술관의 소극적 기능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고 역사적 의식을 고양시키는 교육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미술관을 통한 교육은 학교의 정규 수업과 다르게 직접 작품을 접하기 때문에 현장학습의 효과를 가져오고 미술관이 가진 특징과 장점을 살려 열린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영역을 확대시킨다. 또한 상상력, 관찰력, 풍부한 사고력을 자극하고 미적 안목을 기를 수 있다. 국내 미술관의 경우 2000년 문화기반 관리운영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박물관 · 미술관은 65%로, 99년의 54%, 98년의 30%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1강좌에서 4강좌 이하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있지 못하며 전문인력, 기획력, 예산, 설비 등의 문제로 대부분 그리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의 학교 교육의 상황은 미술관과 긴밀한 연계 교육에 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에 주안점을 두고 미술관이 미술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기 위해 현황조사를 하였고, 문제점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앞으로의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 활동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는 데 목적이 있다. 현 교육과정의 미술교육은 미적체험, 표현, 감상의 세 영역을 통해 환경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며 새로운 문화적 가치를 창조하는 미적감성을 기르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으나 현재까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은 표현활동 중심으로 감상활동이 소홀히 다루어졌고, 교사에 대한 감상교육의 부재 등의 이유로 학교에서는 체계적인 미술 감상수업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러한 부족한 부분을 미술관이 보충해줄 수 있기 때문에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의 연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그런데 사회교육적 기관인 미술관은 평생교육으로써 비정규교육이므로 정규교육인 학교교육과 구분되기 때문에 제도적으로 구분되어진 두 교육기관의 연계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일은 쉽지 않다. 미국의 경우 학교 교육기관과 미술관과의 교류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며 이러한 제도적 차이에서 오는 난관을 극복하고 있다. 미술관 교육이 시작된 미국은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의 연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미술관 교육의 역사를 살펴보면 학교 미술교육을 국가적 차원에서 미술관 활동을 적극 장려해왔고 그에 따라 미술관은 사회 교육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많은 학생들이 미술관 교육에 자연스럽게 참여하고 토론의 장으로써 적극 활용하고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주제로 각 학년에 맞게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미술관의 특성을 살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힘쓰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한 주요 미술관들에서 학교 연계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 및 그와 관계된 기획전시가 학교 교육제도 전반을 고려하지 않고 미술관 편이에 따라 일방적으로 짜여진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직은 그 다양성이나 질적인 수준이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현 우리의 미술관 교육은 학교들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연계적 특성을 살린 교육활동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 프로그램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위해서 예산 확보가 요구된다. 둘째, 학교 연계프로그램의 내용을 더욱 다양하게 기획, 운영하기 위한 전문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의 미술관 관람을 적극 유도하기 위해서 미술관과 학교가 정보교류와 파트너쉽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육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홍보활동과 연구풍토, 미술관들 간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상에서의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포괄적으로 정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미술관과 학교의 연계교육은 일반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내용적인 면에서 깊이 있는 연구를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상 본 연구를 통해 미술관과 학교 교육 간 학생들의 보다 적극적인 미술관 관람을 유도할 수 있는 연계프로그램 개발 방안에 대해서 체계적인 연구성장이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방법과 제한점 = 3 Ⅱ. 미술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 5 A. 미술관 교육(Museum Education)의 개념과 역사 = 5 B. 미술관 교육의 중요성 = 16 C.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의 연계필요성 = 24 D.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 33 Ⅲ.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사례분석 = 38 A.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현황분석 = 39 B.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사례 = 44 Ⅳ. 문제점 및 논의 = 87 A. 박물관 · 미술관의 시설 및 운영 현황 = 87 B.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운영현황 = 88 C. 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프로그램 사례분석 = 88 Ⅴ. 결론 = 92 참고문헌 = 96 부록 = 100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294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dc.title미술관과 학교 미술교육 연계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과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ractive Education Programs for Art Museum and Schools -Focusing on Korean and U.S. models--
dc.creator.othernameLee, Kyung Jin-
dc.format.pageⅴ,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