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3 Download: 0

성견 경골에서 자가장골이식이 임플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Title
성견 경골에서 자가장골이식이 임플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Autogenous Iliac Bone Graft into the Loose Cancellous Bone Marrow on the Osseointegration in the Dog Tibia
Authors
강남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플란트치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래
Abstract
Purpose :The density of bone is a crucial factor for successful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utogenous iliac particulated marrow cancellous bone graft on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in the dog tibia which has a loose bone marrow. Materials and Methods : Three mongrel dogs, weighing about 15 kg or more, and RBM (resorbable blasted media) AVANA^(??) implants (Osstem Inc.,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In the control groups, 2 implants sites were prepared conventionally with drills in the left metaphysis of tibia and 2 implants were placed in each dog under general anesthesia. In the experimental groups, 2 implant sites were prepared with drills and the particulated marrow cancellous bone, which was obtained from the right ilium, was packed into both prepared sites with osteotomes in the right metaphysis of tibia in each dog. Two implants were placed. A total of 12 implants were placed in 3 dog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8 week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specimens were taken and embedded into the resin. H & E stain was done. The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of bone-implant contact ratios. The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compare both groups. Values of p<0.01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In the cross-sectional radiographs of the control group no trabecular bone was observed in the marrow space and the implant was surrounded with radiolucent marrow space. In the experimental group some radioaque trabecular bone was observed in the marrow space of tibia and some of the trabecula was contacted with implant surface. Histologically, in the control group few trabecular bone was observed in marrow space and there was poor osseointegration in the marrow. In the experimental group most marrow space was filled with the trabecular bone and the implant surface was contacted with trabecular bone. In histomorphomeric analysis the bone-implant contact ratio of the experimental group (75.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7.1%, p<0.01). Conclusion : The autogeneous bone graft into the loose bone marrow can be an option to improve the bone density and to get better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s.;골질은 임플란트 성공에 중요한 요소이며 골밀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있었다. 골질이 느슨한 하악골 내에 골이식을 하여 골질을 치밀화시켜 줌으로써 보다 양호한 골유착 효과를 얻기 위한 임상적인 시도가 있으나 조직병리학적으로 또한 정량적으로 검증된 실험연구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골질이 느슨한 하악골과 유사한 형태를 가진 성견 경골에서 골수강 내에 자가장골 분쇄골수망상골(particulated marrow canncellous bone, PMCB)이 골수강 내의 골질개선과 임플란트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15 Kg 내외(생후 약 10개월)의 성견 3마리를 선택하였고, 임플란트는 RBM(Resorbable blasted media) 표면처리가 된 직경 4 mm, 길이 10 mm의 AVANA^(??) standard임플란트(Osstem Inc., Korea) 12개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임플란트 식립부위의 골수강 내에 골이식 여부에 따라 2군으로 분류하였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골천공을 하여 임플란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것을 대조군(n=6), 그리고 대조군과 같이 피질골 부위를 천공하고 장골에서 채취한 자가분쇄골수망상골을 써머스씨 골압축절골도(Summers osteotome)로 골수강 내로 충전하여 임플란트 수용부를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것을 실험군(n=6)으로 하였다. 각 군당 6개씩의 임플란트를 선택하여 총 1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식립 후 8주째 실험동물을 희생하였다. 실험동물의 양측 경골에서 각 시편에 1개의 임플란트와 주변 골조직이 포함되도록 경골을 횡절단하여 골편을 채취한 후 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시편들을 레진에 포매하고 각 임플란트에서 2개씩의 시편을 제작하여 H & E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골-임플란트 계면의 골유착에 대한 조직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군별 비교를 위한 통계학적 분석은 SPSS 10.0을 이용하여 Mann-Whitney test로 검정하였다. 골의 횡단면 방향으로 촬영된 방사선사진에서 피질골 부위의 임플란트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양호한 골접촉 소견을 보였다. 대조군에서 골수강 내에 골소주가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골-임플란트 접촉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군에서는 골수강 내에 골소주들이 관찰되었으며 이 골소주의 일부는 임플란트와 접촉되어 있었다. 조직학적 소견에서 피질골 부위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양호한 임플란트 골유착 소견을 보였다. 대조군에서 골수강 내에 골소주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임플란트 골유착도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군에서는 골수강 내에 다량의 골소주들이 존재하였고 비교적 양호한 골유착 소견을 나타냈다. 조직형태계측학적 평가 결과 골수강 내에서 실험군의 평균 골-임플란트 접촉률은 75.6 ± 6.5%로 대조군의 27.1 ± 9.0%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골수질이 느슨한 성견의 경골 골수강 내에 자가분쇄골수망상골을 이식하면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실험적 연구는 골수강 내의 골질을 치밀하게 함으로써 골유착 성공율(Osseointegration rate)을 높일 수 있었고 임상 치험을 통하여 그 활용도가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플란트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