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혜자-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5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18-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개인의 삶의 방향과 선택을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복잡한 요소가 작용한다. 각자가 가진 편견,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관, 종교적 신념, 자신이 속해 있는 문화의 특징 등이 서로 얽히고 설켜서 우리의 선택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복잡하고 다양화된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추구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현재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의 강력한 영향으로 절대적인 진리나 가치를 부정할 뿐 아니라 인간의 인격 자체가 독립적 존재라는 확신을 무너뜨리고 있다. 기독교는 이런 발달에 대해서 거의 대처하지 못했고 그 영향은 종교예술에 까지 미치게 되었다. 이에 콩트(Comte)는 '기독교는 현대 사회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비롯한 인간 삶의 영역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그 역할이 축소되어 사회의 주변적 요소로 그 가치를 상실하여 더 이상 현대사회의 핵심적 요소가 되지 못한다' 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인간 중심적 세계관, 사상, 제도는 타락이후 인간의 해결되지 않는 문제인 고독, 허무, 죽음의 두려움에 대한 근본적 해결은 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유일한 치유책은 바로 기독교이며, 이것의 중심사상은 피조물인 우리 인간과 창조주와의 관계회복이다. 진정한 인간성 회복은 바로 여기에 있다. 연구자는 절대적 진리의 상실에서 오는 공허함과 회의론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전제로 인간의 창조 목적과 삶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도자예술을 통해 전달하고자 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본 열매라는 매개체는 삶의 결과를 상징하며 신앙성숙도를 판단하는 표지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열매의 상징성을 성경 말씀의 개인적 묵상과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성을 통해 흙을 매체로 도자조형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자연과 조형예술에 대한 고찰과 예술에 있어서 상징의 영향과 그것들의 관계를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기존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열매의 특징을 표현한 작품사례를 연구 하였다. 또한 열매의 생물학적인 특징과 조형성 그리고 기독교적 상징을 연구하므로 이를 토대로 종교적 상징성을 담은 도자조형 작품 10점을 제작하였다. 작품 제작방법은 동일한 형태가 가능하며, 다량 제작이 유리한 석고 틀을 이용하여 가압성형기법과 이장주입기법을, 부분적으로 판 성형기법과 핀칭 기법으로 장식했다. 태토는 성형에서 소성까지 형태의 변형이 적고 강도가 강한 석기질 점토와 유약의 발색이 좋고 무유 처리 시 백색도가 높은 슈퍼화이트를 사용하였다. 유약은 백색 무광유와 백자 투명유를 붓으로 바르거나 분무 시유 하였고 다양한 색유를 겹쳐 분무 시유하여 색의 중첩 효과를 의도하였다.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900℃를 마침온도로 8시간동안 1차 소성 하였고, 2차 소성은 1.5㎥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1280℃를 마침 온도로 9시간 동안 산화염과 환원염으로 각각 소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개인적 신앙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가시적 매개체인 열매로써 종교의 상징성을 도자조형으로 표현 가능함을 알았다. 또한 종교적 감성과 예술가의 감성이 결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내용을 분명히 드러내어 교훈을 주려는 서술적인 표현방법도 있지만 종교적인 내용을 어떤 사물에 비유, 상징하는 방법도 효과적으로 의미 전달 될 수 있음을 깨달아 알게 되었다. 기독교 예술은 생소하거나 새로운 예술분야가 아니라 중세부터 신앙적 상징으로서 발전되어온 예술의 큰 맥락이다. 점점 세상적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변색, 퇴조 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소수의 복음주의적 예술가들에 의해 재해석되고 발전되어 오고 있다. 이제는 창세기에 나타난 ‘땅에 충만하여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문화적 사명을 받들어 기독교 예술은 세상의 문화를 아우르며 그 영향력을 확장시켜 나가야 할 때이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예술을 신앙표현의 통로로써 감상자에게 의미를 전달하고 영적인 깊은 감동과 공감대를 이루길 기대한다.;The human life is filled with decision making and crossroads where we are constantly asked to determine our preferences and inclinations. There are many complex elements that determine our life's direction and selection. The choices that we decide to make in our lives, are often influenced by our own values, social tendencies, religious beliefs and our cultural backgrounds. These multitude of elements are integrated in every individual and they affect our life's decisions. Therefore what should we strive for and how should we live in a complex and diverse society as ours today. Presently, due to the strong post-modern influence, an absolute universalism and conviction on human morality itself, as an independent existence, it being attacked. Christianity has not been able to overlook such developments and thus the same impact is even affecting religious art. On this, Comte stated that Christianity has not succeeded in widely influenc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our contemporary social developments. Rather its role has reduced and its value deprived due to the fact that it is no longer the main core of our contemporary society. Yet in stating this point, notions on globalism and concepts focused on humans, in relation to institutions, since their collapse, have not been able to solve essential issues such as human solitude, nihility and anxiety towards death. In this sense, perhaps Christianity is possibility the single means to solve such essential human conditions. The concept rel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or, God, and God's creation, human being. This is what requires to be restored. Thus a true recovery of the human morality lies here. The study concentrates on the collapse of singular truth in our contemporary society. It looks at Christianity as an alternative in recuperating human futility and skepticism. This is done by expressing different human conditions through ceramic art which an ancient material and method of symbolizing the human state of mind. For the study, fruits have been observed from a Christian viewpoint, placing them in relation to sections of the Bible. The interpretations are personal mediations and subjective mental dispositions expressed through the material, cla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In addition to this, the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symbolism in art. This is placed in context with biological aspects of fruits and also with Biblical significances. The ceramic works in the study has religious references. In total ten pieces were made. The slip casting and press molding techniques were mostly used for the main body of work. On these, some of the works were either coiled or slab-built. A stoneware clay body and a porcelain type were used. The surfaces were either left unglazed or with bright colored ones. Colors were mixed into white matt and white transparent glazes. The work was fired in a 1.5m cubic meter gas kiln. First bisquit firing was for 900 degrees celsius. The temperature was reached in 8 hours. The second firing was for 1280 degrees celsius. Firing were both reduced and oxidized on different occasions. In total it took nine hours for completion. The study has expressed the subjective conception on religion and has used fruits in a hypothetical context. Through the study it has been possible to discover that the sensibility behind a religious person is no different to an artist. The realisation of this particular fact in art, hopes to influence others through narrative expressions. Christian art is not a new genre. It existed since the Middle Ages as a religious symbol that developed into an extensive art genre. In these contemporary times, its value has been reduced bringing about considerable changes and collapses. However, it is being recovered by people who are re-interpreting its meanings. Referring to the Book of Genesis, "let the land be abundant in order to conquer and rule", we must spread the Christian belief in order to consider culture as our mission integr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orld's ar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fluence spectators by using symbolism to express art in a religious method for emphatical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자연과 예술 = 4 A. 자연과 조형예술 = 4 B. 상징과 예술 = 6 Ⅲ. 열매의 특징과 상징성 = 9 A. 열매의 생물학적 특징 = 9 B. 열매의 조형적 특징 = 13 C. 열매의 기독교적 상징성 = 17 Ⅳ. 열매의 특성을 표현한 작품 연구 = 19 Ⅴ. 작품 제작 및 해석 = 29 A. 조형 과정 = 29 B. 제작 과정 = 43 C. 작품 해석 = 47 Ⅵ. 결론 = 69 참고문헌 = 71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0151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열매의 상징성을 표현한 도자 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기독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ruit Forms From a Biblical Viewpoint as an Expression in Ceramic Art-
dc.creator.othernameLee, Hyun Jeong-
dc.format.pageix,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