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박정수-
dc.creator박정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3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96-
dc.description.abstractThe people of the 21st Century became better off economically and came to enjoy more leisurely time as a result of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digitalization. People started showing increased interests in well-being life styles, and sporting exercises became part of their lives. Such a phenomenon not only shows the scope of people's hobbies, but also is symbolic of the sociological changes. The meaning of this symbolic phenomen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and is an indication of the status of the mind of the people. This study defines and makes use of a new word, sportism, which refers not only to the fashion from the view point in the 21st Century but also the sports-related esthesia prevalent in the overall society, and looks into the development of a brand for a product based on such esthetics of the customers. Because such a phenomenon is influencing the fundamental life styles of the consumers and because the phenomenon is not just a fleeting short vogue, it is possible to incorporate such esthetics into the representative images of a brand. With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incorporation of sportism and the effects of the fervor of the FIFA's Worldcup 2002, the casual trend brought increased sales of casual and sports brand whereas the brands for career women and character-based fashion saw a downturn in their sales. Various brands have tried designs incorporating casual styles and sportism in their efforts to reverse the decreasing sales, but the crowded market led to the loss of unique brand identities, and the customers were turned away all the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for fashion designs blending unique characteristics and esthesia with elements of sportism in creating a differentiated image that will breathe a new vitality into the market for sportism while granting revitalized competitiveness. The central conten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below.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historical observation was made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he sportism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sportism in fashion brand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pap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rands incorporating sportism, 5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ity, simplicity, sensuality, dynamic character and future orientation were identified. Third, the background for the appearance of the sportism in fashion brands was studied.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ism in modern fashion were identified. Fifth, an observation was made on the phenomenon of sportism in fashion brands of Korea.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background study, a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topic of the product development. The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topics. First, the brand concept and the esthesia positioning were established. Second,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portism in current characterbased fashion brands for women. Third, fall and winter 2005 fashion trend was identified.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3 themes were selected and sample fashion designs were produced. Fifth, a study was performed on the consumer response for these prototypes and an observation was made on future directions fashion brands should point to. The results of the theoretical observ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5 characteristics of the sportism were identified as functionality, simplicity, sensualism, youth orientation and future orientation. Second, an observ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tism from the beginning of spring/summer season of 2001 through fall/winter season of 2005 shows that sportism in modern fashion renders the form, detail, color, graphics and material of the sportswear in modern style and high quality. Such trend indicates that the sportism is not a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fashion trend of the season but rather a product of combination of various trends. Third, the observation on the sportism present in domestic fashion trends indicates that the sportism is not a fleeting fashion trend but a fashion culture in the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as a reflection of the sense of beauty of the modern people. Fourth, in product planning of character-based fashion brands for women, the balanced comb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unique to a brand, esthesia and sportism is crucial for the succ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various types of clothing were selected while enabling crosscoordination by careful selection of the style and material. Second, through a decisive break from the general application of the casual elements of sportism, it was possible to present unique images. Third, it was possible to realize a harmonized contrast through a combination of extreme elements, namely the combination of the elements of casual sportswear and delicate feminine elements. Fourth, a unique image was cre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combination of important elements expressing casual sportism with feminine elements (such as silhouette, material and color), and such an image enabled the presentation of the differentiated esthesia of the Aura brand. In order to verify the propriety of this study, a survey was made on a group of potential customers.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91% of the respondents were positive to the purchase. Second, 63% of the respondents favored semi-casual styles the most. Third, designs with details of sportism were evaluated favorably. However, the overuse of such details produced a negative response. The survey results were mostly favorable, but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dentified. First, even though the responses were favorable to the designs, the established target price of mid-range came into a conflict with widespread notion that sportism is a casual fashion and that casual fashion items should be mid to low-priced. If the sportism designs are to overcome such notions, special product planning will be necessary. Second, customers preferred a limited use of the casual and sporty elements. In closing, studies following up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hile improving the shortcoming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the segment of the fashion industry incorporating sportism.;21세기 정보화, 지식화, 초고속 디지털시대로의 변화로 인해 현대인들은 산업사회보다 더욱 확대된 여가시간과 경제적 풍요를 갖게 되었다. 따라서 그들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인 well-being life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로 인한 스포츠 활동은 점차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는 취미활동의 범위를 넘어서 변화하는 사회 현상에 대한 상징이며,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의미, 즉 시대적 정신으로까지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의 현시점에서 패션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스포츠 감각을 스포티즘(sportism)이라 규정하고, 이러한 소비자의 감성에 바탕을 둔 브랜드 상품 개발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는 하나의 유행흐름으로 지나쳐 버리는 현상이 아닌, 소비자의 근본적인 라이프스타일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는 현상이므로, 브랜드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와서 국내 여성 커리어, 캐릭터 브랜드들은 스포티즘과 2002년 월드컵의 영향에 의한 캐주얼 라이징 붐으로 캐주얼, 스포츠 브랜드의 매출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따라서 각 브랜드에서는 캐주얼 라이징과 스포티즘을 반영한 디자인을 선 보이며, 매출증대에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과잉경쟁으로 인해 브랜드 고유의 아이덴터티를 잃게 되어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게 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고유의 개성과 감성이 스포티즘적 요소와 조화된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차별화 된 이미지로 스포티즘 시장에 활력을 주고 경쟁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여성 캐릭터 브랜드를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중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은 스포티즘의 개념, 역사, 특징을 문헌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현대 패션에서 스포티즘이 발생하게 된 배경과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패션브랜드에서 나타난 스포티즘 현상에 관해 고찰하였다. 위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브랜드의 컨셉 및 포지션을 설정 한 후, 2005년 F/W 트랜드를 분석하고, 신규브랜드 시장 가능성 탐색을 위한 소비자 설문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브랜드의 컨셉을 세가지 테마로 정하여, 상품을 기획, 제작하였다. 제작된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의 반응을 조사하여, 브랜드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티즘의 특성은 문헌조사결과 기능성, 단순성, 관능성, 역동성, 미래지향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스포티즘의 특성에 관해 2001년 S/S~2005년 F/W 여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고찰 한 결과, 현대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은 스포츠웨어의 형태, 디테일, 색상ㆍ그래픽, 소재 등을 모던하고 고급스럽게 표현하고 있었으며, 이는 시즌 트랜드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면서 단독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향들과 조합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국내 패션에 나타난 스포티즘에 관한 고찰 결과, 현재 스포티즘이 단순한 유행으로 그치는 현상이 아니라 현대인들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복식문화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여성 캐릭터 브랜드의 상품 기획을 함에 있어서, 브랜드 고유의 개성과 감성이 스포티즘의 요소와 조화된 결합이 중요한 포인트 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의 91%가 스포티즘에 의한 의상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3%가 세미 캐주얼 스타일을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ura’ 브랜드의 방향인 ‘ 스포티즘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 브랜드로써 세미 캐주얼 스타일 추구’가 시대 흐름에 맞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포티즘 요소를 적용하는 일반적 부위에서 과감히 탈피함으로써 독특한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었다. 세째, 극단적요소의 결합 즉, 스포티즘의 요소와 섬세한 여성적 요소를 조화롭게 대조 시킬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스포티즘을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를 여성스러운 이미지와 결합시킴으로써 독특한 이미지가 창출되었고, 이것이 ‘aura’ 브랜드의 차별화 된 감성으로 제시될 수 있었다. 다섯째, 복종을 다양하게 설정하되, 스타일과 소재를 면밀히 계획한 결과 Cross-coordination이 가능하도록 제시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소비자 모집단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티즘 디테일을 적용한 디자인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기능성면에서 높은 평가를 보였다. 둘째, 과도한 스포티즘 디테일 사용은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여성스러운 디테일과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강하였다. 셋째, 소비자의 구매 성향에 대해서는 칼라 선택에서 본인의 개성을 중요시 여기는 면과, 코디 상품 구매 시 고려를 많이 하는 신중한 구매 패턴을 볼 수 있었다. 검토결과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나, 다음의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긍정적인 반면 가격대를 중가로 선택하고 있어, 스포티즘 패션은 캐주얼, 캐주얼은 중저가 라는 인식을 전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티즘에 의한 디자인은 이러한 인식을 극복할 수 있도록 특별히 기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포티즘 요소가 제한적으로 사용된다면 좀 더 소비자에게 선호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보완한 후속 디자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스포티즘 패션 시장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xi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스포티즘 패션에 관한 고찰 = 3 2.1 스포티즘의 개념 = 3 2.2 스포티즘의 역사 = 5 2.3 스포티즘 패션의 특징 = 24 2.4 현대 스포티즘 패션의 성립 배경 = 31 2.5 현대 스포티즘 패션 디자인 사례 분석 = 35 3. 국내 스포트즘 패션의 현황 = 46 3.1 여성복 브랜드 = 48 3.2 캐주얼 브랜드 = 53 3.3 스포츠웨어 브랜드 = 55 3.4 아웃도어 브랜드 = 58 3.5 남성복 브랜드 = 59 4. 상품 기획 및 개발 = 60 4.1 신규 브랜드 컨셉 및 감성 포지션 설정 = 60 4.2 정보 조사 및 분석 = 64 4.3 디자인 개발 계획 = 73 5. 작품 제작 = 80 5.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80 5.2 작품 및 해설 = 85 5.3 평가 = 127 6. 결론 및 제언 = 139 참고문헌 = 142 부록1. 설문지 = 146 부록2. 설문지 = 148 ABSTRACT = 1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0480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스포티즘에 의한 의상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ura”브랜드 상품 개발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pparel Designs based on Sportism Focused on Development of Brand Commodities-
dc.creator.othernamePark, Jung-Soo-
dc.format.pagexiv, 1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