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우영-
dc.contributor.author이미은-
dc.creator이미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9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4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908-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North Korea has witnessed the emergence of a new phrase, ‘musical politics’, to propagate as a unique style of politics of the nation’s leader, Jeong-il Kim. The governing method of general secretary Jeong-il Kim (hereinafter not associated with the title “general secretary”) who is being called the man behind the ‘musical politics of the military first era’ and ‘military-first musical politics’ is a governing method chosen by Jeong-il Kim who was forced to come to power following the death of Il-seong Kim, who had ruled as a “god”, as well as the serious food and economic crisis that has been rumored to have taken the lives of close to 10% of the population that had died from starvation (1995-1998).Under the socialist system, culture is an indirect approach method that propagates political ideology. Therefore, the ‘musical politics’ of Jeong-il Kim’s may be viewed as strengthening the functions of propaganda through cultu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ality were sought by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musical politics’ emphasized as the phrase describing North Korean politics, along with the military-first politics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to learn of the social reality that North Korea is encountering as well as the response method of the North Korean leaders. First, on the basis of North Korean documented data describing this musical politics, the study was on the reality of North Korean music culture that has been activated by musical politics. Documents or broadcasting information of North Korea receives thorough advance censorship, and the actual concept and theory was arrived at through study of musical politics by analyzing the Nodong Newspaper, Joseon Central Communication and Joseon Central Broadcasting―the institutions for the government―as well as Joseon Art, a magazine for national culture and art organization, and Cheonrima, a Cheonrima company. As in oth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had its culture subordinated to politics following socialistic realism from the founding of its state, and with the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the importance of culture in the political propaganda was emphasized from the early times. Such subordination of culture into politics displays the characteristic of solidifying the emergence of Jeong-il Kim and establishment of Il-seong Kim’s ‘Unique Ideology System’. The literature and art generation system of North Korea shows a one-way structure in politics (party policy trend)→artwork (uniform party policy and literary artwork)→delivery to the people, and this is consistent with the governing strategy of the highest person in power that is in line with the service to the party line and policy for revolution and construction - the literacy policy of North Korea. Under the mechanism to generate literary art and literary art policy of North Korea, musical politics has emerged. First, the writer has attempted to clarify the time when musical politics first emerged. Currently, the initial report time on the emergence of the musical politics of North Korea in the academic sector was the ‘Forum of People’s Power on the Greatness of Jeong-il Kim’ on February 7, 2000. As a result of time analysis for the documents related to musical politics including the two foregoing reports, a scholar, Kang-hyuk Kim, first used the terminology of musical politics in a document titled “Music and Politics” in Joseon Art in March of 1998. Kang-hyuk Kim asserted that musical politics is a unique leadership method of Jeong-il Kim's that was completed during the march of hardship (1996-1997) and the time of the forced march (1998).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several documents related to musical politics, North Korea asserted the beginning of musical politics with the following point in time: In 1995, one year after the death of Il-seong Kim, it was reported that 1995 was the time that began the commencement of the local instruction of Jeong-il Kim’s who visited the Dabaksol Post, as well as commencement of instructing the creative writing of ‘Our Leader is with Us Forever’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who were in deep sorrow after losing their father-figure leader and personally completed the work, and commencement of the independent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Patriotic Choir for the Joseon People's Military called the trumpeter of military-first politics. Comprehensively speaking, musical politics began in 1995 and completed the system in 1998. Also, the implicated difference with the ‘song politics’ that is combined with musical politics has been studied. In North Korea, the term ‘music’ is used without much difference in concept with the term ‘song’. The reason for the phrase ‘song politics’ simultaenously used is because, as Jeong-il Kim pointed out in ‘juche (subject) music theory’, a song that carries the possibility of delivering the ideology through the lyrics rather than instrumental music would be able to deliver various messages for maintaining the system that is implicated in musical politics. In addition, Jeong-il Kim considers that the survival of musical politics is owing to appropriateness of the easy to follow lyrics for the general population, and it uses the phrase of ‘song politics’ by further emphasizing the word ‘song’ from all aspects of music. Hence, song politics is used in the same context as musical politics in North Korea. Musical politics means the method of ideological education by using the influence of music in a broad sense, and is a phrase used generally in a totalitarian state including the socialist state throughout history. However,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many politicians throughout histor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music, while North Korea was unable to introduce music into the political sector, Jeong-il Kim was successful in fully combining the different concepts of ‘music and politics’ and ‘guns and music’, and asserted that this is attributable to the unique leadership in the art of Jeong-il Kim who has outstanding artistic talents. Looking into the mechanism of Jeong-il Kim’s musical politics, the contents to be delivered in the work piece are determined with the influence follow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s of North Korea. The types of works selected following such environmental factors are combined with the responding message of the party leadership to have the structure spread to all people through generated artwork, and, the artwork generated leads to performance activities of art organizations, where, into the art activities of the general public, there are music contests and propaganda of the press and broadcasting. The internal environmental factor may be seen largely in changes of personnel constituents and opening of the Jeong-il Kim system, and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may be in the changes of the external relationship, and the South-North Korea relationship. The messages of North Korean musical politics following such environmental factors emphasize the spirit of protecting the leader, realization of the Joseon people first, emphasizing the spirit of a tremendously suffering march, and others. The influence of musical politics in North Korea is deemed to follow the surviving strength of musical politic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have the songs created be sung more frequently and more en masse by the people in North Korea by founding or reinforcing specific art organizations, strengthening of art activities, activating singing contests, utilizing broadcasting means, and others. Increase of nationwide musical activity provides leisure activities for the people of North Korea without a hefty national budget, and people of North Korea who were tired of ideological education have been enabled to come forward as the means of propaganda without any burdens. The main messages of Jeong-il Kim's musical politics are optimistic trust in revolution as in the slogans: “Let’s go with a smile even under a difficult situation”, “Live today for tomorrow”, believing in the strength and wealth of the state led by Jeong-il Kim with the slogan “Strength and Wealth Arirang”, spirit of protecting the leader shown in “Where are you our beloved general?” And the Jeong-il Kim praise song and emergence of Jeong-il Kim as the individual to bring about national unification in “Unification Dondola-ri”. Under the reality of North Korea, where numerous slogans and new terminologies come and go, musical politics that stands out with the political methodology of Jeong-il Kim’s style may work as a factor to shake the system down even more so when the fantasies and promises that the songs claim are not realized. It is because social unrest may be amplified through further spreading of songs positively affecting the system, as well as songs negatively affecting the system, emerging through the mechanism of musical politics. To this point in time, the success of the musical politics of Jeong-il Kim's that contributed to the system integration of the North Korean society depends on the actual resolution of the problem of economic crisis and external relationship improvement of South-North Korea.;최근 북한에서는 ‘음악정치’라는 신조어가 등장하여 독특한 김정일식 정치방식으로 선전되고 있다. ‘선군시대의 음악정치’, ‘선군음악정치’로 불리는 김정일 총비서(이하 ‘총비서’ 호칭 생략)의 통치방식은 신으로 군림하던 김일성 주석의 사망과 전 인구의 10%에 육박하는 주민들이 아사했다는 추정이 나오고 있을 정도로 심각한 식량난과 경제난 속에서 권력의 전면에 나서야 했던 김정일이 선택한 통치방식이다. 사회주의 체제에서 문화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전파하는 간접적 접근방식이다. 따라서 김정일의 음악정치는 문화를 통한 선전선동 기능의 강화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선군정치와 함께 김정일의 독특한 정치 방식으로 선전되는 음악정치에 주목하여 그 특성과 실체를 살펴봄으로써 북한이 처한 사회적 현실과 이에 대한 북한지도부의 대응방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북한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건국초기부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따라 문화가 정치에 종속되었고 소련의 영향으로 정치적 선전선동에서 문화의 중요성이 일찍부터 강조되었다. 이러한 문화의 정치 종속화는 김정일의 등장과 김일성 유일사상 체계 확립으로 더욱 공고화 되어가는 특징을 보인다. 북한의 문학예술 생성 시스템은 정치성(당 정책기조)→작품(당정책과 문학예술작품의 종자 일치화)→인민전달이라는 일방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북한 문예정책인 최고 권력자의 통치전략과 혁명·건설을 위한 당노선·정책에 복무한다와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이러한 북한의 문학예술 생성 메커니즘과 문예정책의 연장선에서 음악정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우선 본 연구자는 음악정치가 최초로 등장한 시기를 규명하여 보았다. 통일부 자료와 국내언론에 음악정치에 대한 최초 보고 시점은 2000년 2월 7일 ‘김정일의 위대성에 대한 인민무력성 토론회’이다. 앞의 보고를 포함하여 음악정치 관련 북한원전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1998년 3월 ‘조선예술’에서 학사 김강혁이 ‘음악과 정치’라는 제목의 문헌 중에서 음악정치라는 용어를 최초 사용했다. 김강혁은 음악정치가 고난의 행군(1995년-1997년)과 강행군의 시기(1998년) 동안 완성 되어진 김정일의 독특한 영도방식으로 주장한다. 음악정치와 관련된 여러 원전자료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음악정치의 시작시점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김일성 사망 이듬해 정초, 김정일이 다박솔 초소를 방문하여 현지지도를 시작한 시점, 김정일이 어버이 수령을 잃고 슬픔에 잠겨있는 북한 주민들을 위해 <수령님은 영원히 우리와 함께 계시네>의 창작을 지시하고 직접 지도 완성한 시점, 선군정치의 나팔수로 불리는 조선인민군 공훈합창단의 독립 창단 시점을 1995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1998년 북한 원전문헌에서 음악정치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했으나 북한은 음악정치의 기원을 1995년부터 거슬러 잡고 있다고 추정된다. 또한 음악정치와 혼재되여 사용되고 있는 노래정치와의 의미 차이를 살펴보면, 북한에서는 ‘음악’이라는 용어와 ‘노래’라는 용어는 별다른 개념의 차이 없이 사용된다. 김정일의 ‘주체 음악론’에서 밝히고 있듯이 음악 중에서도 기악곡보다는 가사를 통한 사상전달성이 가능한 노래가 더욱 우선시 되는데 기인한다. 김정일은 음악정치의 메시지 전달의 매개체로 일반주민들이 따라 부르기 쉬운 노래의 형태가 적합하다고 보고 여러 음악의 장르 중에서도 노래를 더욱 부각하여 노래정치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노래정치는 음악정치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북한은 역사의 많은 정치가들이 음악을 통한 선전선동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치부문에 음악을 완벽하게 도입한 적은 없었는데 김정일이 처음으로 ‘음악과 정치’라는 상이한 개념을 완전히 결합시키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것은 탁월한 문예적 재능을 가진 김정일이었기에 가능하였고 이 때문에 김정일식의 독특한 영도예술이라고 주장한다. 이와 더불어 김정일 음악정치의 메커니즘에 대해 살펴보자. 김정일 음악정치의 메시지를 크게 나누어 보면 가사로 전달하고 싶은 내용들이 북한이 처한 대외적, 대내적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아 정해진다. 이러한 환경요인에 따라 선택된 작품의 종자들은 당 지도부의 대응 메시지와 결합하여 작품으로 생성되고 생성된 작품은 전문예술단체의 공연활동, 일반인들의 예술소조활동 및 음악경연대회 그리고 신문과 방송의 홍보로 전 주민에게 확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전 국가적 음악활동의 증가는 체제 불만에 노출된 북한주민들에게 추가적인 국가 예산 집행 없이 여가활동을 제공하고, 그 동안의 사상교육에 식상한 북한 주민들에게 매력적인 선전선동의 매체로 다가서고 있다. 음악정치의 메시지를 결정하는 환경요인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김정일 체제 출범과 북한주민의 인적 구성원 변화로, 대외적 요인으로 남북한 관계변화와 대외적 외교관계 변화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요인에 따른 북한 음악정치의 메시지는 ‘힘들더라도 웃으며 가자’, ‘내일을 위해 오늘을 살자’라는 구호와 같이 혁명에 대한 낙관적 신심과 ‘강성부흥아리랑’의 김정일에 의한 강성부국에 대한 신념, ‘어디에 계십니까 그리운 장군님’에서 보여지는 수령결사옹위정신과 김정일 칭송가 그리고 ‘통일돈돌라리’에서의 민족의 통일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김정일 통일지도자상 부각 등으로 요약된다. 수많은 구호와 조어들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북한의 현실에서 김정일식 정치방식으로 선전되고 있는 음악정치는 앞서 열거한 나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계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노래 속에서 전달하고 있는 메세지와 약속들이 현실화 되지 못하였을 때, 더 큰 체제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체제를 긍정하고 옹호하는 노래들 뿐 아니라 체제를 부정하고 전복하는 메시지를 담은 노래가 등장하여 음악정치 메커니즘을 통하여 확산되어 사회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북한사회 통제에 일정 기여하여 효과적인 선전선동방식으로 진행 중인 김정일 음악정치의 지속력은 노래가사에서 약속하고 있는 경제난 완화와 남북한 및 대외관계 개선이라는 실제적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는가 하는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방법 = 3 C. 기존연구 검토 = 5 Ⅱ. 북한 문예정책의 특성과 음악예술 = 7 A. 문예정책의 특성 = 7 1. 김정일 등장 이전의 문예정책 = 7 2. 김정일의 문예정책 = 9 B. 음악예술 = 12 1. 음악예술의 정의 = 12 2. 음악예술의 특징 = 14 Ⅲ. 북한 ‘음악정치’의 개념과 특징 = 16 A. ‘음악정치’의 개념 = 16 B. ‘음악정치’의 등장시점 = 18 C. ‘음악정치’의 메커니즘과 특성 = 22 1. ‘음악정치’의 메커니즘 = 22 2. ‘음악정치’의 특성 = 24 D. ‘음악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 30 1. 대내적 환경변화와 ‘음악정치’ = 30 2. 대외적 환경변화와 ‘음악정치’ = 38 Ⅳ. 북한 ‘음악정치’의 운용실태 = 41 A. 전문 예술단체의 신설 및 활동 강화 = 41 B. 일반인대상 예술경연대회의 확대 = 44 C. 방송 및 신문을 통한 노래보급 = 46 Ⅴ. 북한 ‘음악정치’의 정치사회적 의미와 한계 = 49 A. ‘음악정치’의 정치사회적 의미 = 49 B. ‘음악정치’의 전망과 한계 = 53 Ⅵ. 결론 = 57 참고문헌 = 60 부록 = 66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760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정일의 ‘음악정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형성과정과 운용실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Research on Jeong-il Kim's musical politics-
dc.creator.othernameLee, Mi-eun-
dc.format.pageⅸ,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