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삶의 공간과의 관계

Title
삶의 공간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of the space of life : The flowing space of a monad and a nomad
Authors
서지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본인 작업의 한 가지 특성은 처음부터 특수한 것이 아니라 일상적이고 다른 사람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것을 문제로 인식하고 표현하기 때문에 특수성을 띤다는 사실이다. 그 특수함은 개인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에 생겨난다고 본다. 삶의 모습은 예측할 수 없으며 각기 다른 경우가 적용되듯이, 예술도 삶과 닮은 것이기에 각기 다른 경우로 생겨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인의 작업은 집, 방의 하숙과 기숙의 삶의 공간을 주로 재현한 것이다. 본인에게 있어 집이란 곳은 정지되고 정착된 곳이 아니라 일상의 사건들을 발견하기 위해 출발하는 곳이다. 집이 출발점이라는 것은 다른 집으로 떠나기 위한 지점이며 방향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계속 되다 보면 집 자체가 몸이 되어 감각이 살아나고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유목하는 집은 주체-객체가 없다. ‘떠나고, 이동하고, 돌아오기’는 목적지가 분명히 어디인지는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순간순간의 방향성과 목적성을 지니고 행해진다. 또한 집의 내부의 방들도 개별적인 고유성을 지니면서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변화하는 공간이 된다. 이러한 삶의 공간은 만남, 현장성, 직접성, 무한함이라는 의미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었다. 본인은 공간의 이동을 통해 물리적인 이동은 물론, ‘흐르는 공간’에서의 미세한 삶의 변화도 감지하게 되었다. 이것은 공간자체도 흐르고 있지만, 한 개인이 일상을 넘어서 사회의 영역과 만남으로 동시에 공간도 몸처럼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집에 대한 각기 다른 해석이 가능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라이프니쯔(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의 단자론(Monadology, 單子論)과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의 유목론적 공간의 의미,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30-2002)의 ‘아비투스’개념을 주로 살펴보았다. 작업에서 보이는 ‘흐르는 공간’의 문제의식은 모나드(Monad)와 유목(Nomad)적 공간의 개념으로 제시하고 연구해보고자 한다. 모나드(Monad)적 공간은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개별적이면서도 고유한 공간을 지시하고, 유목(Nomad)적 공간은 정착된 공간이 아닌 해체되어가듯 이동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 둘은 다소 상대적인 개념이 될 수도 있으나 본인의 ‘흐르는 공간’은 이 둘의 공간개념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제시하려고 한다. 작품 속의 나타난 공간은 이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삶의 실재 공간에서 이러한 ‘단자’와 ‘유목’의 개념을 체험하면서 제시한 공간이다. 그리고 60-70년대 형식을 타파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을 만들 수밖에 없었던 몇몇 개념미술가들, 오노 요코(Yoko Ono, 1933-),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 일리야 카바코프(Ilya Kabakov, 1933-) 등의 작가들의 연구를 통해 이러한 공간표현을 구체화시키는데 근거를 얻을 수 있었다. 매체로 개념을 완전히 표현해 낼 수 있는가. 매체사용과 개념의 완전한 조화가 가능한가. 완전한 ‘정착’의 의미를 가진 집은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어디에 있는가. 삶의 공간은 소우주와도 같이 완전하면서도 관계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한 ‘흐르는’ 모습을 띤다. 본인은 작품을 통해서, 끊임없이 흐르는 사유 및 집을 나타내기 위한 보다 적절한 표현법을 구축해보고 질문을 던진다. 기본적으로 본인의 작업은 하나의 사유라든가 방법에서 시작하지 않고 처음부터 다수의 가능성을 가지고 시작한다. 그러나 매체는 여러 가지일지라도 그것을 결합, 구성, 개입, 선택, 우연, 알레고리의 과정은 서로 유사성을 띠게 된다. 본인은 집과 방을 최소한의 공간단위로서 단자이면서 동시에 유목론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표현함으로써 깊숙하게 다가오는 문제였던 삶의 공간의 존재방식에 대한 이해를 하려고 하였다. 예술의 현상은 변하지만 그것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떠나고 이동하기 위한 집은 변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집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것과도 서로 관계가 있다고 본다.;One characteristic of my work can be said to be specificity derived from the method that it recognizes as the matter and expresses not what is specific but what is daily and can be easily passed by others. The specificity is seen as resulting from an individual. Just as different cases are applied because of the unpredictability of lifestyles, I think, so art occurs in different cases. My work primarily reproduced the space of the life of boarding and lodging in a house and its rooms. To me, a house is a starting point for discovering daily events, not a serene life. That it is a starting point means that it becomes a point and direction from which to leave for other houses. The continuation makes a house itself become the body moving with living senses. And so a nomadic house is united with human body, which destroys subject and object. 'leaving, moving and returning' are done with moment-by-moment directionality and mental purposiveness despite the lack of knowledge about clear destination. Also, since they are not empty space with individual properness the rooms become changing space. The space of life enabled me to recognize the meanings of meeting, field, directness, and infiniteness. Through movement of space I came to detect minute changes in life from the 'flowing space' as well as physical movement. The space itself is flowing, but it is also moving like the body at the same time that one individual meets social area beyond his or her daily life.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a house. Among them I mainly explored Gottfried Wilhelm Leibniz(1646-1716)'s monadology, Gilles Deleuze(1925-1995)'s meanings of nomadological space, and Pierre Bourdieu(1930-2002)'s concept of 'habitus'. I want to present and study as the concept of monadic and nomadic space an awareness of the issues for the 'flowing space' shown in the work. Monadic space refers to indivisible, individual and proper space, whereas nomadic space means not fixed one but moving one as if to be dissolved. Both of them can become somewhat relative concepts, but I try to state that the 'flowing space' has both of the spatial concepts simultaneously. The space indicated in the work did not result from a theory, but from the experience for the concepts of 'a monad' and 'a nomad' in the real space of life. I could obtain the grounds for making the spatial expressions concrete through the researches made by some conceptual artists such as Yoko Ono (1933- ), Tracey Emin (1963- ) and Ilya Kabakov (1933- ), who had no choice but to create a new form in order to destroy the forms in the 1960s and 1970s. Can a concept be completely expressed through a medium? Can use of a medium be completely harmonized with a concept? Is there a house with the perfect meaning of 'settlement'? If there is, where is it? The space of life combines perfection also like microcosm with an imperfect 'flowing' form requiring relations. I establish a more appropriate method of expression for incessantly flowing thinking and houses and make inquiries about it. Basically, my work does not begin with one thinking or method but with various media. But despite the variety there is similarity in the accidental and allegorical process of combining, organizing, intervening in and selecting them. By expressing a house and its rooms as a minimal spatial unit and monad with nomadological character, I tried to understand the modes of existence for the space of life, the issue that had deeply touched me. If artistic phenomena change but its essence does not change, I see that a house for leaving and moving has relation with another one unchanged and unseen in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