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The Autonomy of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in 1960s and 1970s

Title
The Autonomy of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Korea’s Economic Development in 1960s and 1970s
Authors
박소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표
Abstract
The study is about the autonomy of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its effects o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The EPB, as the leading state actor in the Korean economy during 1960s-1970s, will be analyzed in the framework of the bureaucratic autonomy.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is thesis would be structuralizing the framework of evaluating the autonomy of the government and applying it to the case of the EPB in the take-off era of Korea’s economic growth. The study will examine carefully whether “The EPB was autonomous enough to warran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during 1960s and 1970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bureaucratic autonomy. In order to demonstrate it, what bureaucratic autonomy is will be firstly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framework with a set of criteria consisting bureaucratic autonomy was made. It is composed of two parts; independence of formulating goals and capacity to achieve desired outcomes. In short, if a bureaucratic agency is able to formulate independent goal setting and achieve desired outcomes, it could be regarded as autonomous one. And both criteria have sub-criteria. For formulating goals independently, there are three sub-criteria which are organizational identity, leadership, and support of a governmental leader. When it comes to the capacity to achieve desired outcomes, there are four sub criteria which are human resources, hierarchy, legal mandate, and resourc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rgument was generally accepted. The EPB was able to relatively autonomous from other political, economic and other societal actors due to the characters that I examined. It was critical that the EPB had authority over both planning and budgeting. Those features actually increased work efficiency. Nevertheless the contributions of the EPB, there were some limits. The autonomy of the EPB was strongly supported by a governmental leader, here President Park, so whenever a minister of the EPB was confronted to the governmental leader over policy issues, the autonomy of the EPB was weakened. Although the EPB was not the only important governmental agency for economic development during 1960s and 1970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economic development without the role of the EPB.;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경제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알려져 온 경제 부처, 구체적으로는 1961년 설립된 경제기획원 (The Economic Planning Board)의 자율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경제기획원은 1961년 군사정부의 등장과 함께 만들어진 경제기획기구로서, 경제개발5개년 계획의 기획, 예산, 그리고 실행기능까지 수행했던 강력한 경제 부처였다. 이러한 경제전반에 미치는 광범위한 역할에 더불어, 정치적 리더의 신뢰와 지원으로, 경제기획원은 비교적 높은 관료적 자율성을 누릴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경제기획원의 관료제적 자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분석틀을 개발한다. 이러한 분석틀은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1) 독립적으로 정책을 입안하는 능력과, 2) 의도했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이 그것이다. 또한 이러한 두 가지 요소는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각각 다음과 같은 세분화된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독립적으로 정책을 입안할 수 있는 능력에 관해서는 조직적 정체성, 리더십, 국가 수반의 지지 등의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경제기획원은 높은 내부 응집성으로 인해 조직적 정체성이 높았고, 경제부총리제도로 인해 경제기획기구로서 리더십을 가지고 있었으며, 국가 수반의 강한 개발의지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모든 요인들은 경제기획원이 독립적으로 정책을 입안 할 수 있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다음으로 의도했던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에 관해서는 우수한 인력, 조직간 서열, 법적 위임, 자원 등이 있다. 경제기획원은 타 정부부처에 비해 고학력자인 능력 있는 관료가 많았으며, 내•외자 도입, 관리 및 배분 기능으로서 타 부처보다 서열이 높았으며, 어떠한 특정한 사회집단 관련 이익과도 분리되어 국가전체의 이익을 고려하는 집단으로 법적인 측면에서 자율성을 가질 수 있었으며, 예산권을 가진 기구로서 재정적 자원의 유용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자율성을 누릴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