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7 Download: 0

The Role of Agriculture for Pro-Poor Growth and Long-Term Structural Change in Myanmar

Title
The Role of Agriculture for Pro-Poor Growth and Long-Term Structural Change in Myanmar
Authors
THAN, SHWE MAR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남영숙
Abstract
The role of agricultur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ess developed countries (LDCs) has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from development economists as well as policy makers. The economy of Myanmar has been characterized by long-term stagnation, prevalent poverty and the structural stickiness towards agriculture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After a long period of international seclusion and economic stagnation, Myanmar has recently embarked on a series of reforms aimed at restoring democracy and putting the country on a sustained economic growth path. However, the government faces the daunting challenges of promoting industrialization for long-term economic growth, while at the same time achieving poverty reduction in the context of MDGs.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agriculture in pro-poor growth and long-term structural chang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Myanmar. It attempts to mak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field by brid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reduction with agricultural productivity growth in the short-term and structural change in the long term for Myanmar’s economic develop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constructs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delineates the processes of structural change and pro-poor growth and conducts econometric analyses to test the empirical models drawn from the conceptual framework.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s devoted to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in shorter-term policy goal of achieving poverty reduction and pro-poor growth. In particular, it tests the proposition that improvement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contributes to poverty reduction in Myanmar. The factors contributing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growth are also examined in this part. Time seri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world rice statistics online data base from th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 The study period was from 1965 to 2010. The empirical models are tested by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me extension of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and vector autocorrelation (VAR) approaches to investigate the short run and the long run relationship among the value of lag periods and time effec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per hectare growth is a contributing factor for GDP per capita growth and they have both short run and long run relationships. Empirical evidence of this study supports the argument that enhanc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should be the focal point of designing development policy for poverty reduction. In the second part,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structural change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of Myanmar and other economics in Asia. The sample countries were carefully chosen from ASEAN plus three nations and they are Myanmar, China, Indonesia, South Korea, Malaysia,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Vietnam. Econometric analyse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time series data obtained from the UNCTAD online database. The study periods differ according to data availability and the stationarity of the time series. Therefore, data from 1991-2010 for Myanmar, 1985-2010 for Vietnam and 1980-2010 for the other six countrie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conceptual framework is constructed based on Lewis’s dual economy model, incorporating Rostow’s linear-stages-of-growth theory and neoclassical growth models. Myanmar is considered as being in the stage of the “pre-conditions for take-off”. Four empirical models are constr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tructural composition on economic growth in Myanmar and other selected economies. The key structural change variables were the share of agricultural GDP growth (SAR), the share of industrial GDP growth (SIR), and the share of agricultural labor in total labor force (CALAR). The models support the hypothesis of increasing in the share of industrial GDP share matters on economic growth in the cases of Indonesia and Korea. The two key structural change variables of SAR and SIR are significant for Myanmar but with opposite signs, which reflects Myanmar’s structural stickiness towards the agricultural sector. In other words, the results imply that the reason for economic stagnation in Myanmar was not having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change for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and Indonesia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policy implication for the long-term economic development in Myanmar. This study suggests that structural change towards the industrial sector could be a key to achieving longer-term economic development and initiating the catching up process.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crucial to implement pro-poor or balanced growth policies to attain sustainable growth. Agricultural productivity development is the immediate solution to achieving this policy goal.;개발도상국 경제개발에 있어 농업의 역할은 개발경제학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의 주요관심사가 되어왔다. 지난 반세기 동안 미얀마의 경제는 장기침체, 만성적 빈곤, 그리고 구조적 경직성으로 특징지어왔다. 오랫동안 국제적인 고립과 경제침체를 경험한 미얀마는 최근 민주주의를 복원하면서 지속가능한 경제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개혁을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미얀마 정부는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산업화와 동시에 MDG 달성을 위한 빈곤퇴치를 동시에 추구하는데 있어 심각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 논문은 미얀마의 경제발전에 있어서 친빈곤적 성장을 위한 농업의 역할과 구조적 전환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논문은 미얀마의 장기적 경제발전을 위한 구조 전환과 농업생산성 향상을 통한 단기적 빈곤퇴치를 연계함으로서 이 분야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적 변화의 과정과 친빈곤적 성장을 연계하는 개념틀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량경제적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 논문에는 두 가지의 실증적 분석이 시도되었다. 첫 번째는 빈곤퇴치와 친빈곤적 성장이라는 단기적인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의 농업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한 실증적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농업의 생산성 향상이 미얀마의 빈곤퇴치에 기여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농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요소들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1965년부터 2010년 사이의 시계열 데이터는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가 온라인상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얻었다. 실증분석을 위한 모델들은 회귀분석, ARDL, VAR 기법을 활용하여 테스트했으며, 분석을 통해 유도기간과 시간효과 사이의 장기간, 단기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헥타르 당 농업의 생산성 향상이 일인당 국민소득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간, 단기간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빈곤퇴치를 위한 개발정책에 있어 농업생산성 향상이 중심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번째의 실증분석은 미얀마와 아시아 다른 국가들에서 경제의 구조적인 변화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이다. 이를 위한 분석 대상 국가는 ASEAN+3 국가 중에서 선택되었는데 미얀마, 중국, 인도네시아,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이 포함되었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UNCATAD 시계열 자료를 활용했다. 분석대상 기간은 시계열의 자료의 입수가능성과 정상성을 고려해 국가별로 다르게 선정되었는데, 미얀마는 1991-2010년, 베트남은 1985-2010년, 다른 6개 국가의 경우 1980-2010년의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본 연구를 위한 개념틀은 Lewis의 Dual Economy Model에 Rostow의 Linear-Stages-of-Growth 이론과 신고전주의 성장모델들을 접목하여 만들어졌다. 미얀마는 “성장을 위한 전제조건” 단계로 분류하였다. 미얀마를 포함해 표본국가로 선정된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산업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4개의 실증모델을 만들었다. 구조적 변화에 있어 주요 변수는 농업 GDP 성장 (SAR), 공업 GDP 성장 (SIR), 총 노동력 중 농업노동력의 구성(CALAR) 이다. 분석결과는 인도네시아와 한국의 경우 GDP 중 공업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경제성장에 상관이 있다는 가설을 지지한다. 구조적 변화의 주요 변수 중에서 SAR, SIR은 미얀마에도 중요한 변수로 나왔지만 그 영향은 정반대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에 치중한 미얀마의 구조적 경직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다시 말해서, 본 연구결과는 분석대상 기간 동안 미얀마의 장기 저성장의 원인이 구조적인 변화를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에 관한 중요한 실증분석의 결과들은 미얀마의 경제발전을 위한 개발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본 논문은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장기적인 경제성장과 성장을 따라잡는 과정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요소라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나 동시에 친빈곤적 또는 균형 잡힌 성장정책이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중요하다는 것도 제시한다. 농업생산성의 향상은 이러한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즉각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