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이동에 의한 공간 인식과 정체성 연구

Title
이동에 의한 공간 인식과 정체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ace and identity through spatial movement : focused on my works
Authors
허정원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애란

김현주
Abstract
본 논문은 이동의 경험을 통해 새롭게 인식한 공간과 정체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이다. 과학과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은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해 졌으며, 세계화가 가속화된 1990년대 이후 이동은 우리의 일상적 삶의 일부가 되고 있다. 전 지구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잦은 이동은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고, 다양한 정체성의 출현을 가능케 한다. 특히 현대의 예술가들에게 지속적인 이동에 따른 유목적 삶은 창작을 위한 당대적 조건이 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비록 국가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은 아니지만, 본인의 삶 역시 한 곳에 정박하지 않고 두 개의 공간을 끊임없이 왕복한다는 점에서 유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유목적 삶의 경험에 따라 생성되는 새로운 공간에서 본인은 정체성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본인의 작업의 핵심은 개인적인 삶의 경험을 당대의 사회문화적 삶의 조건들과 관련짓고, 그 같은 문제들을 예술창작의 근원으로 수용하고 작품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서로 다른 공간을 이동하는 예술가로서 본인의 삶과 예술을 해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논문에서는 유목주의와 현대적 공간 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유목적 사유방식과 다양한 공간 개념 및 부유하는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예술가로서 본인의 삶이 세계화로 인한 사회, 문화적 변화와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설명해 주고, 본인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유목주의 이론은 예술창작을 위한 본인의 이동하는 삶의 당위성을 밝혀준다. 그리고 떠남과 새로운 도착, 짧은 머묾과 또 다시 떠남이란 계속되는 이동의 경험과 새로운 공간에 대한 인식이 출현하는 과정을 규명해주기 때문에, 본인의 예술세계를 고찰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유목주의 이론은 이동에 따라 혼성의 공간을 경험하는 본인의 의식이 작품의 주요한 내용을 구성하고, 그런 주제 의식이 개인적 차원의 문제를 넘어 사회문화적 측면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설명해 준다. 또한 탈식민주의 이론을 위시해 현대철학에서 제시된 유동적인 공간개념은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게 이끌어준 토대가 되었다. 하나의 공간과 또 하나의 공간이 만나는 접점인 ‘사이’에서 생성되는 혼성의 공간의 발견은 본인의 창작에서 중요한 요소로 발전했다. 여기서 혼성의 공간은 이것과 저것이 마구 섞이는 곳이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문화와 정체성이 출현할 수 있는 긍정적 지점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목주의적 사유방식과 혼성의 공간 및 부유하는 정체성에 대한 개념에서 본인의 삶과 작품을 이론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함으로써, 이동과 공간과 정체성의 변화를 어떻게 다양한 매체와 표현방식을 활용해 구현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또한 유목적인 삶의 경험에서 비롯된 본인의 작품을 공간과 정체성이란 유사한 문제들을 다룬 동시대 미술가들의 작품들과 비교하면서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본인의 위치를 확인해 보았다. 본문의 첫 장인 “현대의 삶과 이동”에서는 현대인의 삶의 조건이 되고 있는 이동, 창작을 위한 예술가들의 이동, 그리고 예술창작을 위한 본인의 유목적인 삶과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런 관계를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자크 아탈리(Jacques Attali)의 이론을 근간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유목적 사유방식을 본인 작업의 창작의 원천인 혼성공간과 유동적인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하였다. 제3장에서는 현대사회의 이동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공간개념을 탈식민주의 문화이론과 현대문화 이론가들이 제시한 또 다른 공간 개념들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문화가 겹쳐지는 혼성공간을 새로운 문화가 창출되는 긍정적 의미의 공간으로 설명한 호미 바바(Homi Bhabha)의 주장을 살펴보았다. 또 다른 공간 개념으로는 역사학자 피터 버크(Peter Burke)의 문화와 문화가 만나고 섞여 융화되고 상호 공존하는 전 지구화 시대의 문화공간의 혼성화 개념, 마크 오제(Marc Augé)의 비장소(non-places) 개념, 현대 사회에서 어느 누구에게도 점유될 수 없는 일시적인 머묾의 공간을 설명한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헤테로토피아(héterotopia) 개념 등을 논의했다. 위에서 살펴본 현대적 공간개념을 참고해 본인이 이동하는 순간, 점유하게 되는 공간 속에서 본인 작품의 현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4장은 작품에서 구현되는 혼성적 공간과 유동하는 정체성을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분석을 통해서 연구해 보았다. 물리적 이동과 사유의 이동을 통해 유동하는 정체성을 예술로 구현한 사례로 서도호와 크초(KCHO : Alexis Leyva Machado)의 작품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공간의 문제를 다룬 작가로는 줄리 메르튜(Julie Mehretu)와 사라 체(Sarah Sze)를 선택하여, 평면과 조형물을 통해 시공간을 겹치고 압축하는 방식으로 스펙터클한 공간을 재구성하는 방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본인의 작품에서 재구성되는 일시적인 공간에 대한 의미와의 상관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문에서 다룬 다양한 이론과 동시대의 다른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활용하여, 본인의 작품에서 이동에 따른 혼성공간과 유동하는 정체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인의 작품은 세 개의 순차적인 단계를 취하고 있는데, 따라서 작품분석 또한 그 단계에 병행하여 이뤄졌다. 그 첫 번째는 반복된 이동에 따라 익숙한 공간이 낯설어짐으로써, 낯선 공간들에서 본인의 영역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이 투사된 새로운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초기에 이동이 초래하는 정체성 상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두 공간의 사이를 오고 가는 본인을 인정한 후, 이동하는 사물과 공간을 합체해 새로운 공간으로 대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동하는 공간 속에서 흐르는 시공간을 포착하여 본인의 새로운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본인의 이동하는 경험을 현대사회의 중요한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고, 혼성공간과 그 외의 공간에서 유동하는 정체성을 유목주의와 현대문화 이론들과 연계지어 분석한 것이다. 이동에 따라 공간과 정체성은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가변상태에 놓이게 되는데, 이것이 본인의 예술 창작의 원천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인의 작업은 점유하던 공간을 벗어나는 탈영토화라는 경험에서 출발하여, 점차 새로운 공간을 확보하는 재영토화하는 방식으로 이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은 이동을 통해 문화를 옮기는 노마드이자, 사회와 소통을 하며 움직이는 예술가를 지향한다. 앞으로도 한 곳에 정주하지 않고 새로운 공간의 표면 위로 리좀과 같이 뻗어 나가며 끝없이 사유하며 이동하는 예술가가 되는 것, 이것이 본인의 예술의 목표임을 본 연구를 통해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identity, which is newly perceived through my experiences in spacial movement(or travel). People in contemporary society can travel freel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is has become a part of our lives since 1990s in which globalization was accelerated. Frequent travels between countries create new space and allow the emergence of complicated identity. Especially, the nomadic lifestyle of contemporary artists through the frequent travels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ir art making. My life can also be said to be a nomadic life since I have continuously shuttled between two spaces even though not crossing national boundaries. From the newly created space by the experiences of this nomadic life style, I have gone through changes in my identity. Then I started understanding my personal experienc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of contemporary world and projecting them to my works. As an artist who has frequently shuttled between two different cities, I would like to interpret my life and art by various theories about nomadism and contemporary space. They enable me to explain that my life is deeply connected to social and cultural changes caused by globalization an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to interpret my works which were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s. The theory of nomadism gives appropriate prominence to my nomadic life. It also stands as a framework for the study on my world of art since it shows the process of the perception about continuous nomadic experiences and new spaces. In other words, it represents that my sense to experience the in-between or hybrid space through nomadic life composes the main theme of my works and such sense have rela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as well as my own ones. Also, the theories of space, which have been presented from the post-colonialism to nomadism in contemporary philosophy, have become a background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 space. A discovery of in-between space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y creation of works. Such space has been suggested as very positive point where the new culture and identity can be emerged. In this study, I discussed how to incarnate the process of changing space and identity by using various media as I have secu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e conceptions of nomadic way of thinking, in-between or hybrid space, and floating identity. In addition, my works through the nomadic life experience have been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artists’ works that are in similar theme, the space and identity as I try to see myself in a context of the contemporary art. In the first chapter, the travel as a condition on the life of contemporary people, artist’s travel for cre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my nomadic life have been explained on the basis of Gilles Deleuze and Jacques Attali’s theories. Furthermore, I have used the nomadic way of thinking to explain the in-between space and floating identity that are the resources of my creation. In chapter 3, the new conception of space emerged by the travel in contemporary society has been analyzed in terms of not only the post-colonialism theory but also the conception of space proposed by other theorists of contemporary culture. First of all, the claim of Homi Bhabha who described the in-between space containing many different cultures as a very positive space where the new culture is created has been examined. Other conceptions of space-the conception of the space of cultural hybridization suggested by the historian Peter Burke who told that different cultures have met, merged, and coexisted in the global world, the conception of non-places by Marc Augé, and the conception of heterotopias by the Michel Foucault who explained the temporary space where cannot be occupied by anyone-have been also discussed. Referring to these conceptions on space, I would like to show the contemporaneity of my works. In chapter 4, the in-between space and migrating identity presented in my works have been studied by comparing with those of contemporary artists’ works. Do-ho Suh and KCHO: Alexis Leyva Machado’s works are chosen as a case of work that pictures the migrating identity through physical and notional travels. In addition, Julie Mehretu and Sarah Sze’s works are selected to find the relationship and meaning of temporary space where my works are restructured since they restructure the spectacle space in a way of compressing the visuospatial space through paintings and sculptures. In Chapter 5, the way that the in-between space and migrating identity were implied in my works has been examined with the analysis on the various theories and other contemporary artists’ works which are mentioned above. The analysis of the works took certain orders since there are three sequential stages in creating my works. The first stage is creating a new space with the desire of returning the familiar space as the familiar space was getting unfamiliar by repetitive travels. The next stage is realizing myself as an ego that travels between two different spaces to overcome the loss of identity due to the travel and setting up a new space by combining the migrating objects and space. Final stage is trying to find a new position by grasping the moving spa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grating identity in connection with the nomadism and the contemporary cultural theories of space by means of regarding my travel experience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space and identity become changeable and continuously create new meaning by the travel, and these are my resources for art creation. My works have started from deterritorialization that is to come out from occupying territory and then have gradually moved to take new territories again. Therefore, I intend to be a nomad who delivers culture through travels and to be an artist who communicates and goes with society. I would like to make it clear by this study that my aim in creating art work is to be an artist who continue to think and to travel without staying at one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