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중장년 조선족 이주여성의 노동경험과 탈구적 삶에 관한 연구

Title
중장년 조선족 이주여성의 노동경험과 탈구적 삶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sis on middle-aged Joseonjok Korean-Chinese migrant women’s labor experience and dislocated life
Authors
이해응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실
Abstract
This thesis endeavors to show the structural cause and process of the problematic and tragic experiences of the middle-aged Joseonjok Korean-Chinese migrant women who have moved to Korea for a ‘better life’ but ends up with physical illness and sometimes, even death. Dominant discourse at present only sees them as labor force or sacrificial parent,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y are bodily subjects who have experienced socially and historically the Chinese and the Korean social system. Therefore, this thesis endeavors to expose the fictionality of ‘opportunity’ and ‘freedom’ that is promised by the Neo-liberalistic idea of migrant labor by revealing the gap between the workers’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of their labor experiences and physical pain, through the conceptual framework of ‘dislocation/stabilization.’ The research method applied was feminis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in-depth interview, and the interviews were taken between March 2010 and October 2012.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twenty-five, of which fourteen of them were major participants and eleven of them were supplementary cas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iddle-aged Joseonjok Korean-Chinese migrant women experience inconsistency in their legal status and labor. Regarding their legal status, they went through the changes of being ‘people’, ‘illegal workers’ and ‘legal workers’. Joseonjok Korean-Chinese are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of those who migrated to China from Korean (Joseon) peninsula a hundred years ago, and they have acquired the legal status of ‘people’ of China and the minority identity as Josenjok Korean-Chinese. However, since the migration back to Korea that began in the late 1980’s, they experienced inconsistency in their legal status as foreign workers. The Korean government used both the ‘Korean Nationality’ Policy and ‘Foreign Labor‘ Policy regarding Joseonjok Korean-Chinese, regulating the level of political and economical nationalization. Joseonjok Korean-Chinese wanted the legal status of migrant workers through economical nationalization, but their expectations were not met and a large number of them became ‘illegal residents’. Although the Special Work Permit Policy of 2004 and Work Visit Policy of 2007 legalized their status and eliminated the high expense of using brokers and thereby alleviated their psychological stress and economical hardship, they still have to register as foreign workers and overseas nationals, which they experience as fragmentation of legal status. As for the inconsistency in their labor experience, having lived through Mao’s planned economy system and Dung’s market economy system, and now experiencing Korea’s Neo-liberal economy system, their work experiences cover a spectrum of collective labor, family labor, individual labor, and migrant labor. They come to Korea with the idea of ‘you get what you work for’, i. e. the modernist, capitalist and individualist merit based work ethic that was formed in China. Second, after the legalization policy the number of Joseonjok Korean-Chinese migrant workers increased considerably, which in turn reinforced their collective image as simple labor force and also typified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hence leading them into gendered unofficial labor market as boarding workers. Most of these workers are boarding workers in restaurants and motels or housemaids in private homes. In the case of housemaids, since Korean Laborer Standard Act is not applied to them, they are limited in their right as workers and also have limited access to medical insurance. After the legalization policy these workers willingly submitted themselves to the policy, hence being managed and controlled as ‘full time paid workers’. This resulted in increased pressure of ‘money, work place and time’, and intensified the capitalist work ethic of ‘time is money’. Also, because of the Work Visit Policy, they financially support the young labor force tied in China, working without rest until their visit to China. This condition of ‘full time paid worker’ leads them to neglect their physical pain, which manifests in two aspects. One, they relate their physical pain to their life in China rather than to their experience in Korea as migrant workers, and two, their work place accidents do not receive an official recognition. Therefore, they gather what resource they have individually to fight their illnesses, such as receiving medicine from China, taking health supplementary products from Korea and receiving free medical care services. They also construct a new meaning system to illnesse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is an expected condition.’ Third, in this dislocated situation of work condition and physical pain, they endeavor to reestablish their sense of stability through ‘adaptation’ and ‘compromise’, such as; disciplining their bodies to make it suitable for service work, i. e. make a ‘board worker customized’ body, forming a support system of consolation and encouragement through Church community where they can meet ‘colleagues’ who are in a similar situation, and transforming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to assimilation of advanced culture. However, these efforts only prove that they are in a very unstable dislocated situation. Fourth, because they see Korean migrant labor market as temporary, they search for work places that provide board instead of getting a ‘house’ for themselves. However, the ‘house’ in China that they have bought with the money they have earned in Korea becomes an alien ‘space.’ As the boarding work period extends and becomes their life, the employer’s ‘house’ becomes a ‘pseudo-house’ and a ‘normal’ living space for them, where they endeavor to continue their life and work through forming a ‘special relationship’ with the employer. Because their living space is also their work space, claiming time and space for self-care is constantly delayed, which leads to serious illness that can even lead to death. This form of ‘dislocated life’ that regards one’s life condition as temporary, constantly delaying the claim for self-care becomes a habit, which leads them to continue in their migrant labor, both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bearing their physical pain. The significance of these findings is that, by showing the process of ‘dislocated life’, it reveals the physical pain of the middle-aged Joseonjok Korean-Chinese migrant women, which has been constantly neglected. These women participate in compulsive labor, forgoing the time and space needed for reproduction of labor, which in turn not only ruins their health but also their life. The findings prove that the ‘number-right setoff’ system of Work Visit Policy that promises ‘opportunity’ and ‘freedom’ is no more than a Neo-liberalist system that only seeks to maximize the productivity of labor, disregarding the right to have time and space for reproduction of labor. Nevertheless, these women participate in this process ‘voluntarily’, continuing in the labor that brought physical pain, and habituate the ‘dislocated life’. This shows that they have become subjected to the idea of Neo-liberalism, which claims that one can choose ‘freely’ according to what one sees as profitable, but is responsible for the risks that are involved. However, they are also both critical and doubtful about the migrant work that has ‘money’ as its sole purpose. Finall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conceptual framework of ‘dislocated life’, ‘transition of social system’ and ‘habit of migration’ to the phenomenon of continued migrant work, hence adding a new theoretical perspective to the study of migration.;본 연구는 중장년 조선족 여성들이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 이주노동을 감행하지만, 많은 경우 몸의 혹사로 인한 아픔, 심지어 죽음으로 이어지는 비극적 역설에 문제의식을 갖고, 이들의 노동경험과 몸 경험을 통해 그 구조적 원인과 과정을 설명해내고자 했다. 기존의 지배적 담론들은 이들을 노동력으로만 보거나, 희생하는 부모로 보고 있는데 이는 이들이 중국/한국의 사회체제를 살아낸 사회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는 몸적 주체라는 것을 간과하고, 희생이란 이름 속에 이들의 몸의 혹사와 아픔이 사라지게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애사적 관점에서, ‘탈구/안정화’라는 개념을 분석틀로 삼아 이들의 노동경험과 몸 아픔 현실의 괴리를 드러냄으로써 ‘기회’와 ‘자유’를 보장한다는 신자유주의적 이주노동의 허구성을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 연구는 심층면접을 통한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했고 2010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25명을 인터뷰했는데 그중 14명을 주요 연구 참여자로, 11명을 보조사례로 선정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조선족 이주여성은 중국/한국 사회체제 이행 속에서 법적 지위의 전환과 노동경험의 연속과 분절을 경험한다. 우선 법적 지위를 놓고 보면, 이들은 ‘인민’-‘불법’노동자-‘합법’노동자의 지위로 전환되었다. 이들은 100여 년 전 한 반도(조선 반도)에서 중국으로 이주해간 동포 2~3세대로 중국 내에서 중국국적을 가진 ‘인민’이라는 법적 지위와 조선족이라는 소수민족 정체성을 획득했다. 하지만 80년대 말부터 다시 한국으로의 이주가 시작되면서 ‘불법’노동자, 그리고 ‘합법’노동자의 지위를 갖게 되었다. 한국은 조선족에 대해 정치경제적 민족화의 수위를 조절하며 동포정책과 외국인력 정책을 동시에 병행했고, 조선족들은 경제적 민족화를 통한 합법 이주노동자의 자격을 원했지만 엇갈리는 기대와 정책 사이에 끼인 존재로 결국 대규모의 ‘불법체류 신분’으로 전락되었다. 2004년 <특별고용허가제>와 2007년 <방문취업제>를 통한 한국의 합법화정책은 이들에게 합법적 체류신분을 부여하고 비싼 브로커 비용을 없애 심리적 경제적 고통을 대폭 경감시켰지만, 여전히 외국인등록증과 재외동포거소신고증 등 분절적인 법적신분을 부여받는다. 다음 노동경험의 연속과 분절을 보면, 이들은 마오쩌둥의 계획경제체제- 덩샤오핑의 시장경제체제- 한국의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를 이행하면서 집체노동-가족노동-개별노동-이주노동이라는 노동경험의 변화를 거듭한다. 중국 내에서 형성된 ‘일한만큼 번다’라는 근대 자본주의적 개인능력 중심의 노동인식을 갖고 한국에 들어서게 된다. 둘째, 합법화정책 후 조선족 이주노동자가 급증했는데 이들에 대한 단순인력이라는 집단적 이미지와 노동의 성별분업체계가 더 강화되어 이들은 더 쉽게 젠더화된 비공식 입주 노동시장으로 편입하고 있었다. 주로 입주 음식숙박업과 입주 가내노동에 종사하고 있었는데, 특히 입주 가내노동은 한국의 근로자 기준법에 적용 되지 않아 노동권, 건강보험 가입권리가 제한되었다. 합법화정책 이후 이들은 기꺼이 이주정책의 통제와 관리의 대상이 되어 ‘완전 임노동자’ 로 투입하게 되면서 ‘돈, 일자리, 시간’의 압박을 심하게 받고, 한국 내에서의 시간을 화폐로 계산하는 자본주의식 노동문화를 극대화하게 된다. 또한 방문취업제로 인해 중국에 유예 정체된 젊은 노동력에 대한 경제지원을 충당하고 있었고 자신의 재충전은 중국에 갔을 때 향유하도록 하고 있었다. 이런 ‘완전 임노동’ 조건하에 이들의 몸 아픔 현실은 비가시화 되고 은폐되었는데 그 양상은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이들이 자신의 몸 아픔을 한국이주노동과 연결시키기보다는 중국 내 생애 속에서 해석하고 있었고 다른 하나는 이들이 당한 산재사고가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치료를 위한 초국적 자원배치를 하게 되는데 중국에서 약을 조달받고, 한국의 건강식품을 복용하며, 무료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그 외에 ‘고혈압은 걸릴 만하다’ 등 질병의 초국적 사회문화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이들의 공적 의료서비스 접근이 제한되고 이들의 치유실천은 비공식적이고 불확실한 취약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노동조건과 몸 아픔의 괴리라는 탈구적 상황에 대해 이들은 나름 ‘적응’과 ‘타협’을 통해 자신의 안정감을 찾고자 노력을 하는데, 우선은 자신의 몸을 서비스노동에 적합한 유연한 몸으로 규율하기, 즉 ‘입주 노동 맞춤형’의 몸으로 만들어내기, 교회공동체에서 자신과 비슷한 처지의 ‘동료’들을 만나 위로와 격려를 받는 지지대를 형성하기, 문화적 차별로 인해 한 민족문화에 대한 기대가 크게 좌절하지만 이를 선진문화 체득으로 치환해내기 등 전략적 노력을 한다. 하지만 이런 노력은 거꾸로 이들이 매우 불안정한 탈구적 상황에 처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이들은 한국이주노동을 임시노동으로 규정하면서 될수록 ‘먹고 자는’ 일자리를 원하고 ‘집’을 안 잡는다. 하지만 한국에서 번 돈으로 중국에 구매해 놓은 아파트는 자기소유의 ‘집’이지만 이미 낯설게 된 ‘공간’이 돼버린다. 입주 노동이 일상화 되고 중장기화 되면서 이들에게 고용주 ‘집’의 공간이 오히려 ‘유사 집’ 공간이 되고, ‘정상적인’ 생활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특별한 관계’ 형성으로 이런 노동과 생활이 지속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런 관계는 매우 취약한 ‘안정성’에 기반한다. 일상생활의 공간이자 자신의 노동공간이기 때문에 늘 자기 돌봄의 시공간을 유예하게 되며, 이는 심지어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져 죽음으로 이어지게까지 한다. 이렇게 자신의 삶의 조건을 임시화 하고 자기 돌봄 시공간을 유예하는 ‘탈구적 삶’의 양식이 관습화 되고 있었으며 이런 관습화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이들에게 몸 아픔을 인내하며 이주노동을 지속하게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 조선족 이주여성들이 노동력을 재생산하기 위한 시간과 공간을 스스로에게 박탈하면서 강박적인 노동을 수행하고 있고, 결국 이런 강박적 노동으로 육체뿐 만 아니라 삶 그 자체를 잠식당하게 되는 ‘탈구적 삶’의 형성과정을 드러냄으로써 그동안 비가시화 되고 은폐되어 왔던 이들의 몸 고통을 드러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돈 벌 ‘기회’와 ‘자유’를 보장한다는 방문취업제도의 ‘합법-권리 상쇄’ 논리, 즉 노동력의 생산성만 극대화하고 노동력의 재생산을 위한 모든 삶의 조건과 권리를 삭제시키는 신자유주의적 구조 논리를 비판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그 과정에 기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이주노동을 지속하고 몸 아픔을 유예시키는 ‘탈구적 삶’을 관습화 하고 있었다. 이는 실리적 계산에 따라 ‘자유로운’ 선택을 하되, 그로부터 오는 위험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신자유주의적 통치 논리에 예속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들은 이런 ‘돈’중심의 이주노동에 회의적이고 비판적이었다. 본 연구는 이주노동의 지속성에 대해 ‘사회체제 이행’, ‘몸적 주체’, ‘탈구적 삶’, ,‘이주 관습’ 등 이론적 개념과 분석틀을 제공하여 기존 이주 이론영역에 새로운 이론적 시각을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