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전지영-
dc.creator전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9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929-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국제결혼이 늘면서 국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교육과학 기술부의 다문화교육 선진화 방안에 따르면 국내 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는 2011년 년 기준 초·중·고에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은 총 38,678명으로 전체 재학생의 0.55%를 차지하고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94.5%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외국인가정 자녀는 5.5%로 아직 소수이다. 이러한 다문화 학생의 비중은 2007년도 조사에서는 0.19%에 그쳤지만 2011년도에는 0.55%로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그 중 초등학생이 74.1%, 중학생이 19.7%, 고등학생이 6.2%로 초등학생의 비율이 높고 학년이 낮을수록 인원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현재 초·중·고 학령인구가 연평균 약 22만 명씩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는 연평균 약 6천 명씩 증가하고 있다. 만 5세 이하 외국인주민 자녀가 모두 취학할 경우, 2013년에는 0.87%, 2014년에는 1.12%까지 다문화 가정 학생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 학생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 가정 학생이 많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를 중심으로 예비학교와 대안학교의 이름을 ‘다문화예비학교’, ‘글로벌선도학교’로 이름을 정하여 그 수를 확대하고 있다. 다문화 가정 학생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다문화 가정 학생 교육 지원 방안> 등의 정책을 펼치면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기초 학력 향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지원책 등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일반 학생들과는 달리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거나 한국어를 습득하는데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경우가 많다. 다른 연구들을 살펴보면 조영달(2008)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한국어 습득이 늦는 이유로 학부모의 한국어 능력을 지적했고 그로 인해 한국어 능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일반 학생들에 비해 학습 부진, 정체성 혼란 및 소통의 문제들이 나타난다고 했다. 학부모의 한국어 능력과 한국의 교육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때문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교 적응 능력이 떨어지고 자신감 상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점차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가진 문제들이 사회로 표출되기 시작했다. 최근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이 다문화 가정 학생과 일반 가정 학생을 800명씩 조사해 펴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 피해 및 가해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가운데 가출을 해본 적이 있는 학생은 다문화 가정 학생의 경우 100명중 4.2명 정도였는데 이는 일반 가정 학생에 비해 8배가 넘는 수준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외모·언어·경제적·가정환경의 차이에서 야기되는 문제로 보인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여러 원인들 중 하나인 한국어 능력의 문제는 국민 대통합의 의의를 가지고 국가 혹은 사회적인 차원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입학 시기부터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한국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재가 개발 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데 유익한 영향을 줄 것이다. 원진숙(2009)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기본 의사소통에는 무리가 없지만 가정과 학교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읽기와 쓰기 같은 학문적 언어 능력은 현저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문적 한국어 능력이 향상 된다면 학습에 부적응을 보이는 현상은 점진적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본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학교 혹은 가정 밖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사용하는 언어의 다름은 학부모의 한국어 능력이 부족함에 따라 생기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들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학부모의 도움 없이도 학문적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읽기와 쓰기 교재들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표 1>의 그림처럼, 현재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KSL curriculum)이 개발 중에 있고, 방송 매체도 개발되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도 각 시·도별 주요 자치구들은 다양한 사전 교육을 통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해 다문화 예비학교를 2011년 3개 지역에서 2012년 전국적으로 확대해서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조기 적응을 지원하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 지원센터에서는 한국어 교실을 운영하고 방문 한국어 지도교사를 파견하며 가족 및 자녀교육을 상담해주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 학습 프로그램은 유아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고 기본적인 어휘 들을 중심으로 학습 시키고 있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초등학교에 진학할 때 알아야 할 어휘나 읽기·쓰기 능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신청자에 한하여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에게 자원봉사자들이 지원되기도 하는데 이는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교육 자료의 부재와 더불어 전문성이 부족한 자원봉사자들이 제공하는 교육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점진적 한국어 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한국어 능력 때문에 겪는 학교 부적응의 문제와 학습 부진의 문제들을 겪고 있다. 학부모의 학습 관련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문화 가정 학생들은 또래 학생들이 알고 있는 사회·문화·역사·과학 분야에 관한 기초 상식과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학교 수업을 이해하고 자신감을 갖는 것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본다. 본 교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한국어 능력과 상식의 격차를 극복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교재는 스스로 학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약간의 도움을 받으면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고자 한다. 이는 학부모의 한국어 능력에 기대어 학습할 수 없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여건을 고려한 것이다. 이소현(2009)에서 제시했듯이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익히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흥미를 일으킬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고 했다. 본 교재는 일반 학생들이 취미 생활로 읽고 접하는 백과사전 혹은 사회·과학 도서들의 내용을 문제화 하여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읽기를 전략적으로 할 수 있는 습관을 길러 주며 어휘를 집중적으로 습득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경우에도 성인과 같이 독해, 어휘력, 작문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성인학습자들과 유사한 전략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면 학습능력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일반 학생의 경우 학부모들이 어휘와 글의 내용을 설명해줌으로써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도와줄 수 있지만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의 학부모는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여 이러한 내용들을 쉽게 설명하여 이해시키는 것이 어렵다. 본 교재는 중요 어휘들의 설명, 어휘와 내용을 단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문제들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 가정 학생들의 학문적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읽기에 흥미를 갖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재가 될 것이라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목표 교재 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1 Ⅱ. 선행 연구 고찰 5 1. 대상 학습자 집단 5 2. 교수학습 상황 6 3. 대상 학습자의 요구 7 Ⅲ. 개발 교재의 구성과 교재 사용의 교육적 효과 9 1. 교수 학습 환경과 교재 구성 9 2. 교재의 교수요목 10 3. 교재의 실제 구성 12 4. 교수 효과 17 Ⅳ. 내용 중심 언어 교육 18 Ⅴ. 결론 20 참고문헌 21 교재 개발 시 참고 자료 23 부록 1. 학습자용 교재 24 부록 2. 교사용 지침서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79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다문화 가정 아동 학습자를 위한 어휘 중심 교재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