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승현-
dc.contributor.author유한나-
dc.creator유한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2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2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세기 미국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엘리엇 카터(Elliott Carter, 1908-2012)의 <현악 4중주 제 3번(1971)>에 관한 분석이다. 20세기 음악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로 격동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구조와 함께 전통적 음악 어법을 탈피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특히 화성과 리듬기법에 관한 새로운 음악적 시도들이 많이 일어났고, 이런 배경 가운데 카터는 동시대의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받아 다양하게 변화하는 리듬과 박자의 움직임을 연구하였다. 또한 카터는 각 악기에 독립적인 음악적 성격을 부여하기 위해 성부마다 고유한 음정구조와 음악적 분위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특징은 카터의 중기 작품부터 활발하게 나타나는데 1971년 작곡된 <현악 4중주 제 3번>은 작곡가의 음악적 아이디어가 잘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카터의 음악적 목적인 청중의 이해를 위해 형식구조를 비롯하여 음악적 전개를 잘 계획하고 설계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카터의 <현악 4중주 제 3번>을 분석함으로써 작곡가의 음악적 목표를 알아보고 음악적 특징이 작품에서 어떤 아이디어로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본론은 카터의 작품 경향과 작곡기법을 소개하고 분석 작품의 개괄 및 전체적인 형식을 악기의 그룹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어 작품 리듬과 박자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음정구조를 분석해 작품 안에서 어떤 음류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 작품의 분석은 카터가 현악 4중주 안에서 새롭게 시도한 두 그룹의 현악기를 기준으로 나누었고, 각 악장별로 크게 형식과 리듬 및 박자, 음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나누어 악곡의 전개와 구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작품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형식은 두 그룹의 분리적 시도를 통해 각각 4개와 6개의 악장이 함께 움직이는 구조로이루어지고 있고, 각 악장이 한번씩 만날 수 있는 24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24개의 섹션 동안 청중은 늘 새로운 Duo의 형태를 만나지만 반복되는 악장구조의 특성은 주제 패턴을 기억하게 한다. 이것은 청중들이 작품을 이해하는 큰 작용 요소로 사용된다. 이와 함께 동반되는 리듬은 두 그룹이 서로 다르게 진행되며 불균형하고 복잡한 특징을 가지지만 동일하게 변화하는 박자전조를 가진다. 음정구조는 카터가 제시한 성격패턴에 따라 전음정 4음구조로 나타나며, 각각의 음정구조는 각 악장에 뚜렷한 주제패턴으로 나타나며 청중들에게 음정에 따른 고유한 음류의 색채로 인식시킨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String Quartet No.3 (1971) written by Elliott Carter (1908-2012) who was an American composer in 20th and 21st century. Carter, influenced by his contemporaries, built up many ingenious musical techniques and styles, especially new concepts of tempo and rhythm; he also emphasized independence between instruments called, “characteristic pattern” which has its own pitch structure and musical expression. String Quartet No.3 (1971) is significant, because it tries to attain composer’s muisical goal to help the listener to grasp his general approach. Carter believed designing a strict form structure can help in comprehensibility, allowing small musical details to fall naturally in place through a formal design. Taking this view point, this thesis focuses on two critical point: the structural framework and the func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rhythm and meter with pitch. A unique feature of Carter’s Third Quartet is the grouping of four instruments into two Duos; these Duos have a separate structural design each. During these moments where the two Duos catch up with each other, the pitch collection derives from the all-interval tetrachord. Duo Ⅰ (ViolinⅠ, Cello) forms four movements, whereas Duo Ⅱ (ViolinⅡ, Viola) forms six movement; in combination this results into a division producing 24 sections. Each of the 24 sections has identifiable motivic patterns that appeal to highly developed auditory memory, In a musical detail, each of the Duo have different asymmetric rhythms, yet metric modulation provides tempo changes that allow the Duos to catch uo equally. The interval combinations are directly related to Carter’s sophisticated structural design; the two Duos’ intervallic identities remain separate throughout until moments of structural connection. In conclusion,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unique formal organization and combines musical techniques in Elliott Carter’s String Quartet No.3; Carter’s structural design and the facility between rhythm and meter with pitch. His characteristics shapes form strongly that can appeal the clearness to help in interpre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5 C. 선행연구 ... 6 Ⅱ. 본론 ... 8 A. 카터의 작품경향 ... 8 1) 제 1기: 신고전주의적 시기 (1938-1944) ... 9 2) 제 2기: 변환기 (1945-1948) ... 10 3) 제 3기: 리듬기법의 확립 시기 (1948-1959) ... 10 4) 제 4기: 협주곡의 시기 (1960-1970) ... 11 5) 제 5기: 완숙기 (1971-2012) ... 13 B. 카터의 작곡 기법 ... 15 1) 리듬 ... 15 1-1) 교차박 ... 16 1-2) 가속과 감속 리듬 ... 17 1-3) 규칙적 박동 ... 18 1-4) 루바토 리듬 ... 19 1-5) 자유 리듬 ... 20 1-6) 대위법적 리듬 ... 21 2) 박자전조 ... 22 3) 음계 ... 25 C. <현악 4중주 제3번> 분석 ... 27 1) 작품개괄과 전체 형식 구조 ... 27 1-1) 작품 시기와 작품 개요 ... 27 1-2) 전체 형식 구조 ... 29 2) 리듬과 박자 구조 분석 ... 34 2-1) DuoⅠ, DuoⅡ의 1악장(A, Ⓐ)이 만나는 (1) 부분 ... 34 2-2) DuoⅠ의 2악장(B)과 DuoⅡ의 1,2악장(Ⓐ,Ⓑ)이 만나는 (2), (3) 부분 ... 36 2-3) DuoⅠ의 3악장(C)과 DuoⅡ의 2,3악장(Ⓑ,Ⓒ)이 만나는 (4), (5) 부분 ... 37 2-4) DuoⅠ의 4악장(D), DuoⅡ의 3, 4악장(Ⓒ, Ⓓ)이 만나는 (6), (7) 부분 ... 39 2-5) DuoⅠ의 2악장(B), DuoⅡ의 4, 3악장(Ⓓ, Ⓒ)이 만나는 (8), (9) 부분 ... 41 2-6) DuoⅠ의 1, 4악장(A, D)과 DuoⅡ의 3, 2, 1악장(Ⓒ, Ⓑ, Ⓐ)이 만나는 (10), (11), (12), (13) 부분 ... 42 2-7) DuoⅠ의 3악장(C), DuoⅡ의 2, 5악장(Ⓑ, Ⓔ)이 만나는 (14), (15)부분 ... 43 2-8) DuoⅠ의 2, 4악장(B, D)과 DuoⅡ의 5, 6악장(Ⓔ, Ⓕ)이 만나는 (16), (17), (18), (19) 부분 ... 44 2-9) DuoⅠ의 1악장(A), DuoⅡ의 6, 4악장(Ⓕ, Ⓓ)이 만나는 (20, (21) 부분 ... 45 2-10) DuoⅠ의 3악장(C), DuoⅡ의 4, 6악장(Ⓓ, Ⓕ) 그리고 코다가 만나는 (22), (23), (24) 부분 ... 45 3) 음정 구조 분석 ... 50 3-1) 전체 음정 구조 ... 50 3-2) DuoⅠ의 음정구조 분석 ... 64 3-2-1) 1악장 ... 64 3-2-2) 2악장 ... 69 3-2-3) 3악장 ... 72 3-2-4) 4악장 ... 75 3-3) DuoⅡ의 음정구조 분석 ... 76 3-3-1) 1악장 ... 76 3-3-2) 2악장 ... 79 3-3-3) 3악장 ... 81 3-3-4) 4악장 ... 82 3-3-5) 5악장 ... 84 3-3-6) 6악장 ... 86 3-4) 코다 ... 88 Ⅲ. 결론 ... 89 참고문헌 ... 91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775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엘리엇 카터(Elliott Carter)의 <현악 4중주 제 3번> (1971)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Elliott Carter's <String Quartet No.3 (1971)>-
dc.creator.othernameYoo, Hannah-
dc.format.pageix,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