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일제강점기 조선인 여성의 시각화와 이미지 생산

Title
일제강점기 조선인 여성의 시각화와 이미지 생산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ization & Image Production of Joseon Women During Japanese Ruling
Authors
윤소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일제강점기 조선여성 이미지는 창작의 주체와 의도, 소비주체, 영향 범위와 파급력이 상이한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가장 많이 재현된 시각 이미지였다. 본 논고에서는 조선미술전람회 출품작과 일제가 발행한 잡지 『관광조선』, 그리고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 걸쳐 발간된 대중잡지 『별건곤』,『신여성』등의 잡지 표지화, 조선풍속 사진엽서의 분석을 통해 매체별로 계열화된 대표유형이 있는지, 서로 포함이나 충돌 관계에 있는 이미지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이것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식민 권력 아래 창작 주체들과 수용자들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을 파악해보았다. 첫 번째로 조선미전은 지방색의 장려와 소재중심의 향토적 분위기 표출이라는 심사기준에 의해 소재별로 일정한 유형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일본작가들은 주로 빨래나 물 긷기 등의 실외에서의 가사노동 장면이나 장옷이나 무희복, 자개장, 다듬이 등의 조선적 지물이 부각되는 장면, 기생 이미지를 중점적으로 그린 반면 조선작가들은 관전 출품작이나 조선미전에서 선행된 일본인 작가의 출품작들과 소재와 구도가 유사한 작품들을 뒤따라 제작 했으며 가사노동 장면의 경우 품위 있고 우아한 침선도 계열을 선호하였다. 이후 단장도, 독서도, 전통악기를 연주하는 여성 등 소재의 다양화를 보이긴 하지만 한복을 입은 전통적인 여성상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한복을 입은 전통적 여성상 이미지는 잡지 표지화에서도 다수 등장한다. 특히 일제가 발행한 『관광조선』의 경우는 한 차례를 제외하고 매호 한복을 입은 귀부인 이미지가 표지화를 장식하였으며 국내에서 조선인에 의해 발행된『별건곤』과 『신여성』의 경우 역시 한복을 입은 전통적 여성상이 주를 이룬 가운데, 표지화의 매체적 특성상 대중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소재, 즉 수영복을 입은 여성 이미지나 모던커플 등을 표지화에 적용시켰고 이를 통해 잔재된 전통적 여성상과 부상하는 신여성상을 적절히 혼재하여 표출 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는 조선미전 출품작과 사진엽서에서는 채택되지 않았던 이미지로 대중매체에서 재현된 여성의 이미지가 공적 영역에서 당대의 여성상을 어떻게 생산하고 소비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의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잡지 내부의 기사와 삽화 등에서는 신여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와 회화화된 표현도 함께 존재했다. 이것은 새로운 근대여성의 기호를 과잉 생산하면서도 사치와 허영의 아이콘으로 비판을 받던 신여성을 바라보는 당대의 사회 인식이 드러나는 일면이다. 따라서 표지화에 재현된 여성의 이미지는 곧 당시의 여성상을 바라보는 창작 주체를 비롯한 사회적 시선의 반영과 함께 여성에게 요구되는 시대적 조류가 동시에 투영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사진엽서 속 여성 이미지는 이러한 요구가 배제된 체 오로지 제국주의적 시각과 여성의 신체를 대상화 시키는 남성적 시각만이 투영되었다. 타자화적 시선이 가장 노골적으로 드러난 것은 기생 이미지이다. 기생이미지는 조선미전 출품작에서도 그 예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회화에서의 기생이 복장이나 예악활동 등의 풍속적 측면을 부각한 면이 크다면 사진엽서에서는 얼굴이나 포즈 등 여성으로서의 신체 표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 이미지들은 잡지 표지화의 여성 이미지들과 상통하는 면이 엿보이는데 이는 소비문화에서 충족된 이미지가 대중적으로 일반화되어 흡수되고 있는 단면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즉 이를 종합하여 볼 때 일제강점기에 각종 매체에서 재현된 여성상은 일제의 식민 권력 속에서 배포된 조선적이며 향토적인 색채를 지닌 이미지인 동시에 소비주체인 대중들의 근대적 기호를 읽어내고 창작 주체인 식민지 남성의 시선이 투과된 경계 선상에서 파생되고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매체들이 동일한 시각물로서 작용하여 화단과 대중매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근대기의 여성 이미지 형성에 관여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 During the Japanese ruling, images of Joseon women were visual images most frequently represented joining various media together different from the subject and intention of creation, consuming subject, influencing range and a ripple effect. Through analysis on entrie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cover page illustrations of 『Joseon Tour』, a magazine published by Japan, 『Byeolgeongon』,『New Woman』, popular magazines published between 1920s and 1930s, and postcards on Joseon Custom,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whether systemized representative types existed by medium, what images had inclusive or conflicting relations each other and what significance it had. Also it intends to inspect what role creative subjects and recipients had under the colonial power. Firstly, it shows that Joseon Art Exhibition had certain stereotyped aspect by subject matter resulted from the screening standards, or encouragement of the local color and expression of the folk atmosphere centered on the subject matter. Japanese artists drew principally scenes of outdoor domestic works including washing or water-drawing, scenes emphasizing Joseon's things like Jangot, dance costume, Jagejang and round fulling sticks in addition to images of gisaeng. On the contrary, Joseon artists produced works similar to those of Japanese artist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or other public exhibitions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and composition. Especially, in case of the domestic work scenes, they preferred sewing painting lines graceful and elegant. And then, diversification of the subject matter appeared including paintings on decoration, reading and women playing th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 However, it was almost within the frame of the traditional image of women wearing Korean dress. The traditional feminine images wearing Korean dress appeared frequently in the cover page illustrations of magazines. Especially, in case of 『Joseon Tour』published under Japanese imperialism, image of a noble woman wearing Korean dress appeared on the cover page of every issue excepting one. Also in case of 『Byeolgeongon』,『New Woman』, under a Joseon publisher, they were mainly composed of traditional women wearing Korean dress, applying a new subject matter like images of a woman wearing a swimming suit or modern couple to the cover page illustration to satisfy tastes of the public on the media characteristic of the cover page illustration. It seems to express adequate mixing of remaining traditional and rising new feminine images. It's an image not adopted at the Joseon Art Exhibition and postcards so has a value of the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for understanding how feminine image represented at the mass media produced and consumed femininity of those days in the public area. However, in the articles and illustrations, there were also criticism and ridiculous expressions on New Woman. Under overproduction of tastes of new modern women, it's an aspect to show social awareness on New Woman who was criticized as an icon of luxury and vanity. Therefore, feminine image represented on the cover page illustration reflects social viewpoint of the creative subjects seeing femininity of those days and projects periodic trend required to them. However, in the feminine image of postcards, excluding such a requirement, only imperial or masculine perspective was projected while making women's body an object. The most salient case of the otherness is the image of gisaeng. In entries of the Joseon Art Exhibition, image of gisaeng emphasized mainly custom aspects including their dresses, courtesy and musical activities while post cards concentrated on bodily expressions of women including their face and pose. Furthermore, such image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ose of cover page illustrations, showing an aspect that an image satisfied through consumption culture is generalized and absorbed into the public. In conclusion, during the Japanese ruling, femininity represented on various media is the image having a folk color of Joseon's own distributed under Japanese colonial power. At the same time, it was derived from the boundary line while reading modern taste of the public as the consumptive subject and projecting a perspective of men under the colony as the creative subject. It reveals that diverse media function as the same visual objects and participate in shaping of modern feminine images under mutual influence between painting circles and mass med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