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A development of a monitoring instrument for firm's knowledge management

Title
A development of a monitoring instrument for firm's knowledge management
Authors
성민정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급변하는 경영환경, 끊임없는 정보기술의 발전, 심화되는 경쟁환경 등 21세기 hyper-competition상황에서 기업이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지식경영(KM)이 학계와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는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이 해당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이러한 지식의 전략적인 관리에 있다.(Kogut & Zander, 1992; Quinn et al., 1996; Spender & Grant, 1996)고 보는 것으로, 기업은 지식경영을 통해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적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생성하고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지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IBM 컨설팅 그룹의 CKO인 Prusak에 의하면, 세계 1000대 기업의 80%가 이미 KM 기반의 새로운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Dataquest 자료에 의하면 KM에 대한 기업의 투자는 연간 45억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KM에 대한 관심과 투자는 국내기업에서는 1997년부터 시작하여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KM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이 KM을 도입한 이후 KM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기업의 KM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론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KM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이 어려운 실정이다. 지금까지 진행된 KM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면 주로 지적자본 가치평가나 KM 성공요인, 지식기여에 대한 보상 및 평가, 혹은 지식공유나 이전요인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가 대부분으로, 국내 기업들이 KM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 시점에서 기업의 KM 활동을 수시로 모니터링하여 현재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는 매우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현재까지 축적된 다양한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KM의 핵심활동(5개의 영역)을 중심으로 각 활동 영역별 평가요인(15개의 요인)을 정의하고, 이 활동들을 진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측정 항목들을 개발하여 기업들의 KM 활동 상태를 수시로 파악할 수 있는 KM 모니터링 도구를 제시하였다. 이때 각 측정 항목들의 타당성은 KM 업계에서 종사하고 있는 7명의 KM 전문가에 의한 델파이 설문에 의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KM 연구 성과들을 통합하여 기업의 KM 활동들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도구를 제시함으로써 KM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인식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제시된 활동을 통해 KM 세부 활동사항을 보다 깊이 있게 파악할 수 있는 계기판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의 경영성과 측면에서도 기업이 KM 활동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수시로 모니터링하여 이런 활동들을 잘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업의 KM 성과를 KM 활동으로 인한 결과라고 할 때, 기업이 KM 활동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수시로 모니터링하여 잘 관리한다면, 기업의 KM 성과도 높아짐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면 지식경영의 이론적 모형을 개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지식경영을 시행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조직을 진단할 수 있는 현실적인 측정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니터링 도구들은 실제 기업에 적용되어 기업의 KM 활동들이 수시로 모니터링되어 기업 운영성과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때에 모니터링 도구로서의 그 의미를 다 할 수 있을 것이다.;Increasing turbulence of the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 has focused attention on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ies as the principal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Knowledge has emerged as the most strategically significant resource of the firm in terms of its contribution to value added. Thus, the issue of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s knowledge assets has become extremely important, as numerous organizations have moved from information age to knowledge age.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 knowledg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onitor how effective KM activities implement in an organization by identifying which activities are operating successfully and which activities are operating poorly. However, most studies of performance measures have focused too much on outputs rather than KM key activities that lead to the production of result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monitoring KM activities by which KM can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ed for developing an instrument for monitoring KM activities, which ultimately affects financial performance, and for developing indexes to quantify KM key factors instead of merely using anecdotal evidence. Throughout this study, KM key activities and sub-activities (factors) were identified (refer Figure 6) and measurement items of factors on each activity were developed.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validity of measurement items using Delphi method. Seven panelists were constituted from one in the KM department, KM consultant, or those in KMS solution development companies. Through three round, final KM monitoring instrument, which consists of 5 key activities and 15 factors, was developed. It will help organizations identify areas of unbalanced KM activities and examine organization's current state.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KM operational performance together. Thus, it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investig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KM key activitie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of organization. Second, the KM monitoring instrument presented here should be applied to an organization. Empirical studies with longitudinal design are needed. Third,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the extended knowledge value chain,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today's networked organizations. Therefore, the consideration on the extended knowledge value chain based on e-KM will be needed in developing KM monitoring instrument.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for the body of knowledge of KM in general and for practitioners. First, this study extends our knowledge of KM, especially concerning KM activities monitoring issue. This study is probably the first attempts to develop KM monitoring instruments, which help organizations better manage their knowledge. Second,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his study for practitioner is that it provides realistic instrument for diagnosis KM activities in an organization. Finally, this study tries to develop quantitative evaluation criteria of preexisting qualitativ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by KM prior studies. Although a few other studies have tried to measur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their measurement items were too conceptual and their scope was limited to only intangibles assets. Thus, this study tries to achieve equilibrium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criteria and develop instrument to monitor multiple KM activities of working environment in an holistic mann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