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2 Download: 0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성별에 따른 회복기 건강상태의 차이에 관한 연구

Title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성별에 따른 회복기 건강상태의 차이에 관한 연구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관상동맥질환은 ‘풍요의 질병(Disease of Affluence)’으로 불린다. 최근 운동부족, 부적절한 식습관, 흡연,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한 성인병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고 관상동맥질환도 증가하고 있다. 1991년에는 보고된 사망의 29.9%가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이었으며1997년에도 가장 많은 사인이 순환기계 질환으로 23.4%를 차지하고 있고, 순환기계 질환 중에서도 뇌혈관 질환이나 고혈압성 질환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허혈성 심질환 즉 관상동맥 질환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1996년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인구 십만 명당 사망률은 1983년에 비해 4.2배, 여자는 4.8배가 증가했다(통계청 1996). 이러한 관상동맥질환의 증가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수도 1985년 25명에서 1990년 164명으로 증가하였고(김형묵 1994), 1999년 현재는 약 1,000여 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따라서 허혈성 심질환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게 되는 환자의 효율적 관리과 질적 간호를 위해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더 요구되어 진다. 그러나 관상동맥우회술 후 회복기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술과정의 특수성과 여러 가지 약물복용 및 식이제한 사회생활 제한 등으로 다른 질환에 비해 회복과정이 지연될 수 있는 관상동맥우회술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후 겪게 되는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환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중재방안을 모색해야한다. 또한 본 연구자의 임상경험을 통해 경험한 바에 의하면, 같은 질병이지만 남성과 여성은 질병경험과 회복과정이 다른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우회술 후 성별에 따른 회복기 증상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간호현장에서 성별에 따른 전문적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심리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파악하고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1개의 종합병원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의 심장전문병원에서 처음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대상자를 근접모집단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정시 준거는 말하고 읽을 수 있으며 연구에 동의한 자중에서 수술 후 심근경색, 폐색전증, 혈종이나 뇌혈관 장애의 합병증이 없는 대상자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 특성 10문항, 신체적 건강상태 15문항과 심리적 건강상태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신체적 건강상태는 관상동맥우회술 후 회복기 증상에 관한 Moore(1995)의 연구내용분석을 근거로 작성된 총 15문항으로 관상동맥우회술 후 흔히 경험하는 신체적 건강상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심리적 건강상태의 측정을 위해서는 우울을 측정하였다. 우울 측정도구로 CES-D Scale(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9년 11월 13일부터 12월 16일 까지 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기관에 자료수집의뢰 공문을 보낸 후 허락을 얻고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1인이 외래를 방문하여 대상자의 승인을 얻어 질문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지는 SAS 6.12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서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법 (Repeated measure ANOVA), ANOVA, Pearson correlation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성별, 연령, 교육정도, 경제상태, 종교, 수술 전 직업, 수술 후 직업, 결혼상태, 거주형태, 수술 후 입원기간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전체의 63.2%, 여자가 36.8%로 남자가 약 2배였고 대상자의 연령은 43세에서 79세까지의 범위로 평균연령은 63.2세였다. 교육정도는 대학이상이 28.9%, 초등학교 26.3%, 고등학교 21.1%의 순이었다. 경제상태는 월수입 100만원이하가 47.4%로 가장 높았으며 65.8%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직업은 수술 전에는 무직 52.6%, 수술 후 직업에서는 무직이 78.9%로 증가하여 수술 후 사회활동의 어려움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결혼상태는 86.8%가 결혼한 상태로 거주형태는 자녀와 함께 사는 경우가55.2%, 부부만 둘이 사는 경우 39.5%로 나타났으나 혼자사는 경우도 5.3%나되었다. 수술 후 입원기간은 평균 14.6일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건강상태 본 연구에서는 회복기의 신체적 건강상태를 가슴절개선의 불편감, 다리절개선의 불편감, 등, 목, 어깨의 불편감과 음식섭취, 수면 및 휴식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1) 가슴절개선은 ‘가슴절개선이 아프다’의 평균이 퇴원 직전 67.5, 퇴원 1주 52.2, 퇴원 1달 후에도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에게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특히 내유동맥 사용으로 인해 ‘가슴이 따끔따끔하다’는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났고(p=0.018), 퇴원 1주까지도 48.2로 남성의 24.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14). 2) 다리의 통증은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는 않았으며, 퇴원 1달 시점에서는 4문항 모두 20.0미만의 낮은 정도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등, 목, 어깨의 통증, 결림은 여성에게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유의하였다(p=0.016, 0.014). 4) 음식섭취의 내용에서는 퇴원 후 1달까지도 ‘식욕이 없다’에 남녀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퇴원 직전과 퇴원 1주 모두 여성에게서 구역질 증상이 많았다(p=0.015, 0.011). 5) 수면장애는 퇴원 후에도 대상자들에게 주요 문제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퇴원 직전 66.8에서 퇴원 1주 50.9, 퇴원 1달 35.7로 나타났으며 남녀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심리적 건강상태 본 연구에서 심리적 건강상태로 우울을 측정한 결과 퇴원 1주는 평균 24.7,퇴원 1달은 평균 13.2의 우울 정도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도 퇴원 1주에는 남자 21.0, 여자는 31.0으로 여성에게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퇴원 1달에도 남자 11.9, 여자 15.3으로 퇴원 1주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p=0.115). 4. 일반적 특성과 신체적 건강상태 신체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나이, 결혼상태, 교육정도, 수입과 직업이 있었다. 나이가 많은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교육수준이 낮은 경우, 수입이 적은 경우, 직업이 있는 경우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과 심리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본 연구에서 심리적 건강상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는 교육정도와 직업이 있었으며 교육정도가 낮은 대상자가 높은 우울 점수를 보였고(p=0.028), 퇴원 1달에도 중학교 이하가 15.3으로 가장 높은 우울 점수를 보였으며, 직업이 있는 경우 더 높은 우울 점수를 보였다(p=0.001). 6.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신체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와의 관계 중 수면장애와 우울과는 양의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0.492, p=0.001, r=0.348, p=0.032).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관상동맥우회술 후 환자들은 수술과정의 특수성과 여러 가지 약물 복용 및 식이제한, 사회생활 제한 등으로 다른 질환에 비해 회복과정이 지연될 수 있고 남성과 여성이 각기 독특한 경험을 하기도 하며, 심리적으로도 우울정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상동맥우회술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후 겪게 되는 회복과정에 관한 연구를 통해 환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환자의 건강과 회복에 대해서 성별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각에게 적합한 중재와 재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교육의 측면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퇴원 후 성별의 차이를 고려한 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2. 간호실무의 측면 1) 임상간호사는 관상동맥우회술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의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를 모색해야 한다. 2) 임상간호사는 관상동맥우회술 환자가 퇴원 후 일상생활에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성별에 따른 교육적 간호중재를 모색해야 한다. 3. 간호연구의 측면 1) 연구 대상자의 수를 확대하여 관상동맥우회술 후 회복과정에 대한 위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2) 전반적인 회복과정에 대한 이해를 위해 더 오랜 시간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3) 관상동맥우회술 후 회복과정에서 그들의 경험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관상동맥우회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현상학적 연구를 제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gender difference of health status on the recovery state after CABG, then to provide the professional nursing care in clinical setting. This study was to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on the recovery state after CABG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38 CABG patients from 2 general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aires. The questionaires were designed to measure the physical health status, based on Moore(1995)'s result on the CABG patients and used CES-D scale to measure psycholosical health stat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1 to December 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6.12. The actual number,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Repeated measur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don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males and 14 females. The averaging age was 63.2. The unemployed of preoperative state were 56.2%, postoperative state 78.9%. The married were 86.8%. As for the monthly incomes, 47.4% were below 1,000,000. As for the religion, 21.1% were buddhist, 31.6% christian, 34.2% irreligious. 2.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1) Before discharge ① Chest incision - The discomfort of chest incision showed higher in female than male(p=0.021, 0.043). ② Leg incision - Leg pain showed higher in female than male(p=0.037). ③ Back, neck and shoulder pain - Female showed higher than male (p=0.016, 0.034). ④ Diet - Both sex answered 'loss of appetite', especially nausea/vomiting was higher in female group(p=0.015). ⑤ Sleep - Both sex had severe sleep disturbance, but it's not significant. 2) At the first week after discharge ① Chest incision - The discomfort of breast showed higher in female than male(p=0.014). ② Leg incision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③ Back, neck and shoulder pain - Female showed higher than male (p=0.010). ④ Diet - Nausea/vomiting was higher in female group(p=0.011). ⑤ Sleep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At the first month after discharge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3.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t the first week after discharge, the male's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1.0, female's 31.0. It was showing a high score in female than male(p=0.001). At the first month after discharge, the male's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11.9, female's 15.3. It was showing a high score in female than male(p=0.115), but not significant. 4. The physic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elder group, seperated, lower educational level, lower income, unemployed showed higher than opposite group. 5. The psychologic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unemployed(p=0.001), lower educational showed higher than the opposite group(F=3.95, p=0.028). 6.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The CABG patient's physical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stat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0.34861, p=0.032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