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9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3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취업모 맞벌이 가정에서 영유아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스트레스-적응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손자녀 양육 조모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그에 따른 결과로써 적응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가족생활사건, 노화인식을 제시하였고, 대처요인으로는 노후준비, 자녀관계, 사회적지지 및 조부모의미를 제시하여 이들이 양육스트레스를 어떻게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인지적 차원의 대처인 조부모의미에 따른 인식차이를 통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인지역, 6대광역시 지역에 거주하며, 취업모 맞벌이 가정에서 성인자녀를 대신해 만 6세 이하(학령전)의 영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조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의도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총 32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및 AMO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손자녀 양육 조모들은 주로 예비노인들로써 가족 내에서 상당한 비중의 양육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조모들의 양육스트레스는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생활기회 제한으로 인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측정모형 분석결과, 각 측정변인들이 각 변수들이 각 변수의 구성개념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잘 성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충분히 수용가능한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연구모형이 양육스트레스를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모형의 직접 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가족생활사건은 자녀관계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노화인식은 노후준비, 자녀관계, 조부모의미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에는 가족생활사건, 노화인식, 노후준비, 자녀관계, 사회적지지, 조부모의미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구조모형의 간접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가족생활사건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관계가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모의 노화인식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노후준비와 조부모의미가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다섯째, 조부모 의미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조부모의미 인식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노화인식에서 양육스트레스 및 노후준비에 미치는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검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결론 및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어 손자녀 양육이라는 노년기의 예기치 않은 과제에 직면한 여성노인의 적응을 돕는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모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이 노화인식으로 나타났으므로, 조모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증진을 돕기 위한 건강관리서비스 및 상담지원 개입 등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노후준비와 자녀관계, 조부모의미는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양육스트레스를 완충하는 대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처를 강화하는 실천적 개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조모가 노후준비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지원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 노후의 재정계획 및 시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가이드 제공, 실질적인 양육정보와 방법에 대한 지원, 성인자녀와의 관계증진을 위한 가족적 개입 등이 제시될 수 있다. 셋째, 조부모의미는 양육스트레스에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손자녀 양육 조모의 적응을 위한 중요한 대처기제로 확인되었다. 할머니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스트레스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도록 하여, 조모의 적응을 촉진하므로, 조모들이 손자녀 양육 과정에서 스스로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 찾고 보람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유아 손자녀 양육 조모에 대한 개입은 일차적으로는 여성노인에 대한 지원이기는 하나 취업모 및 맞벌이 부부, 손자녀 아동 등 가족구성원 전체의 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전반적인 가족의 돌봄지원 맥락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영유아 보육가정에 대한 통합적 지원체계 수립과 활용지원, 돌봄지원 서비스의 다양화와 질적 수준 제고, 한국형 돌봄지원 모델을 개발 등의 정책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취업모나 조손가족 조모에 비해 논의가 미흡했던 손자녀 양육 조모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제공하여, 이들의 발달적 특성 및 가족적 맥락을 고려한 사회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가족스트레스-적응 모델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를 파악하고 이를 완충할 수 있는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손자녀 양육 조모의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주요한 대처요인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조부모의미나 노후준비, 자녀관계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한국적 가족상황에서 조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적응을 촉진할 수 있는 실천적 접근을 모색할 수 있었다. 넷째, 생애주기상 새로운 과업에 직면한 여성 노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노년기 양육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조건을 마련함과 동시에, 점점 증가하고 있는 3세대 가족의 복지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This study has aimed to research on the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who raising their infant grandchildren at double income households (working mother famili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at give influence while caring for grandchildren, there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given to caregiving stress. To that end, this study adopted the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model to probe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who bring up grandchildren, and based on the model this study suggested the relation model among stress factors (which are experienced under parenting circumstances),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m, and dealt the resultant adaptation issue. As major source of stress that affect caregiving stress this study indicated such factors as family life events and perception of aging. And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as measures to cope with stress factors, how the factors of preparation for old age, grandmother-adult parents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nd grandparenthood meaning mediate the caregiving stress. Further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groups, follow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Grandparenthood meaning(GM). which is perception coping measure in the caregiving stress model of grandmoth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f grandmothers who bring up infant grandchildren of below 6 years old (pre-school age) on behalf of their adult son or daughter at double income households (working mother families) among the residents in Seoul,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and 6 metropolitan cities. Intentional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the survey, and a total of 323 copies collected were used for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reby verifying research hypothesis. Major findings and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andmothers parenting their grandchildren are mostly pre-elderly persons who undertake significant share of parenting role in their respective families. It was found that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is at somewhat high level, and that they have high degree of life stress due to restricted opportunities in daily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measurement model it was confirmed that each measuring variable explains wel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composing concept of each variable. Also the suitability index that verified measuring model and structural model appeared to be quite acceptable, and that research model explains the caregiving stress properly. Third, through analyzing direct effect it appeared that family life events give effects to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and that perception of aging gives effects to preparation for old age, grandmother-adult parentd relationship, and grandparent meaning. Further it was revealed that caregiving stress is directly affected by family life events, perception of aging, preparation for old age,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social support and grandparenthood meaning. On the contrary, the effect given directly by family life events to preparation for old age and grandparent meaning, as well as the effect given directly by perception of aging to social support, were not significant. Fourth, through analyzing indirect influence, it appeared that the effect given by family life events to caregiving stress is mediated significantly by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and that the effect given by grandmother's perception of aging to caregiving stress is mediated by preparation for old age and grandparenthood meaning. Fifth,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following nonconformity in perception on grandparent meaning,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group with high perception on grandparenthood meaning and the group with low perception on the same, in the path influenced by perception of aging on caregiving stres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appeared to be at somewhat high level. Hence,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way to help female elders adapt themselves to unexpected task of parenting grandchildren which they faced at final stage of their life. Especially the biggest stress factor of grandmothers was disclosed as perception of aging, so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m with health care service and consultation service to help mainta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uch factors as preparation for old age,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and grandparenthood meaning mediate the effects given to caregiving stress, so they were concluded to be the major factors that mitigate caregiving stress. Thus practical intervention with measures to cope with them is needed in the way to help grandmothers mitigate stress and enhance adaptability. To this end, it is desirable to render guidance in their financial planning for old age (that will enable grandmothers to prepare for old age properly) and assistance for their managing time and stress.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practical information and knowhow on parenting, while supporting their family life in the way to enhance relationship with their adult son or daughte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grandparenthood meaning moderates the effect given to caregiving stress, so the factor(GM) was concluded to be an important coping mechanism for adaptation of grandmothers who bring up their grandchildren. The positive appraisal on becoming grandmother will make them re-evaluate stress situation in optimistic way, and thus it will act as a core factor affecting their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effective resources for adaptation, thereby facilitating their adaptability. Hence it is required to intervene in the way to help grandmothers nurture grandchildren actively and perceive themselves as main actors who can feel rewarded and satisfaction in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Fourth, intervention in grandmother's parenting infant grandchildren is basically a support for the female elder but it also has close relation with the needs and wele of whole family members such as working mother, double-income couple, grandchildren, so it should be reviewed and discussed under the context of overall family support and caring. Policy intervention is therefore needed, which includes the support for setting up and operating integrated community service system for infant parenting homes, diversifying child caring services and enhancing their qualitative level, as well as development of Korean-type caring support model. In view of such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hopefully found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study would have its worth in that it evok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n grandchild-parenting grandmothers who, to date, have been dealt with less limelight compared to working mom or grandmom in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thereby drawing out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context. Second, this study will have meaning in that it has form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family stress-adaptation model, and verified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thereby grasping significant path that affects caregiving stress, further in that it suggested significant model that can explain stress of grandmothers in parenting grandchildren by discovering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that can mitigate and adjust such path.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rough survey the effects given by such factors as grandparent meaning, preparation for old age, and grandmother-adult parent relationship which have received little spotlight in previous researches as major coping measures, thereby it enabled probing into practical approaches that will help grandmothers alleviate caregiving stress in Korean-type family situations and facilitate their adaptability. Fourth, this study would have its worth in that it provided understanding on stress of the aged female nurturers who faced new tasks in their life cycle, thereby providing them with favorable conditions to enhance their life quality, and at the same time this study suggested the ground upon which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or enhanced welfare of three-generations families which are on gradual increase in our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목적 5 C.연구의 의의 6 Ⅱ.이론적 배경 7 A.손자녀 양육 조모의 특성과 양육경험 7 B.연구모형의 이론적 기반 11 1.가족스트레스-적응이론 11 2.연구의 개념적 모델 16 C.모형의 변인에 관한 선행연구 21 1.양육스트레스 21 2.가족생활사건 26 3.노화인식 29 4.노후준비 33 5.자녀관계 35 6.사회적지지 37 7.조부모의미 40 Ⅲ.연구방법 44 A.연구문제 및 가설 44 B.연구대상 및 조사방법 48 C.변수정의 및 측정 50 D.자료분석방법 55 Ⅳ.연구결과 56 A.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6 1.손자녀 대리양육 조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6 2.돌봄대상 손자녀의 특성 및 돌봄상황 특성 59 B.주요 변수의 특성 62 1.주요변수의 기술적 분석 62 2.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비교 64 3.주요변수의 자료특성과 분포특성 67 C.모형의 분석 70 1.측정모형 분석 70 2.구조모형 분석 73 3.모형의 수정 75 4.효과의 분해 78 D.다집단 분석 81 1.조부모의미에 대한 인식 81 2.동일성검증 82 E.연구모형의 가설검증 86 Ⅴ.결론 및 제언 90 A.연구결과 요약 90 1.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기술적 분석결과 90 2.가설검증 결과 92 B.논의 93 1.조모의 양육스트레스 구조모형 93 2.조모의 양육스트레스 94 3.스트레스 변인들이 내생변수에 미치는 영향 96 4.양육스트레스에 대한 매개변수들의 영향 99 5.조절변수의 영향 103 C.함의 106 1.이론적 함의 106 2.실천적 함의 108 3.정책적 함의 113 D.연구의 한계 및 제언 117 1.연구의 한계점 117 2.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118 참고문헌 120 부록.설문지 139 ABSTRACT 1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50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영유아 손자녀 양육에 참여하는 조모의 양육스트레스-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취업모 맞벌이가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aregiving stress of Grandmothers raising Infant Grandchildren : at double income households and working mother families-
dc.creator.othernameKim, Eun Jeong-
dc.format.pagex, 15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