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6 Download: 0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 경향과 메타분석

Title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 경향과 메타분석
Other Titles
Research Trends and a Meta-Analysis of Music Therapy for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uthors
강해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과 효과크기를 살피고자 2001년부터 2012년까지의 음악치료 관련 석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33편을 연구자가 선정한 항목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고, 이 중 비교집단을 사용한 실험설계 연구 19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하였다. 총 33편에 대한 항목별 분석에서는 연구자 유형, 연구 대상 아동의 특성, 연구 방법 유형 및 음악치료프로그램 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그 빈도와 비율을 살펴보았고, 이 중 메타분석 대상인 19편의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의 전체 효과크기와 변인별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는 1998년부터 자료가 검색되었으나 2004년까지 저조한 상태를 보이다가 2005년 이후부터 매년 평균 4편정도의 연구가 대부분 음악치료전공자(96%)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 연구대상 아동 구성은 저학년(18.2%)과 고학년(18.2%)에 비해 혼합학년(60.6%)이, 6~10명의 인원수로 구성된 경우(45.5%)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방법 유형에서는 단일집단 연구가 13편(39.4%), 실험-통제집단 연구가 20편(60.6%)으로 나타났으며, 양적 분석 방법(48.5%)과 통합적 분석 방법(51.5%)이 각각 절반 정도의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단일 음악활동 중심(33.3%)보다 복합 음악활동(66.7%)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경우가 현저히 많았으며, 두 가지 프로그램에서 모두 노래 관련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치료 목표 영역에서는 정서 영역(62%)이 사회 영역(31%)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고, 정서 영역을 목표로 한 경우 노래 관련 활동으로 중재하는 경우(33%)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의 구성에서 단계적 목표를 제시한 경우가 72.7%, 활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경우는 51.6%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연구의 메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효과크기는 1.33으로 Cohen의 해석기준에 따르면, 매우 큰 정도에 해당되었다. 둘째, 출판 유형(석사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에 따른 효과크기는 연구의 이상치 제거의 유무에 따라 수치의 우위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고, 연구 대상 아동수가 11~15명일 때, 저학년으로 구성된 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시간이 600분 이하보다 600~1000분 이상일 때, 아동의 음악 선호도를 고려하고, 단계적 목표를 설정하며, 음악 활동에 대한 치료적 근거를 제시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 더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아동 복지 정책 사업 내용에 심리· 정서 및 정신 건강의 영역을 두어 저소득층 아동에게 심리 치료적 접근을 권장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심리 치료의 한 분야인 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심리 정서 발달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효과적인 중재 역할을 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점차 저소득층 아동의 정신 건강을 위한 치료에 사회적인 수요가 증가 하고 있는 만큼 음악치료 분야에서 이들을 위한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길 기대한다.;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n 33 pieces of master's theses and journal articles related to music therapy from 2001 to 2012 to check the status of music therapy research paper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19 experimental design studies using the comparison group. The trend on the research was examined by identify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focusing on the analysis items( The types of researchers and the characteristics on objects(children) of study/research methods types/music therapy program-related characteristics) selected by researchers in the primary analysis for a total of 33 pieces, through 19 experimental-control group studie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and the effect size in each variable of music therap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sic therapy research for low-income children had data from 1998 but it showed a poor state until 2004 but annual average of four researches has been made by most music therapy majors since 2005. With regard to composition of objects(children) of the study, compared to low grades and high grades, mixed grades(1~6 grades) was most common in case of consisting of 6-10 children. Second, in the types of research methods, single group studies were 13 pieces, experimental-control group studies were 20 pieces, the cases of analyzing the results in quantitative analysis and integrated(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appeared as each half percentage. Third, the cases of applying the program consisting of complex musical activities rather than single musical activities-centered were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related to songs in two programs showed a high proportion. In the area of treatment goal, emotional area was higher than social area, when aiming at emotional area, the cases of interceding with the songs-related activities were a lot. In the program composition, the case of proposing phased goals was 72.7%, that of suggesting the rationale of the activities was 51.6%. The results of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music therapy studies for low-income children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a very high by 1.33 according to the criterion for interpretation of Cohen(1977). Second, in the effect size depending on research characteristics, the effect size of journal papers was 0.15 higher than that of master's theses, as objects(children) of the study was 11~15,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group consisting of low grades. Third, when the applicable time was over 600~1000 minutes rather than under 600 minutes, a larger effect size showed in the study applying the program by considering children's music preferences, setting phased goals and proposing therapeutic grounds about music activities. Currently, the government has taken integrated support policy considering the various developmental areas for the holistic growth of low-income children. In particular,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to low-income children is recommended by separating psychological, emotional and mental health areas in th the contents of Child Welfare Policy Project. Thu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e a very positive effect of music therapy that is a branch of psychotherapy on low-income children'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an effective go-between role. With regard to the treatment for low-income children's mental health gradually, as increasing social demand, more diverse and systematic studies are expected to happen actively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for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