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고등학교 『중국어Ⅰ』 9종의 활동 자료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Title
고등학교 『중국어Ⅰ』 9종의 활동 자료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Classroom Activities in High school Chinese Textbooks and Suggestions of instructions
Authors
주미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TeCSOL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승희
Abstract
2012년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 검정된 고등학교 중국어Ⅰ교과서 9종이 교실 수업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활동, 상호작용이 가능한 모둠 활동, 언어 기능의 통합적 활동, 경험과 지식을 활용한 과제중심의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은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필요로 하는 시대적 요구와 과업 중심 교수법 이론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이 교과서에서 실현된 부분이 바로 ‘활동 자료’이다. 새롭게 편찬된 9종의 교과서에는 ‘활동 자료’를 다양하게 수록하여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Ⅰ교과서 9종에 수록된 활동 자료의 유형과 종류, 구성과 특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활동 자료가 그 중요성을 발휘하기 위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제Ⅱ장에서는 2007년 개정교육과정 중국어Ⅰ지침과 과업 중심 교수법, 그리고 교실 활동 자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활동 자료의 특징을 고려하여 활동 자료의 유형을 노래 활동, 게임과 놀이 활동, 역할극 활동, 말하기-쓰기 통합 활동, 문화 활동, 기타 활동으로 나누는 분류 기준을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먼저 교과서별로 활동 자료의 내용과 구성을 알아보고, 유형 및 활동 단위별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특히 구성이 잘 된 활동이나 개선점이 필요한 활동을 중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다음으로 9종 교과서의 활동 자료를 종합하여 유형별로 차지하는 수량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중 공통적으로 많이 수록하고 있는 활동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제Ⅳ장에서는 중국어 교과서를 직접 사용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활동 자료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 정도, 요구사항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제Ⅴ장에서는 교과서 활동 자료 분석과 설문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활동 유형별로 대표적인 활동을 재구성하여 지도방안을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제Ⅵ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의의를 정리한 후 결론을 맺었다.;The year of 2012 marked the full-scale utilization of nine different Chinese I textbooks in high school that were written and authoriz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which puts emphasis on activities to stimulate motivation and interest among the students, group activities allowing for interactions, integrated activities of language functions, and task-oriented activities making use of experience and knowledge. Suc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flect the demands of the times in need of talents that are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knowledge and creatively solving problems in a knowledge-based society. Also applied in those changes was the task-oriented teaching method theory, which promotes communication skills naturally in a process of the students performing given tasks through interactions. Those aspects are implemented in textbooks in the form of "activity materials." The nine new different textbooks contain a wide range of "activity materials" to stimulate motivation and interest among students and promot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interaction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ctivity materials found in the nine different Chinese I textbooks, find improvement measures, and propose instructional plans to be effectively used in classroom lessons. Chapter II set a group of criteria to classify activity materials into the types of singing, game and play, role play, combination of speaking and writing, culture, and others based on the guidelines for Chinese I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the task-oriented teaching method, and a theory about the categorization of classroom activity materials by ta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materials of the Chinese textbooks into account. Chapter III analyzed activity materials by the textbooks, put them together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n conducted another round of analysis. Chapter IV introduces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need, utilization degree, and needs of activity materials in order to examine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that were actually using the Chinese textbooks. Chapter V selected activities to represent each of the activity types and proposed instructional plans for reorgan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activity materials in the textbooks and survey results. In a textbook, activity materials work to stimulate interest and motivation among the students and help them naturally learn Chinese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singing, game, and role play. Their ultimate goal is to provide "lessons in which the students take a central position and participate together" instead of "teacher-centric lessons." In an effort to achieve the goal, the teachers need to make active use of activity materials in class and make active research efforts to develop diverse and effective activity material model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expertise.;从2012年开始,根据'2007年教育课程修订案'编写的9种高中<中国语Ⅰ>教科书开始在教室里使用。新制定的教育课程中对可引起学习者动机和兴趣的活动有一定程度的强调。这些活动有可相互影响的以小组为单位的活动、提高语言技能的综合性活动、以课题为中心对经验和知识加以活用的活动。这种教学方法可以说不仅反映了以任务为中心的教学法理论,也反映了以知识为基础的当今社会对能有效地管理知识并能带着创新意识去解决问题的人才迫切需求的时代变化。这种教学方法在教科书中的体现就是“活动材料”这一部分。新编的9种教科书收录了各种'活动材料',用以引发学习者的动机和兴趣,提高沟通交流的能力。因此,本研究要通过集中分析9种中国语教科书上收录的活动材料的类型和种类、构成和特点,考察这些活动材料在教科书上是怎么发挥其重要作用的。 第Ⅱ章以2007年新制定的教育课程中针对中国语Ⅰ的教育方针、以课题为中心的教授方法,以及和教室活动资料有关的理论为基础,同时考虑到中国语教科书上收录的活动材料的特点,创建了活动材料的类型分类标准,将活动材料分为歌曲、游戏、角色扮演、说写综合活动、文化活动和其他活动。 第Ⅲ章,首先按教科书种类分析活动材料的内容和构成,并按照类型和活动单位分类分析了其特点。尤其是着重分析了组成合理的活动或需要改善的活动。其次,综合9种教科书的活动材料分析了各种类型所占的数量和其特点。其中,对比分析了共同收录量最多的活动。 第Ⅳ章,为了掌握实际使用中国语教科书的教师和学生的意见,对活动材料的必要性和使用程度、意见和建议等进行了问卷调查。 第Ⅴ章,基于对教科书活动材料的分析和问卷调查的分析结果,对各活动类型的代表性活动进行了重新编排,并提出了教学指导方案。最后,第Ⅵ章在整理本研究的结果和研究意义后,得出了最终结论。 本论文的最终目的是通过本次研究,能够加强对教科书活动材料重要性的认识,并提高对这些活动材料的应用率。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국제중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