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윤희성-
dc.creator윤희성-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2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265-
dc.description.abstractIt has been emphasized that public document is a tool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thus should be easy and accurate. However, the reality is far from the ideal. Previous studies found that using difficult language in public caused not only communication difficulties, but also economic losses. There still has yet to be established criteria or standards to objectively evaluate the practices of public agencies.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diagnosis criteria and evaluation standards to objectively assess readability of the public document.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oncept and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literacy that can utilize public documents. Public documents widely included document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official documents from government agencies. Internal and external public documents in terms of readability are investigated to find text critical proble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variety of formal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 can be set otherwise.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the medication guides of public documents that pointed out a lot of problems were selected. Through analysis of the medication guide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which determine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reliminary indicators were selected to reflect the results. Conducted by total of two delphi survey, selected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preliminary indicators were validat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readability indicators were assessed. Weighted sco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scores derived from the Delphi survey. Based on the weighted score,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 is converted into a score. By using converted Indicators to the score, checklist was configured. This checklist can measure the level of a public document readability. The ways that can actually take advantage of Public documents readability indicators are proposed. This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other public document readability indicators. Especially, readability indicators that can be objectively and consistently diagnose measure a public document of Readability. By using developed readability indicators in this time, to identify problems of a public document or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public document considering public literacy is expected.;본 연구에서는 정부 기관, 일반 사기업 및 단체 등 공공 영역에서 작성되는 각종 문서를 이독성 측면에서 진단하고 평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객관적인 지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문서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문법적 정확성과 일반 국민들의 문식성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현 실태는 여전히 작성 주체 중심의 공공문서가 구성되며, 어렵게 작성된 공공문서는 국민과의 공적 의사소통의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적 의사소통의 주 매개체인 공공문서가 국민들의 문서를 읽고 사용하는 능력인 공공문식성을 고려하여 작성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기존의 공공문서에 대한 정확하지 못한 언어 사용 부분의 지적을 넘어서서 이독성 측면에서 공공문서를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하지만 공공문서의 이독성 실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나 기준은 아직 구체적으로 마련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공공문서의 이독성 실태를 평가할 수 있도록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를 구체적으로 마련하고자 하였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Ⅱ장에서는 공공문서가 독자인 일반 국민들의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인 문식성 수준을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공공문식성에 대해서 정의내리고 공공기관에서만 작성된 문서에 한정된 문제의식을 확대하여 일반 국민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일반 사기업, 단체들이 작성하는 문서를 포함하여 공공문서의 개념을 확립하고 범위를 설정하였다. 그렇게 설정된 공공문서를 텍스트 내‧외적인 면에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앞에서 확립한 개념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를 위한 실제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공공문서의 다양한 형식적 특성에 따라 이독성 지표가 달리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공공문서 중에서 일반 국민들이 접하는 기회는 많지만 많은 문제점이 지적된 의약품 설명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의약품 설명서의 이독성을 결정짓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언어, 내용, 가독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지표의 영역을 정확성과 소통성으로 구분하여 의약품 설명서 이독성 예비 지표를 선정하였다. 공공문서가 이독성 측면에서 쉽게 쓰여야 원활한 공적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소통성 영역에 이독성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정확성에는 표기, 표현 차원, 소통성에는 어휘 차원의 어휘 난이도, 전문용어, 문장 차원에서는 문장의 길이와 문장의 구조, 담화 차원은 중심내용의 응집성, 정보의 양, 내용의 구조화, 가독성 차원의 시각적인 편집 이렇게 총 10개의 예비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예비 지표들을 Ⅳ장에서 전문가 설문 조사(델파이 조사)를 총 2차례 실시하여 예비 지표들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특히 1차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예비 지표를 수정하였다. 소통성 영역의 지표를 대상으로 언어 지표(어휘 난이도, 전문용어, 문장), 내용 지표(중심내용의 명료성, 내용의 구조화), 가독성 지표로 수정하였다. 정확성 영역의 지표 세부 항목을 포함하여 총 2개 영역의 8개 지표를 설정하여 2차 타당성 검증을 거쳐 최종 지표로 확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 중요도 평정을 바탕으로 계층화 분석법(AHP)을 통해 가중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의 점수화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문서 이독성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구성하여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는 의약품 설명서의 이독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공공문서 특히 같은 종류인 설명서 류의 공공문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번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는 비록 의약품 설명서를 바탕으로 도출된 것이지만 다른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개발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무엇보다 객관적이고 일관성있게 진단할 수 있는 이독성 지표를 바탕으로 공공문서의 이독성 수준을 진단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거나 공공문식성을 고려한 공공문서 작성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연구방법 14 Ⅱ. 공공문식성의 개념과 공공문서의 실태 분석 16 A. 공공문식성과 공공문서 16 1. 공공문식성의 정의 16 2. 공공문서의 개념 및 유형 20 3. 공공문식성과 공공문서의 관계 29 B. 공공문서 실태의 비판적 고찰 33 1. 공공문서 내적 측면 33 2. 공공문서 외적 측면 45 Ⅲ. 공공문서 이독성 결정 요인과 예비 지표 선정 52 A. 공공문서 이독성 결정 요인 52 1. 언어적 요인 53 2. 내용적 요인 58 3. 가독성(Legibility) 요인 63 B. 공공문서 문서 이독성 예비 지표 선정 66 1.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의 개념 66 2.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의 영역 및 예비 지표 선정 69 Ⅳ.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타당성 검증 및 적용 76 A.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타당성 검증 및 가중치 분석 76 1.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타당성 검증 76 2.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가중치 분석 82 B.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적용 85 1.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적용 방안 85 2. 실제 사례에 적용 90 Ⅴ. 결론 및 제언 96 A. 결론 96 B. 제언 98 참 고 문 헌 101 부 록 108 ABSTRACT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25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공공문식성을 고려한 공공문서 이독성 지표 개발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의약품 설명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adability Indicators for Public Documents Considering Public Literacy-
dc.creator.othernameYun, Hui-seong-
dc.format.pageviii,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