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유진현-
dc.creator유진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novel education is to promote the student readers to understand diversity of life. However, existing novel education is only focusing on emphasizing educational aims and not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Novel utilizes moral imagination as a means of approaching to the problem of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in novel education. For these purpose,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imagination as a cognitive capability and defines meaning of moral imagination. It also describes characteristic of moral imagination through novel, re-conceptualizes moral imagination and verifies importances of moral imagination in novel educa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 moral imagination is specified as sympathetic imagination, cognitive imagination and prospective imagination. 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embodies moral imagination by accepting aspects of novels written by Lee chung jun(이청준). When student readers accept novel, they imagine feelings of characters in the novel through internal narration and variable focalization which refers as converting focalization. Student readers also imagine essence about narrative event through grating structure which means that external story interprets internal story and through seeking structure which means that character in the novel explore truth of narrative event. Student readers moreover imagine the result of narrative solution by symbolic metaphor and allegory. Based on these aspects of accepting novels, moral imagination is arranged by sympathetic imagination through empathy, cognitive imagination for conversion of conception and prospective imagination toward orientation of others. In the fourth chapter, this study proposes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in novel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s are composed of comprehension of method of moral imagination and attitude toward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Comprehensions about method of moral imagination are composed of three elements. First, reader dynamically controls distance about multiple view point. second, reader critically constructs object about multiple narration. Finally, reader creatively prepares alternative about solution of narrative events. Attitudes toward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are specified as follows. One is attentive attitude towards process of narrative decision. The other is active attitude for forming of narrative identity. Nove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long with the essence of novel which is interest of how to make our lives better. According to this need, this study suggest that novel educational contents for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that is a good way to approach a good life. When these discussions will connect to educational practice, student readers can develop their personality upright. ;본 연구는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설은 본질적으로 ‘더 나은 삶’을 지향하지만 소설교육은 그에 관련된 교육 내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관한 논의도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고에서는 소설의 본질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도덕적 상상력 개념의 성립 과정을 고찰하고, 소설교육의 차원에서 도덕적 상상력을 새롭게 개념화하였다. 도덕철학에서 상상력은 이성의 작용을 방해하는 사고 활동으로 정의되었으나, 칸트가 제시한 재현과 산출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성의 작용을 보완하는 사고 활동으로 재평가 받게 되었다. 이러한 논의의 변화에 따라, 도덕적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상상력의 역할이 주목받게 되었다.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 도덕적 상상력은 소설 텍스트의 서사전략 및 서사구조를 통해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력 작용을 유도하며, 서사적 문제 해결 과정에 초점을 두어 독자의 도덕적 상상력 작용을 하나의 경험으로서 의미를 부여하게 한다.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 도덕적 상상력은 작중인물의 감정을 재현하는 공감적 상상 작용, 서사적 문제 상황을 조작하는 인식적 상상 작용, 문제 해결의 결과를 창조하는 조망적 상상 작용으로 개념화될 수 있으며, 독자의 단독성에 대한 경험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Ⅲ장에서는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의 도덕적 상상력의 작용 양상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감정이입을 통한 공감적 상상 작용이다. 독자는 서사적 세계의 인물과 상황에 대해 감정을 이입함으로써 공감에 이르게 된다. 이청준의 소설 「새가 운들」과 「눈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감정이입을 통한 공감적 상상 작용이 내적 서술과 가변적 초점화 등의 서술구조에서 구체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사고전환을 위한 인식적 상상 작용이다. 독자는 서사적 사건에 대한 사고를 전환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이청준의 소설 「겨울광장」과 「가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고전환을 위한 인식적 상상 작용이 격자구조와 탐색구조 등의 서사구조에서 구체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타자지향을 향한 공감적 상상 작용이다. 독자는 서사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타자를 지향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폭 넓게 조망하게 된다. 이청준의 소설 「젖은 속옷」과 「비화밀교」에 대한 분석을 통해, 타자지향을 향한 조망적 상상 작용이 상징적 은유와 알레고리 등의 의미구조에서 구체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 도덕적 상상력의 작용 양상을 토대로,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을 도덕적 상상력 작용 방식 이해와 도덕적 상상력 지향 태도 함양으로 제시하였다. 도덕적 상상력 작용 방식은 다원적 초점에 대한 독자의 역동적 거리 조절, 다층적 서술에 대한 독자의 비판적 대상 구성, 사건의 해결 방식에 대한 독자의 창조적 대안 마련으로 구현되며, 이러한 방식에 대한 이해를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도덕적 상상력 지향 태도는 서사적 판단 과정에 대한 참여적 태도와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능동적 태도로 나타나며, 이를 지향하는 태도를 함양함으로써 도덕적 상상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 독자의 도덕적 상상력 작용에 주목하고, 이를 고려한 소설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소설교육에서 소설의 본질에 대한 교육 목표 설정과 함께 실천력 있는 교육 내용 마련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3 C. 연구 대상 및 방법 7 II.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의 이론적 전제 15 A. 도덕적 상상력 개념의 성립 15 1. 상상력 논의의 변화 16 2.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19 B. 도덕적 상상력의 소설교육적 재개념화 23 1.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의 도덕적 상상력의 특성 23 2. 도덕적 상상력의 재개념화와 의의 29 III. 소설 텍스트 수용에서의 도덕적 상상력 작용 양상 36 A. 감정이입을 통한 공감적 상상 36 1. 내적 서술을 통한 인물 이해 37 2. 가변적 초점화를 통한 상황 이해 40 B. 사고전환을 위한 인식적 상상 43 1. 격자구조를 통한 사건의 대상화 44 2. 탐색구조를 통한 사건의 입체화 47 C. 타자지향을 향한 조망적 상상 51 1. 상징적 은유를 통한 반성적 성찰 51 2. 알레고리를 통한 전이적 성찰 54 IV. 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 59 A. 도덕적 상상력 작용 방식 이해 59 1. 다원적 초점에 대한 독자의 역동적 거리 조절 60 2. 다층적 서술에 대한 독자의 비판적 대상 구성 64 3. 사건의 해결 방식에 대한 독자의 창조적 대안 마련 67 B. 도덕적 상상력 지향 태도 함양 70 1. 서사적 판단 과정에 대한 참여적 태도 70 2.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능동적 태도 72 V. 결론 75 참 고 문 헌 77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405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도덕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소설교육 내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tents for Cultivating Moral Imagination in Novel Education-
dc.creator.othernameYu, Jin Hyun-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