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오픈소스환경에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Title
오픈소스환경에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eographic visualization of public data in the open source environment
Authors
김현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영옥
Abstract
Recently, GIS is changing from specific software utilization to the open source environment. Especially, Map API on portal sites is widely being used as accessible to everyone only if Internet may be connected.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ases for simple mash-up on the Map API. However, as Map API evolves into providing various visualization functions, a possibility for analyzing data is being presented. Based on such a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geographic visualization of public data in the open source environment. Accordingly, it aims at planning how to visualize public data geographically using Open API and exploring a possibility of the basic spatial analysis through a case study.;최근 GIS는 특정 소프트웨어의 사용에서 오픈소스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포털사이트의 지도 API는 인터넷 연결만 가능하다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과거에는 지도 API에 단순히 매쉬업(mash-up)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으나, 지도 API가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함에 따라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오픈소스 환경에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Open API를 이용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지리적으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기초적인 공간분석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Open API로 지도를 제작하여 활용한 선행연구의 동향과 지리적 시각화의 개념을 조사하였고, 국내․외 공공데이터의 개방 현황과 포털사이트들의 지도 API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의 1인가구를 주제로 구글 API를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시 1인가구와 관련된 공공데이터 수집하고 구글의 맵, 어스, 차트, 퓨전테이블 API를 이용하여 지리적으로 시각화하였고, 차트로 함께 표현하여 분석하였다. 다양한 API를 활용하여 지도를 통해 항목간 비교가 가능하고, 지도와 차트가 연동되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 1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공간분석을 통해 1인가구 내 그룹별로 필요한 공공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탐색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Open API를 이용하여 공공데이터를 2D, 3D 형태로 지리적 시각화 하였고 상호작용을 통한 항목간 비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또한 다양한 차트와 연동되도록 하여 분석을 용이하게 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시 1인가구 관련 데이터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공간적 분포패턴을 지도로 표현하였고, 데이터를 탐색, 분석할 수 있었다. 둘째, Open API를 이용하여 공공데이터 중 공간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공간데이터를 shp 형식으로 제공하여 kml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구글맵에서 사용하는 WGS84 경위도좌표계로 다운로드하여 변환하면 활용가능하였다. 위치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는 주소가 있는 데이터와 행정경계명으로 정리된 데이터로 분류할 수 있었다. 주소가 있는 데이터는 퓨전테이블을 이용하여 지오코딩하여 활용할 수 있었고, 행정경계명으로 정리된 데이터는 폴리곤 형태로 제공되는 행정경계 데이터와 병합(merge)하여 활용할 수 있었다. 셋째, Open API로 서울시 1인가구 관련 데이터를 공간분석하였다. 기초적인 공간분석이었으나 질의를 통해 조건에 맞는 지역을 찾아 지리적으로 시각화 하였고, 1인가구 내 그룹별 요구되는 공공서비스가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역을 분석하는데 중첩과 버퍼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Open API를 활용함에 있어 매쉬업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를 지리적 시각화 하여 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 중 공간데이터를 Open API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기초적인 공간분석이 가능함을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고급 공간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대중들 또는 컴퓨터 환경이 좋지 않은 학교 등에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