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8 Download: 0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Chemistry I Class" on high school students'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Authors
원남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수많은 직업 중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고르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은 성적에 맞추어 진학을 하는 맹목적 학습만을 하고 있다. 또한 직업의 선택은 안정적이고 충분한 보수가 뒷받침되는 일부 직업에만 한정되어 있고, 한편 이공계 직업 기피 현상은 계속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위와 같은 사회적 경향 및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 과정의 개정을 통한 노력이 있어 왔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과정의 개정 이유에 걸 맞는 현장 교육의 변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그 중 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은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 했을 때,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2009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화학Ⅰ교과서의 ‘아름다운 분자 세계’ 단원에 포함된 내용 중 진로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10차시의 활동지를 제작하였고, 진로 교육 내용이 반영된 활동지의 사용 유․무에 따라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이과반 남학생으로, 진로 성숙도 검사지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TOSRA)를 검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반 106명, 비교반 114명의 자료를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에 대해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왔으며, 진로 성숙도의 하위 영역인 계획성, 자기 이해, 진로 탐색 및 합리적 의사결정, 과학 직업에 대한 지식, 선호 직업에 대한 지식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진로 준비 행동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05)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영역인 과학의 사회적 의미,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 과학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관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으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p>.05)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학Ⅰ교과와 연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포함한 교수 - 학습 활동이 교육 과정의 개정 이유와 합치되는 방법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새로운 교재 연구를 위한 절대적 시간의 부족과 교재 연구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제도적 문제 및 그로 인한 교사들의 도덕적 해이로 인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위와 같은 발전적인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충분한 교재 연구 시간이 확보되고 교사들의 부가적인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제공되며, 인식 있는 과학 교사들의 부지런함으로 교과와 연계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 질 때 과학 교육을 받는 학생들에게 적성에 맞는 진로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 사회에서의 이공계 직업 기피 현상이 완화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It is of vital importance that an individual should choose an occupation that best fits his or her interest and talent, whereas students today seem only interested in preparing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often with repeated rote learning. Worse, except for a small proportion of highly profitable jobs preferred by many, there has been an ongoing trend of avoidance to choose jobs related to science or engineering, which became a problematic social issue. Efforts were made to modify and redress the aforementioned social trend through public school curriculum revision, but these effort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Career education associated with school curriculum could be supposed to be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to bring about the desired change in terms of the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verify possible influence upon or degree of change to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attitude towards scienc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10-session classe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Chemistry I Class, which is supported by career-related contents extracted from the 'Beautiful World of Molecules' section in Chemistry I textbook of Revised Curriculum 2009. Classes are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es and control classes according to whether worksheets containing career education contents are applied or not. The research subjects are 220 male students of a private high school in Seoul, to whom two kinds of test sheet, one for test of career maturity and the other for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are applied. Data derived from 106 students of experimental classes and 114 students of control classes a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17.0 program and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Chemistry I Class resulted in a positive change to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some of the subcategories under career maturity, such as life-planning, self-understanding, career search, rational decision-making, and knowledge on science-related or preferred jobs. There emerged,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categories like attitude towards jobs, career preparedness, and level of self-independence. Second,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Chemistry I Class produced positive improvement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scienc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some of the subcategories under attitude towards science, such as social significance of science, commonality of scientists, acceptance of scientific attitude, pleasure of science class, and interest in science both as a hobby and a career.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category of attitude towards scientific inquiry. This research proved that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Chemistry I Class exerted positive influenc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attitude towards science in general. Though it can be ascertained that teaching-learning activity containing career education program is one way to fit in with revised school curriculum, the development of progressiv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e actual school environment is quite stayed due to the shortage of time available for educational material research, lack of appropriate reward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r efforts to research new teaching materials, and the consequent moral laxity by teachers, etc. In conclusion, students with science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get sufficient help in choosing their career and the general social trend to avoid science-related career might be mitigated when teachers, well provided with sufficient time for material research along with rewards given to additional efforts, feel it motivating as well as stimulating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science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