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1 Download: 0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학업성취 및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학업성취 및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wage
Authors
선미숙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current education in Korea is excessive private tutoring. Much criticism has been posed on the seriousness of private tutoring in that it has resulted in such problems as inequality in opportunity of education, crisis of public education, and too much burden on household budget, hence the need for analyzing whether the private tutoring really satisfies the demand and expectation of people.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but many of them vary in results. Some studies support the positiv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niversity admission, or future employment, while others suggest that private tutoring has negative or no relation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r university admission. Consumers of private tutoring are usually considered to have expectations on improv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admission into good universities, and future employment in good companies. Because various factors interact at the same time in a complex way,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ivate tutoring's own influence on such matters. However, it can be possible to suggest a standard of judgement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through an empirical study based on various data and reference. Therefore,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rivate tutoring fulfills the expectation of education consum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wage by comparing two variables of learning; the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hours as individual effort. There are 4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characteristic? Second, do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self studying hours in high schoo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Third, do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self studying hours in high schoo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Fourth, do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self studying hours in high school significantly affect future wage? Based on these research problems, the study used resources from KLIPS(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ies)'s 2009(12th) individual data and 2008(11th) complementary research data as subjects of analysis. Statistic programs SPSS 20.0 and AMOS 20.0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crossov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ath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the following variable factors;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backgrounds, and schoo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women showed a higher rate of private tutoring experience compared to men, and fathers' high level of educat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student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Economic status of family showed no relation to students' private tutoring experience. Regarding schoo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students private tutoring experienc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schools. Also, students of private school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private tutoring than students of public schools. Second, student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hours are two variables which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ore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or longer hours of self studying, the more positive influence it had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hen comparing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hours, it was found that self studying hours have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than private tutoring. Also an analysis was made on the group difference by distinguishing groups according to students' experience on private tutoring and amount of self studying time. The result found out that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hours have interactive effect, and when it comes students who spend less than 1 hour on self studying, the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mad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when there is less time to study alone, private tutoring is effective for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is reduced as students spend more time studying alone, and a student group of 4 or more hours of self study showed greater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re was no private tutoring. Third, regard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universities, only self studying hours in high school period had a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influence appeared to be very strong. When the group difference was examined between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amount of self studying time, the result showed that interactive effect of private tutoring and self studying time was not significant i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nd only self studying hours made meaningful difference. This result shows that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is affected by how much time was on spent self studying, not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Fourth, high school students' self studying hour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wag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pplied to find out how the wage changes depending on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self studying hours, and the private tutoring experience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age level. Meanwhile, self studying hours made significant difference on wage level, and especially the wag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more than certain amount of time was spent on self studying, thereby proving its positive effect on wage level. A path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private tutoring experience and self studying hours on future wage by taking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s parameters. The result shows that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is an independent variable with the most positive effect on wage, and the following effective variable was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 studying hours during high school period. Note that self studying hours is also the most effective factor of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By putting the results together, it was proved that self studying hours in high school, rather than private tutoring,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re wage. To sum up,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result, experience of private tutoring had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wage to certain level, but the self studying hour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private tutoring. Therefore, individuals should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self studying, and also complementary measures must be taken on institutional level to encourage students to advance into future education through self studying rather than relying on private tutoring. Various supports must be offered so that students do not just extend the amount of self studying hours, but actually learn how use their time effectively. Schools need to provide supports and advice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encourage them to continue with the habit of self studying.;현재 한국교육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교육문제 중 하나를 꼽으라면 과도한 사교육 문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교육 기회의 불평등, 공교육의 위기, 지나친 가계 경제의 부담 등 사교육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사교육이 과연 기대한 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분석이 필요하다. 사교육 효과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사교육이 학업성취나 대학진학, 취업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는 연구가 있는가 하면, 학업성취나 대학진학, 취업에 오히려 부정적이라는 연구, 혹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연구가 상존하고 있다. 교육수요자가 사교육 투자를 통해 기대하는 바는 학업성취의 향상, 좋은 대학 진학, 나아가 좋은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사교육과 함께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교육의 고유한 영향력만을 분석해 내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사교육 효과에 대한 하나의 판단 지표를 제시해 줄 수는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교육이 교육 수요자들이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교육 경험 및 이와 대비되는 개인적 노력의 변수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선정하여 이러한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학업성취 및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 및 가정 배경, 학교 특성에 따라 사교육 경험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고등학교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대학교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임금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자료의 2009년(12차) 개인용 자료와 2008년(11차) 교육용 부가조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교차분석, 회귀분석, 이원분산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 및 가정 배경, 학교 특성 변인에 따라 사교육 경험 유무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남자에 비해 여자의 사교육 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교육 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 특성 변인에 따른 사교육 경험 비율을 살펴보면 학교 소재지가 수도권일 경우 비수도권에 비해 사교육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학한 학교의 유형이 사립학교일 경우 공립학교보다 사교육 경험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고등학생 시기의 사교육 경험과 혼자 공부하는 시간으로 사교육 경험이 있을수록,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수록 고등학교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보면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영향력의 크기가 사교육 경험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사교육 경험 유무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사교육 경험과 혼자 공부하는 시간은 상호작용 효과를 가지며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평균 미만인 집단의 경우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학업성취의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적을 경우에는 고등학교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 사교육을 받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그러나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는 줄어들고 있으며,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일정시간을 초과하면 오히려 사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학업성취가 더 높아지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교 학업성취에 대하여는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이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 유무와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대학교 학업성취에 있어서 사교육 경험과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자 공부하는 시간만이 대학교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는 대학교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만, 사교육의 경험 유무는 대학교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혼자 공부하는 시간만이 임금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교육 경험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경험 유무 및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정도에 따라 임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에서도 사교육 경험 유무는 임금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한편, 혼자 공부하는 시간은 임금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일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학업성취 및 대학교 학업성취를 매개로 고등학생의 학습방식이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경로분석한 결과, 임금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는 변수는 고등학교의 학업성취이며, 그 다음으로 대학교 학업성취, 고등학생 시기의 혼자 공부하는 시간 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혼자 공부하는 시간은 고등학교 학업성취 및 대학교 학업성취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는 요인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결국 고등학생 시기의 학습방식 변인 가운데 사교육 경험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학업성취 및 임금수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약하건데,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교육 경험은 일정 부분 학업성취 및 임금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사교육 경험에 비해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효과에 대한 개인적 인식의 전환과 더불어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혼자 공부하는 습관을 통해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단순하게 혼자 공부하는 시간의 양을 늘리는 것보다는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학교에서 자기주도 학습방법에 대한 지도와 조언이 이루어져야 하며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을 꾸준히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