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5 Download: 0

Policy Failures and Policy Prescription

Title
Policy Failures and Policy Prescription
Authors
전상미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Brendan M. Howe
Abstract
본 논문은 북한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국의 비확산정책이 왜 비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 부시와 오바마 행정부 기간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북한에 대한 미국의 비확산 정책은 억지와 봉쇄 전략에 의해 형성되었고, 이가 반영된 비확산 정책에 따라 미국의 전략적 이익은 합리적 정책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핵무기 포기를 위한 북한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변경되어왔다. 국제 관계의 이론으로 대표적인 현실주의 패러다임은 무정부 시스템을 기반으로 국제체계를 믿지 않으며 국가를 단일 행위자로 여긴다. 따라서 국가의 목표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른 상대를 억압하고 봉쇄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반면에 자유주의는 국제체계를 기반으로 국가의 가치를 행위자로 두어 국가 간 협력을 통해 국가정책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비확산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미국은 전략적으로 유화적인 개입 보다는 강압적인 접근 방식을 더 사용하며 북한을 고립시켜왔다. 그러나, 북한의 핵무기 포기를 유도하기 위해 변경 되어가는 국내 정치 (외교정책결정과정)가 원인이 되어 미국의 비확산정책은 실패하였다. 부시와 오바마 행정부 기간 동안 북한에 대한 미국의 비확산 정책 실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정책 선택: 미국의 전략적 접근은 포용보다는 강압적인 전략을 선호함으로써 북한과의 포용을 통해 타협을 이끌어 내기 보다는 위기를 막기 위한 전제로 강압적인 압력을 반영해왔다. 두 번째, 부시와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 결정에서 의사 결정자의 역할은 일관성 부족으로 북한의 핵무장 및 실험을 과소 평가하고 이에 대해 북한의 불신과 원한을 야기하였다. 세 번째, 협상 실패: 북 핵 해결을 위한 대표적인 6자회담은 현재 교착상태에 직면하였고 비확산 정책이 실패하는데 기여하였다.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을 위한 실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불신과 원한으로 가득 찬 북한과의 관계를 개선해야 한다. 둘째, 미국 국내 정치인 (정책 환경과 정책 선택)들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정책 결정의 일관성 있는 프레임 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6 자 회담을 재개하여 비핵화의 조건보다는 평화구축을 기준으로 개선하는 것이 옳다.;The thesis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has been ineffective at 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during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The U.S.’s Nonproliferation policy towards North Korea was shaped by deterrence and containment strategies. The U.S.’s strategic interests reflected under their Nonproliferation policy were to alter North Korea’s behavior to give up nuclear weapons under the rational policy paradigm. A State’s courses of action under the Realist paradigm in international relations believe in an anarchical system with no hierarchical authority. Therefore, the use of power is a tool to coerce and control other states to maximize a state’s goal. Under liberal assumptions, on the other hand, states believe in an international system and the maximization of goals through cooperation among states. To achieve its policy objectives, the U.S. strategically coerced and engaged with North Korea. However, domestic politics (the decision making process) caused the failure of U.S. Nonproliferation policy to change North Korea to give up nuclear weapons. The findings on U.S. Nonproliferation policy failures towards North Korea during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include: 1) Policy choice: U.S. strategic engagement favored tough policies to pressure North Korea. A coercion approach was overwhelmingly used to make North Korea compromise rather than to avert the crisis through engagement. This led to distrust and animosity towards North Korea 2) Policy preference: The role that decision-makers played in policy decisions under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lacked consistency and underestimated North Korea’s durability and will for nuclear arming 3) negotiation failures: these were reflected in the negotiations facing the current stalemate of the Six Party Talks. All these contributed to Nonproliferation policy failures. Practical ways for the U.S.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s include: Firstly, the U.S. needs to improve relations with North Korea from distrust and animosity. Secondly, U.S. domestic politicians need to construct a consistent framework of policy decisions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policy preference and policy choices).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the resumption of the Six Party Talks is a viable option. An agreement on the Six Party Talks should be based on the consensus-building about peace than denuclear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