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02 Download: 0

음향 분석을 통한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Title
음향 분석을 통한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연구
Other Titles
Acquisition de la prononciation du coréen chez les apprenants français au travers d’une analyse acoustique
Authors
김은애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용숙
Abstract
L’objectif general de cette these est de repertorier les distorsions et les specificites phonetiques des apprenants francais du coreen afin de proposer une phonetique corrective adaptee via une analyse acoustique. Nous analysons, dans le chapitre I, la prise de conscience de la prononciation du coreen, l’effet de la langue maternelle ainsi que la relation entre l’acquisition et la maitrise, et les erreurs commises par les apprenants francais. Le chapitre II est essentiellement une presentation de la methode d’enseignement et de la theorie concernant le systeme de prononciation. Nous etablissons un systeme de prononciation divise en segmental et suprasegmental. Ce systeme servira de base pour l’analyse acoustique exposee par la suite. Ensuite, nous nous interessons a l’analyse contrastive et a la methode audio-visuelle. Du fait de l’influence de la langue maternelle dans les distorsions phonetiques et au regard de la multitude des etudes relatives a la methode audio-visuelle sur ces memes erreurs, nous avons prefere nous concentrer surtout sur les theories de l’acquisition de la prononciation de Prator et de Flege. Nous avons diagnostique que la principale difficulte des apprenants francais residait dans la prononciation des consonnes fortes. Le chapitre III comprend les resultats d’une enquete relative a la prise de conscience des apprenants francais sur la prononciation du coreen et de sa methode. Nous avons interroge 30 apprenants francais sur les difficultes rencontrees quand ils prononcent le coreen notamment en decrivant chaque consonne et voyelle. Par ailleurs, nous analysons les resultats sous plusieurs angles : de maniere globale puis en fonction du niveau de maitrise et enfin selon le lieu de residence des apprenants. Le contexte determine la conscience des consonnes et voyelles coreennes et la conscience de chaque domaine phonatoire entre les questionnaires. Ils sont divises en consonnes, voyelles, accents, regles phonetiques et intonation. Les resultats montrent que la principale difficulte des apprenants se situe dans l’assimilation des regles phonetiques > consonnes > accents > intonation > voyelles. Ce sont en particulier les regles phonetiques qui posent probleme aux debutants alors que chez les apprenants intermediaires, on ne retrouve pas cette difficulte. D’un point de vue geo-demographique, les apprenants francais en Coree montrent des difficultes avec les consonnes, les regles phonetiques et les accents alors que ceux en France ont plus de mal avec les regles phonetiques et l’intonation. Les problemes apparaissent avec les consonnes fortes et les diphtongues conscientises dans les phonemes consonantiques et vocaliques. Nous mettons en exergue l’existence d’une relation entre la conscience des consonnes et voyelles coreennes et leurs prononciations reelles. Apres l’ecoute de dix enregistrements d’apprenants francais habitant en Coree et en France, les specialistes du domaine sont arrives a une conclusion resumee sous forme de tableaux (Implication Scale) ; il apparait que les consonnes fortes sont apprises en tant que consonne initiale et les diphtongues en tant que monophtongues. En ce qui concerne les consonnes finales, les apprenants n’ont pas conscience de leur prononciation. Le chapitre IV a pour objectif d’analyser la prononciation coreenne des apprenants francais a la lumiere de la phonetique acoustique. Les examines etaient quatre debutants et quatre intermediaires, deux filles et deux garcons respectivement. Nous avons egalement demande a huit locuteurs natifs coreens (professeurs et etudiants en langue coreenne etrangere et en linguistique) de servir de modele de comparaison avec Praat, programme d’analyse phonetique segmental et suprasegmental. L’analyse du segment etait divise en consonne et voyelle ; les consonnes divisees en occlusives, constrictives et affriquees et les voyelles divisees en monophtongues et diphtongues. Nous avons examine les occlusives sur VOT et Pitch et les constrictives et les affriquees sur leur longueur et leur centre de gravite. Nous avons aussi etudie les voyelles groupees en monophtongue et diphtongue. Nous avons choisi huit phonemes en eliminant /ㅚ/ et /ㅟ/ et analyse les formants de voyelles. Nous avons aussi determine F1 qui revele la hauteur de la langue, F2 qui situe la position de la langue devant ou derriere, ainsi que F3 qui montre la capacite labiale dans l’hypothese de l’effet negatif de la langue maternelle car la langue francaise possede beaucoup de labiales. Nous avons observe /j/, /w/, /ɰ/ pour la diphtongue en divisant l’onglide et l’onset ; le tout en fonction du niveau de maitrise. A propos des occlusives, les apprenants francais prononcent indifferemment les consonnes douces et fortes. Selon VOT, ils les rapprochent des occlusives francaises. Les resultats de /ㅂ/ se rapprochent beaucoup des resultats coreens de /ㄱ/, /ㄷ/, /ㅂ/, si bien qu’il est possible de prevoir qu’ils sont appris plus facilement que les deux autres. Ces resultats corroborent le chapitre III. Il serait donc efficace d’enseigner d’abord les caracteristiques de /ㅂ/ pour les occlusives, puis les autres. Quant aux constrictives et affriquees, les apprenants sont dependants de la longueur pour la division de la consonne normale et de la forte. Nous avons conclu que la prononciation des consonnes subit une influence negative de la langue maternelle puisque nous n’avons pas pu etablir la preuve que les intermediaires prononcent mieux que les debutants. Quant aux voyelles, la monophtongue a des caracteristiques de la langue en avant et en arrondi et celle de la diphtongue sont specifiques a la longueur de l’onglide et de l’onset. Les apprenants francais prononcent /ㅡ/ en arrondi et leurs onglide et onset de /j/ et de /w/ sont deux fois plus longues que celles de coreens ; Ils prononcent les diphtongues en deux monophtongues l’un apres l’autre. Par contre, leurs onglides et onsets de /ɰ/ sont plus courts que ceux des Coreens si bien que leur prononciation s’en trouve genee. La prononciation de diphtongue est differente en fonction du niveau. Les intermediaires prononcent plus couramment les onglides et onsets courts par rapport aux debutants. Par consequent, l’arrondissage de monophtongue, qui aboutit a une incomprehension des caracteristiques de diphtongue, vient encore une fois de l’influence negative de la langue maternelle. Pour ce qui est de l’analyse du suprasegmental, nous avons pris l’intonation finale de la phrase enonciative, interrogative et imperative. Nous avons aussi passe en revue l’accent et l’intonation de l’enonce focal. Au sujet de l’intonation finale de la phrase interrogative, nous l’avons etudiee en differenciant la phrase interrogative, non interrogative et interrogative ouverte. Pour l’analyse de l’enonce focal, nous avons fait la distinction entre la phrase possedant un autre sujet, la phrase interrogative explicative et la phrases interrogative de decision. Nous avons determine le diapason(pitch range) de la phrase et les valeurs maximums montees de F0(frequence fondamentale) de la phrase de sujet afin de determiner les differences d’accent, de longueur et d’intonation dans les cas ou la phrase possede un autre sujet. Le tout a ete compare au groupe des locuteurs natifs du coreen. Les Francais prononcent la derniere syllabe plus longuement dans les phrases enonciatives tandis qu’ils ont une intonation identique dans les phrases interrogatives ouvertes. Le groupe des apprenants francais ont un diapason moins etendu que celui des Coreens ; leur valeur maximum de F0 est plus petite. Par contre, le diapason, quand ils parlent dans leur langue maternelle, le francais, n’apparait pas quand en coreen. Comme ils ne mettent pas l’accent au debut de la phrase du sujet, ils ont moins de valeurs maximums de F0 que les Coreens et moins de montees d’intonation, si bien que le sujet n’est pas clairement designe. En dernier lieu, les resultats de cette recherche sont resumes et classes dans le chapitre V ou nous proposons une solution didactique adaptee aux apprenants francais et conformement a nos conclusions. Cette these a pour objectif d'analyser le processus phonateur des apprenants francais du coreen afin de caracteriser les erreurs qu'ils commettent et d'offrir des reponses educatives appropriees quant a leur prononciation. Pour cela, nous avons examine de maniere phonetique la prononciation de segments de la phrase, les origines de l'elocution, ainsi que les elements suprasegmentaux indispensables en communication. Nous avons egalement expose les difficultes que les apprenants francais eprouvent lorsqu'ils prononcaient les segments de phrases en coreens. Puis nous avons vu les differences de resultats en fonction du niveau de maitrise de la langue. De plus, nous avons propose une methode didactique generale apres avoir analyse les erreurs commises lors de l'apprentissage de l'intonation et sa justesse en contexte communicationnel. Cette recherche methodique sur la prononciation coreenne des apprenants francais est nouvelle dans le domaine. Ces travaux sur la relation entre la conscience des apprenants et la prononciation reelle font une base pour l’enseignement—apprentissage de la prononciation coreenne envers les apprenants francais fonde sur l’analyse segmentale et suprasegmentale.;본 연구는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와 발음 습득 시 나타나는 특징을 밝히고 발음 오류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발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식, 모국어의 영향 정도, 습득과 숙달도의 연관성, 오류의 양상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프랑스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선행 연구와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의 발음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의 검토에서 두 분야를 모두 다룬 것은 양쪽의 학습자들이 두 언어의 상이한 음소체계로 인해 발음 습득 시 겪는 어려움을 비교해 보기 위함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와 프랑스어의 발음 체계와 본 연구의 근간을 이루는 언어 습득 이론과 발음 습득 관련 이론을 소개하였다. 먼저 한국어와 프랑스어의 발음 체계를 분절음과 초분절음 체계로 나누어 소개하였는데 이는 후에 다룰 음향음성학적 분석의 기본이 되는 내용이다. 이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언어 습득 이론으로 대조분석가설을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는 발음 오류들이 모국어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발음 교정 방안이 시청각교수법을 적용한 방안이므로 시청각교수법의 내용도 함께 제시하였다. 발음 습득 이론으로는 Prator와 Flege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두 이론을 토대로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가장 발음하기 어려워할 음소가 경음 계열의 음소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발음에 대한 프랑스인 학습자의 인식 조사 결과와 습득 순서에 대해 밝혔다. 프랑스와 한국에 거주하는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발음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 영역별 난이도, 발음 교정을 위한 노력 여부와 태도, 개별 자모음에 대한 난이도 등에 대해 물었고 그 결과를 전체적 인식, 숙달도별 인식, 학습 환경별 인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섯 묶음으로 구성된 설문 문항 중 발음의 영역별 인식과 한국어 자모음에 대한 인식을 본문에 실었다. 발음의 영역은 자음, 모음, 강세, 음운규칙, 억양으로 나누었다. 인식 결과를 보면 학습자들은 음운규칙 〉자음 〉강세 〉억양 〉모음의 순으로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운규칙은 초급은 어렵다고 답한 반면 중급은 그렇지 않아 숙달도별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학습 환경별로 보았을 때 한국 거주 학습자는 자음과 강세를, 프랑스 거주 학습자는 음운규칙과 억양을 어렵다고 답하였다. 개별 자모 음소의 난이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이 경음과 이중모음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자모음 난이도에 대한 인식이 실제로 나타나는 발음 오류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도 실시하였다. 한국 거주 학습자 5명과 프랑스 거주 학습자 5명이 읽은 실험 문장을 분석하여 자음과 모음 각각의 습득 순서를 분석하였고 이 결과를 함축도표(Implicational Scale)로 제시하였다. 인식 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초성 자음의 경우 경음 계열이 가장 늦게 습득되었고, 이중모음이 단모음에 비해 늦게 습득됨을 알 수 있었다. 받침인 종성 자음의 경우 학습자들이 대표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피험자는 초급 4명, 중급 4명이었으며 성별은 남, 여 각 2명씩이다. 한국인 모어 화자와의 발음 비교를 위해 한국어 교사, 한국어교육전공 학생, 언어학 전공 학생으로 구성된 8명을 비교 집단으로 삼았다. 음향 분석 프로그램인 Praat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한국어 분절음과 초분절음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분절음 분석은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었다. 자음에서는 파열음과 마찰음, 파찰음을 분석하였다. 파열음은 VOT(Voice onset time) 값과 피치(pitch) 값을, 마찰음과 파찰음은 자음 길이와 무게중심을 분석하였다. 모음은 단모음과 이중모음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단모음은 이중모음으로 발음이 허용되는 /ㅚ/와 /ㅟ/를 제외한 여덟 개 음소의 포먼트(formant) 값을 분석하였다. 프랑스어에는 원순모음이 많아 모국어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혀의 고저를 나타내는 F1, 혀의 전후 위치를 나타내는 F2와 원순 여부를 나타내는 F3 값도 함께 측정하였다. 이중모음은 /j/계열, /w/계열의 이중모음과 /ɰ/를 대상으로 활음(onglide)과 제1목표음(onset)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숙달도별 분석도 함께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보면 파열음의 경우, 프랑스인 학습자들은 평음과 경음을 구분이 안 되게 발음하였다. 격음의 기식도 한국인에 비해 약했고 VOT 값은 모국어인 프랑스어의 파열음에 가까웠다. /ㄱ/, /ㄷ/, /ㅂ/계열 중 /ㅂ/계열의 수치가 한국인의 수치와 가까워 다른 두 계열에 비해 습득이 빨리 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Ⅲ장에서 살펴본 습득 순서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파열음 교육 시 습득이 쉬운 /ㅂ/계열 삼중 대립의 특성을 잘 이해시킨 후 다른 계열의 발음을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마찰음과 파찰음의 경우 평음과 경음의 구분을 길이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음 분석 결과를 전반적으로 볼 때 모국어의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모음의 경우에는 단모음은 전설성과 원순성, 이중모음은 활음과 제1목표음의 길이를 특징으로 찾을 수 있었다. /ㅡ/를 원순화시켜 발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j/계열, /w/계열 이중모음의 경우 프랑스인 학습자의 활음과 제1목표음의 길이가 한국인에 비해 두 배 정도 길었다. 이로써 한국어의 이중모음을 두 개의 단모음을 순차적으로 이어 뚜렷하게 발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ɰ/의 경우 프랑스인 학습자의 활음과 제1목표음의 길이가 모두 한국인에 비해 짧아 매우 어색한 발음을 하였다. 이중모음의 발음은 자음과는 달리 숙달도별 차이가 있었다.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들의 활음과 제1목표음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 숙달도가 낮은 학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연스럽게 발음함을 알 수 있었다. 단모음의 원순성이 강한 것, 이중모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것 모두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초분절음에 대한 분석은 평서문, 의문문, 청유문, 명령문의 문미 억양과 초점 발화문의 강세와 억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문문의 문미 억양은 다시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과 선택 의문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초점 발화문의 분석은 초점이 서로 다른 어절에 놓인 평서문 문장, 설명의문문, 판정의문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초점이 서로 다른 어절에 놓일 경우 강세와 억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장의 음역(diapason, pitch range), 초점이 놓인 어절의 F0(frequence fondamentale) 최고값과 상승폭을 측정하였다. 모든 결과는 한국어 모어 화자 집단의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평서문 문장에서 말토막의 마지막 음절을 길게 발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고 선택 의문문은 앞뒤의 질문의 억양을 동일하게 발음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초점 발화 문장 분석 결과를 보면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 집단은 한국인 집단에 비해 음역이 좁았고, F0의 최고값이 낮았으며 상승폭도 작았다. 모국어인 프랑스어 발화 시에 높낮이로 느끼게 되는 넓은 음역이 한국어 문장 발화 시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점 발화 문장에서는 초점이 놓인 어절에 강세를 두지 않아 F0의 최고값이 한국인에 비해 낮았으며 억양의 상승폭도 크지 않아 초점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여 정리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법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밝혔다. 본 논문은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 과정과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발음 교육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음 교육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분절음 발음과 실제 의사소통에서 간과될 수 없는 초분절적 요소들에 대해 음향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랑스인 학습자가 한국어 분절음을 발음할 때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숙달도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프랑스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시에 억양을 제대로 구사하는지와 억양 습득 과정에서 어떤 양상의 오류가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한 후 한국어 발음 교육 전반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는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 학습자의 인식과 실제 발음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 점, 분절음 분석과 초분절음 분석을 함께 실시한 점, 그리고 프랑스인, 나아가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큰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