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자기서사기법을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 연구

Title
자기서사기법을 활용한 고전소설 교육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ducational direction of Classical Novel using self-narrative technique : Focused on
Authors
박미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본 논문은 문학교육에 있어 새로운 시도이다. 현재 문학치료분야에서 쓰이고 있는 자기서사진단도구를 고전소설교육 분야에 적용하여 문학교육의 새 지평을 펼치는 것과 동시에 바람직한 인격체 함양이라는 문학교육의 근본적 취지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바는 고전작품의 작품서사와 학습자 개개인의 자기서사를 상호작용과 공감이라는 매개수단을 통해 학생들은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하고 재미있고 효율적으로 고전을 공부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제안하는 자기서사기법은 다음과 같다. 고전작품에서 보이는 서사의 변곡점이나 특징적인 장면과 사건을 토대로 몇 개의 구체적인 질문을 추출, 제시하고 이를 학생들로 하여금 고민하게 한다. 이러한 고전소설의 의미와 내용을 탐지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과 함께 자기서사에 비추어 계속 고민하고 표현하는 학습과정은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생 2,3학년을 대상으로 4차의 수업과정을 통해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에 대하여 학습하였고, 그 과정 속에서 작품, 교사,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공감을 통해 학습의 질을 현저하게 높이는 학습안을 구안하였다. 학습의 구안과정 중에 정제된 방법론상의 틀을 제공하기 위해 남녀학생 4명씩 8명으로 구성하였고, 성적도 상위권과 중하위권으로 남녀 각각 2명씩으로 구성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문학치료와 자기서사에 대한 용어에 있어 특히 문학교육 분야 교수법의 부분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자기서사진단도구를 자기서사 기법으로, 진단서사를 설문지 혹은 작품서사로, 문학치료 용어인 긍정/부정/무화/무관심을 일치/대립/중립/무관심으로 수정하는 개념적 정리를 시도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이론적 틀과 함께 진행된 연구배경을 살펴보았는데, 대부분 이론적인 완성도를 높이고자하는 연구물과 서사연구에 있어서 일정 부분에 치우친 면이 많았다. 대체로 가르기서사 부분에 있어서 집중된 연구가 보이는 것이 지금까지의 모습이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는 부모서사영역을 아우르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연구를 할 때에는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게하고, 작품을 친근하게 느끼게 하며, 더불어 인성 교육적 목적을 연구적 맥락상 내면에 깔 수 있도록 개념정립을 치밀하게 진행하였다. Ⅲ장에서는 상기 언급된 자기서사기법을 통해 교수·학습계획을 구성하고 그 원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교수·학습계획은 총 4차시로 구성하였는데, 1차시는 전문을 읽기 전에 학습자들의 배경지식과 인상 깊은 장면 등을 살펴보았다. 2차시는 전문을 읽게 하고 인상 깊은 장면을 다시 응답, 토론하게 하였다. 3차시는 본 연구의 영역으로 자기서사기법의 질의구성 기준에 맞춰 추출된 9개의 정형화된 질문을 4지선다 형식의 보기를 통해 응답 받고, 그 이유를 서술형과 그림을 통해 응답하게 하였다. 더불어 10분정도의 토론을 통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과 공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였다. 9개의 정형화된 질문 중 부모가르기서사는 4문항, 부모밀치기서사는 2문항, 부모감싸기서사는 2문항, 부모되찾기서사는 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Ⅳ장은 분석결과를 제시하는 장으로 학습자별 자기서사 교수 학습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별 자기서사 교수 학습의 결과 4가지 유형의 서사영역별로 학습자별 서사발현유무를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4개 질문을 토대로 부모가르기서사가 발현된 학생(작품서사와 대립되는 방향의 자기서사성향)은 물론 질문 전체는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전원이 발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다만 그림의 강도와 이유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남학생의 결과가 여학생들의 결과보다 좀 더 강력하게 표현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보다 좀 더 심도 깊은 정서교육이 필요함을 알았고 문학교육을 통해 이를 실현시켜야 함을 알았다. 다음으로 부모감싸기서사의 2가지 질문을 토대로 부모감싸기서사가 발현된 학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가정환경은 이혼가정, 재혼가정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다소 안 좋았지만 여학생들이 부모감싸기서사가 더 강하게 드러났다. 이것은 여성이 남성보다 마음이 여리고 수용적인 면이 있다고 할 것이며 이는 여학생이 작품서사의 감싸기서사 부분과 많이 공감하고 있는 자기서사의 흐름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려고 했을 때 작품서사와 자기서사와 일치여부는 성적과 큰 관련이 없었다. 부모 가르기, 밀치기, 되찾기, 감싸기 4가지 영역의 수치는 성적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결과적으로 문학교육에 있어 성적에 따라 학습지침을 따로 두는 과정은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볼 수 있다. 학습 환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려고 했을 때 부모가 맞벌이로 바쁜 가정과 이혼가정, 재혼가정의 학습자보다는 화목한 가정에서 성장한 아이가 부모 감싸기 서사가 강했다. 맞벌이부모가정으로 부모의 무관심 속에서 자란 학습자와 재혼가정으로 새엄마의 무관심 속에서 성장한 학습자들은 부모밀치기와 부모가르기서사가 강했다. 이것은 학습자가 처해있는 환경이 자기서사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종합해 보자면 남, 여 학생의 정서적 수준의 차이 때문에 학습결과는 다소 상이하였다. 더불어 학습 환경에 차이에 따라서도 학습결과는 다소 상이하였다. 하지만 성적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이런 점들은 앞으로 학교에서 문학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일정한 시사점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얻고자 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서사기법을 통한 <장화홍련전>학습은 학습자가 고전소설은 멀리 있는 어려운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로 쉽게 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렵다고 생각한 고전소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 둘째, 고전소설을 자신의 이야기로 이해하면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 긍정적 자아상을 키울 수 있다. 셋째, 문학치료의 진단도구인 자기서사진단도구를 본연의 문학치료라는 한정된 부분에 특정지우는 것이 아니라 고전소설교육에 접목하였는데 이것은 고전소설교육에 있어 분명한 하나의 방향성을 갖는 새로운 시도이다. 넷째, 이때 적용될 자기서사진단도구의 이론적 틀을 점검하여 고전소설교육에 맞는 용어와 설계안을 마련하는 작업, 즉 문학치료가 주목적이었던 본 진단도구의 방법론적 부분을 고전소설교육부분에 온전히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는 작업은 고전소설교육의 방법론을 새롭게 세우는 시도이다. 다섯째, 본 방법론은 비단 <장화홍련전>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전소설에 대한 학습방안으로 쉽게 구안될 수 있다는 점으로 방법론에서 정형화된 틀 자체가 학습 진행시 모호함을 줄이고 고전소설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이다. 마지막으로 국어교육 분야에 있어서의 <장화홍련전>의 지평을 넓혀 교육적 효과 달성이라는 목적을 충실히 달성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new attempt to literary education. I applied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in classic novel as it applies to current Literary Therapy and by using this opened up new vistas and made effort to foster self-pride. The basic purpose of the paper finds effective learning ways through means of the interaction and memorable scene of classical works and self-narratives of individual learner. This researcher suggests self-narrative technique and pulls our some specific questions on the basis of certain scenes and events from classical works. This allows students to search the meanings and contents of classic novel and at the same time being concerned reflected on self-narration. During this process students' interest increase. In this sense it has significance for achievement of Academic Purposes. This paper learns about works-narration and self-narration focused on through four tests of class process intended for 8 and 9 grade students living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During that process, I have made the learning plan that remarkably increases quality of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and sympathy. In order to produce the learning frame, 8 students, four for each gender is made of formed. As for division of grades, which is composed with high rank and middle rank students two for each gender. This is to increase reliability of results. In the second chapter, I set up the concept about Literary therapy and self-narration for theoretical background to progress this research. Then I corrected the terminologies and attempted partial conceptual organization. As a result, researcher conduct a survey with setting up the concept in other that aim to improve personality education and arouse student's interest. For this man needs to try encompassed parent narrative area. In Chapter II, I organize the program of instruction and study program through self narrative technique that has already been mentioned, and explain the principle. Learning plan consists of four tests(occasion), the first test examined th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impressive scenes before they read the entire novel. In second tests, researcher lets to read the Janghwahongryeonjeon then answer and discuss the impressive scene. In third tests, researcher received responses of nine formulaic questions, which is based on the question formation standard of self-narrative technique, through four examples and required to response the reason through description and picture. I run the class with ten minutes discussion, to express the interaction and sympathy among learners. Of the usual questions' 20 consisted dividing of 4 questions, pushing of 2 questions, protecting of 2 questions, und recovering of 1 question. Chapter Ⅳ consists of three parts that present analysis results. Girl students in that is making itself felt protecting to ask two questions were more than boy students. Girl students are more unhappy than boy students because the home environment of girl students is a broken home. It turned out that protecting produced results more strongly, since female is more tender-hearted than male and about that man can check through the self-narration stream that people relate to and protecting. When I took a closer look about grades difference, it was nothing to do whether to correspond with works-narration and self-narration. It didn't show clear distinction in four sector dividing, pushing, recovering and protecting. As a result, it didn’t need to be set up guideline according to his grade in the process. In order to find the differences by learning environment, which showed that lerner of a harmonious family showed recovering stronger than learner of a double-income family, divorced family, and step family. Learner with indifference in a double-income family and step family showed pushing and dividing, stronger. That shows that environment of learner has a large impact on self-narration. Overall,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level of emotion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In addition, learning environment also made slight difference to the results. However, it did not have any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exam grades. We can say that this points give certain implications of fulfillment of literary education in school from now on. The desirable formation of character is to find the fundamental purpose of literary culture and the research purposes through self-narrative technique works as follows. First, Learning through self-narrative technique helps to an in-depth as not other people's story but the story of one's life and man makes through this process learning Classic Novel fun that man think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econdly, by understanding classic novel as the story of their own, can create an opportunity to show on their own and cultivate a positive self -image. Third, Items for the Epic Of Self Test, diagnosis tool of literature medical treatment, play a role of as literature treatment as well as preparation the detailed plan and determination to effectiveness that new ground in classic novel's education break. Fourth, the attempt to supply method of classic novels' education is the change of work that the fine detail of diagnosis tool. Fifth, it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not only but also Learning way about various novels in the way that doesn't take an ambiguous attitude and gets outcomes in line with the goals of classic novel education. Lastly, I tried to achieve the educative results through the broadening horiz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