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韓日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Title
韓日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Authors
김서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최근 몇 년간 한류가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최근 몇 년간 한국어를 학습하기 위해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가 급증하였다. 실제로 장미혜 외(2008:3)의 조사에 의하면 국내 체류외국인은 1990년 5만 명에 불과했으나 2000년에는 49만 명으로 늘어났고, 2007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를 전체 인구의 비율로 보았을 때 1990년에는 0.11%에 불과했지만 2006년에는 1.88%로 15년 사이 약 17배가량 증가하였으며 앞으로의 향후 변화를 예상하면 2010년에는 전체인구의 2.8%, 2020년에는 5%, 2050년에는 9.2%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국내 유입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의 대부분은 한국어를 습득하는데 공통된 목적을 보이고 있다. 김정숙(1997)은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는 한국 사회에서의 적응과 생활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한국어에 대한 이해와 내재화를 촉진시켜 한국어 학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한국문화교육은 한국어 교육과 통합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면을 고려할 때, 외국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한국 문화 교육과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은 보다 큰 타당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남기심(2005)에 의하면 언어 학습의 중요한 목적은 한 나라와 그 민족에 대하여 배우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중요한 도구이며 언어로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해서는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고 하면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문화교육은 자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없으면 타문화에 대한 이해도 할 수 없다고 본다. 즉, 자국문화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으면 타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E. T. Hall). 이러한 시각은 민현식(2003)의 주장에서도 나타나며 그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자국 문화와 목표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하는 눈을 키우고, 문화의 상대성을 이해함으로써 문화를 올바르게 수용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안목을 길러 주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한국어 교육은 좁은 의미에서의 언어교육에 머물고 있었다는 감 이 있다. 좁은 의미에서의 언어, 즉 문법, 음성, 어휘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한국어 교육의 주된 목표이었기에 학습자가 느끼는 문화의 차이 등은 연구 및 학습 대상에서 배제되고는 했다. 그러나 아무리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못 한 채 한국어 학습을 마무리해 버린다면 도대체 무엇을 위한 한국어 교육인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渡辺善保 2002) 모든 문화의 다른 두 가지 문화가 접촉하는 데에는 반드시 마찰이나 오해가 생긴다. 문화 간 접촉의 현장인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교육 문제를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한국어교육의 핵심 부분을 논하지 않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교육이 병행해야 하는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줄일 수 있다, 첫 번째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을 미루어 보았을 때 그들이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제1의 요소가 사회언어적인 의사소통이다. 사회 언어적 의사소통을 어색하지 않고 완벽하게 구사해내기 위해서는 단순한 문법과 어휘 교육만으로는 소화해내지 못하는 부분이 많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문화에 대한 이해와 파악이 부족함에서 발생하는 부분이 적지 않으며 ‘문화’라는 항목이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에서 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학습을 하는 것이 보다 학습자들이 자연스러운 언어구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의 필요 불가결한 항목임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로는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목적이 언어 학습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 습득을 바탕으로 한국과 관련한 공부나 일일 때의 문제점이다. 이는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어도 한국문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그들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해지므로 언어교육과 병행한 문화교육은 필수적인 것이 된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우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