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9 Download: 0

기억 속에 내재된 감정 표현연구

Title
기억 속에 내재된 감정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n Expression of Intrinsic Emotion in Memory : in and around the memory to the childhood
Authors
맹성아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병권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드러나게 하고 개인의 영혼과 세계를 연결시키며 교감하게 하는 활동이다. 예술을 통해 자아의 내면에 숨겨진 감정들을 토로하고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자아의 존재감을 발견하는 행위이며 미래의 긍정적인 삶을 위해 치러야 하는 과정인 것이다. 자아의 존재감을 발견함에 있어 우리는 기억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회상함으로서 거칠고 모났던 것, 또 화려하면서 지나치게 달콤했던 것들을 적당히 다스려 거슬리지 않게 순화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지나간 시간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무의식 속에 끊임없이 쌓이고 있으며, 우연한 기회에 ‘기억’이란 이름으로 다시 상기된다. 이러한 기억은 현재를 살아가는 ‘나’와 과거의 ‘나’사이의 단절을 메우고 과거와 현재를 일순간 동시에 느끼는 경험을 하게 한다.또한 기억은 단순히 지나간 시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과거 시간의 흐름과 함께 모든 존재가 서서히 흐려지는. 지속적인 흐름 속에서 현재 존재하는 대상으로부터 어떠한 계기가 되어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던 과거의 감정을 다시 되살린다. 기억의 일부로 존재하는 감정은 대상과의 우연한 마주침으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감정 그 자체가 스스로 드러나도록 한다. 이러한 감정은 일상을 벗어나 잠시 내면의 심해 속으로 몰입하도록 하는 환경으로 작용하게 한다. 순간은 어느 한 대상이나 지점처럼 명확하게 존재하는 무엇으로 나타나진 않지만 그 순간의 지속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매 순간이 흘러가기에 현재의 찰나로 드러나는 한 순간은 어느새 다시 이러한 흐름 속으로 사라진다. 한편 순간은 지속적인 축적과정을 통하여 과거를 형성하고, 그 안에는 기억, 감정, 그리고 개인의 역사가 담겨있다. 현실 속에서 무의식에 잠재한 기억은 현재의 감각들로 인해 우연하게 일깨워지고 주관적으로 해석되어진다. 본인에게 있어서 현재의 감각들은 과거의 어떠한 장면을 무의지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그렇게 되찾은 기억을 본인 나름의 방식인 작품으로 표현하여 현재를 살아가는 자신을 확인하고 기록함으로써 나아가 새로운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논문의 주요 핵심인 ‘기억’에 관한 논의는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비롯하여, 방대한 시간 여행을 통해 자신의 내적 자아를 발견해가는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관한 다양한 사례연구들을 기반으로 고찰하고, 또한 기억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한다는 지속성을 앙리 베르그송(HenriBergson)의 시간과 여러 철학자들의 시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감정 표현에 있어 감정의 개념과 본질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 과거의 기억 속에 존재 감정들이 현재에 동일한 감정이 아닌 미화되고 왜곡된 감정으로 재창조 되어 새로운 기억 감정의 의미와 내용을 찾고 작품 표현에 있어 적극적인 표현을 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회화 작품의 사례를 통해 본인의 작업에 연관시켜 보았다. 개인의 경험에서 촉발된 작업 세계는 무의식적 기억의 주관적 견해를 객관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위 이론을 종합하여 작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리의 시지각은 개인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억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정신과 육체를 넘나들며 우리의 삶에 깊숙이 연결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각하는 신체와 관련하여 잠재된 형태로 우리 기억에 남아있는 무의식적 기억의 주체성을 찾는 과정이 된다. 본인은 예술작품이 기억의 발현을 통하여 풍부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성찰과 창조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기억에 의한 상상의 감수성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무한한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The art in the modern society reveals the invisible initial world of the human being’s inner side, and it is activity to connect the individual soul and the world as communion. Through the art, the hidden emotion in the self inner side can be expressed and the self presence which could not be recognized can be found, and it is the process to be done for the future positive life. To find the self presence, we should look back and recall our lives through the memory to conduct the process of domestication by treating the rough and tough things and overly sweet splendor things properly. The past time cannot be disappeared but can be filed continually in our unconsciousness, and it is recalled as the name of ‘memory’ in the casual opportunities again. This memory fills up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I’ and the past ‘I’ and it makes the experience to feel the past and presen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memory does not stay simply on the past time but recall the past latent emotion from the present object in the continuous flow which all existence is gradually blurred with the past flow as somewhat opportunity. The emotion which exists as a part of the memory is unconscious phenomenon due to the casual encounter of object, so it reveals gradually. The emotion works on environment to be immersed in inner deep sea in a while by breaking away from daily life. The moment cannot be appeared as something clearly presents like one object or point, but it makes the time flow by the duration of the moment. Every moment passes away so the instant moment at the present disappears in the flow. Meanwhile, the moment forms the past through the continuous process of accumulation, and there are memory, emotion, and personal history in it. The latent memory of unconsciousness is awakened coincidentally and is interpreted subjectively due to the present sense. The present sense works as medium to recall some past scene unwillingly. The regained memory was expressed as own works to make opportunity of finding new ego by confirming and recording present self. To explain this works, the discussion about the ‘memory’ as the main core of the study was recognized based on a variety of case studies about Gilles Deleuze’s , Marcel Proust’s novel,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which is story to find inner self through the vast amounts of time travel, and the essence and the concept of emotion was discussed for the expression, and the emotions in the past embellished memory which was distorted should find the meaning and content by reinventing for the aggressive representation through the works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connected to this works through the examples of several paintings. The world of works stirred from the personal experiences attempted the analysis of the work synthesizing the theories above through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of the unconscious memory and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Our vision perception works as memory which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sonal history. Therefore, it shows the result that is connected to our lives deeply over the spirit and body. So this study can be the process to find identity of unconscious memory in our memory as the latent form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body. The art works are expected to be the opportunity of the reflection and creative motivation for the abundant life through the manifestations of memory. Because of that the imaginary sensibility by the memory will provide the infinite energy to fertilize our l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